ì§€(知)ì˜ ì‹¤íŒ¨: 과학 ê¸°ìˆ ì˜ ë°œì „ì€ ì™œ ìž¬ì•™ì„ ë§‰ì§€ 못하는가
Àú   ÀÚ : 마쓰모토 미와오(ì—­:김경ì›)
ÃâÆÇ»ç : ì´ìƒë¶ìФ
ÃâÆÇÀÏ : 2018ë…„ 04ì›”

µµ¼­Á¤º¸

■ 책 소개

 

지구 환경 파괴, ìœ ì „ìž ë³€í˜• 작물, ì›ìžë ¥ 사고 등 과학, 기술, ì‚¬íšŒì˜ ê²½ê²Œ ë©´ì—서 ë°œìƒí•˜ëŠ”  ì´ë¥¸ë°” â€˜êµ¬ì¡°ì  ìž¬ì•™â€™ì„ ê³¼í•™ 사회학 ê´€ì ì—서 파악한 ì„ êµ¬ì  ì—­ìž‘!

 

ì´ ì±…ì˜ ì´ˆíŒ ì¶œê°„ 후 ë°œìƒí•œ ì¼ë³¸ ì‚¬íšŒì˜ í›„ì¿ ì‹œë§ˆ ì›ìžë ¥ 발전소 사고, 한국 ì‚¬íšŒì˜ ì„¸ì›”í˜¸ 사건 ë“±ì„ ë– ì˜¬ë¦¬ë©´ 차마 ë§í•  수 없는 복잡한 ì‹¬ê²½ì„ ê¸ˆí•  수 없다. ì´ ì±…ì€ ê·¸ëŸ¬í•œ 사건ì´ë‚˜ ì‚¬ê³ ì— ê¹Šì´ ê´€ì—¬í•˜ëŠ” 사회 ì „ì²´ì˜ ë¬¸ì œ, 즉 ì‚¬íšŒì˜ ì–´ëŠ ë¶€ë¶„ì„ ë³´ë”ë¼ë„ 비슷한 구조가 ì–¼êµ´ì„ ë‚´ë°€ê³  있는 문제를 ì§€ì í•œë‹¤. STS(Sciencem Technology & Society/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는 í•˜ë‚˜ì˜ í•™ë¬¸ 분야ë¼ê¸°ë³´ë‹¤ëŠ” 1980년대부터 서구ì—서 과학 ê¸°ìˆ ì˜ ì‚¬íšŒ 연구ìžì™€ 과학 ê¸°ìˆ ì˜ ì‚¬íšŒ ë¬¸ì œì— ê´€í•œ ìš´ë™ê°€ ë° ì‹¤ë¬´ìž ë“±ì„ ì¤‘ì‹¬ìœ¼ë¡œ 사용하기 시작한 ë§ì´ë‹¤. 사회 ìª½ì— ë°œì„ ë””ë”¤ìœ¼ë¡œì¨ ì´í•´í•  수 있는 과학 ê¸°ìˆ ì˜ ëª…ì•” ì–‘ë©´ì„ ë‹¤ë¶„ì•¼ 횡단ì , 문제 지향ì ìœ¼ë¡œ 제시하거나 통제하려는 시ë„ì˜ ì´ì¹­ì´ë‹¤.

 

â–  ì €ìž ë§ˆì“°ëª¨í†  미와오
ì €ìž ë§ˆì“°ëª¨í†  미와오(æ¾æœ¬ä¸‰å’Œå¤«)는 1953ë…„ì— íƒœì–´ë‚˜ ë„ì¿„ 대학 ëŒ€í•™ì› ì‚¬íšŒí•™ 연구과 박사 ê³¼ì •ì„ ìˆ˜ë£Œí•˜ê³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ë„ì¿„ 대학 ì¡°êµìˆ˜, 옥스í¼ë“œ 대학 세ì¸íŠ¸ì•ˆí† ë‹ˆì¦ˆ 칼리지 ìƒì„ê°ì› 연구ì›, ì—든버러 대학 게놈 ì •ì±… 연구소 초빙 ì—°êµ¬ì› ë“±ì„ ê±°ì³ í˜„ìž¬ ë„ì¿„ 대학 ëŒ€í•™ì› ì¸ë¬¸ 사회계 연구과 êµìˆ˜ì´ë©°, ì „ê³µì€ ê³¼í•™ 사회학, ì´ë¡  사회학, 재해 사회학, 기술 사회사다. 저서로는 『The Sociology of Structural Disaster: Beyond Fukushima〠『Technology Gatekeepers for War and Peace〠『과학 ì‚¬íšŒí•™ì˜ ì´ë¡ ã€ 『구조재〠『테í¬ë…¸ì‚¬ì´ì–¸ìФ 리스í¬ì™€ 사회학: 과학 ì‚¬íšŒí•™ì˜ ìƒˆë¡œìš´ ì „ê°œã€ ë“±ì´ ìžˆë‹¤.

 

â–  ì—­ìž ê¹€ê²½ì›
ì—­ìž ê¹€ê²½ì›ì€ ì„œìš¸ëŒ€í•™êµ êµ­ë¬¸ê³¼ë¥¼ 졸업하고 ê°™ì€ ëŒ€í•™ì›ì—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ì¼ë³¸ 홋카ì´ë„ 대학 ê°ì› 연구ì›, ì¸í•˜ëŒ€ 한국학 연구소와 한양대 ë¹„êµ ì—­ì‚¬ 연구소 ì „ìž„ 연구ì›ì„ 역임했다. 현재 ì´í™”여대 통역 번역 대학ì›ì—서 ê°•ì˜í•˜ë©°, 저서로는 『국어 ì‹¤ë ¥ì´ ë°¥ 먹여 준다ã€, 역서로는 『마르í¬ìФ ê·¸ ê°€ëŠ¥ì„±ì˜ ì¤‘ì‹¬ã€ ã€Ží™•ë¥ ì˜ ê²½ì œí•™ã€ ã€Žì¼ë³¸ 변경론〠『단편ì ì¸ ê²ƒì˜ ì‚¬íšŒí•™ã€ ã€Žê³ ìš© ì‹ ë¶„ 사회〠등 다수가 있다.

 

■ 차례
ì €ìž ì„œë¬¸ / í•œêµ­ì–´íŒ ì €ìž ì„œë¬¸

 

ì œ1장 사고는 왜 없어지지 않ì„까
0 들어가는 ë§
1 과학 ê¸°ìˆ ì€ ì„ ì¼ê¹Œ? ì•…ì¼ê¹Œ?
2 ‘지(知)ì˜ ì‹¤íŒ¨â€™ëž€ 무엇ì¸ê°€
3 ‘지(知)ì˜ ì‹¤íŒ¨â€™ë¥¼ ê³„ì† ì‚°ì¶œí•˜ëŠ” 시스템
4 리스í¬ë¡  비íŒ
5 맺ìŒë§

 

ì œ2장 과학 기술 ì •ì±…ì˜ ë”œë ˆë§ˆ
0 들어가는 ë§
1 ì§€(知)ì˜ ë¹ˆí‹ˆì„ ì–´ë–»ê²Œ 볼까?
2 과학 기술 ì •ì±…ì„ ë§Œë“œëŠ” ë‹´ë¡ 
3 과학 기술 ê²°ì •ë¡ ê³¼ 사회 ê²°ì •ë¡ ì˜ ìˆœí™˜
4 과학 기술 복합체와 ë¬¸ì œì˜ ì „ì²´ìƒ
5 맺ìŒë§

 

ì œ3장 과학 기술 ë³µí•©ì²´ì— ëŒ€í•œ 기대와 ì„±ê³¼ì˜ ì‚¬íšŒì  ì˜ë¯¸
0 들어가는 ë§
1 ì‹ ì—너지 ê¸°ìˆ ì˜ ë“±ìž¥
2 ì¼ë³¸ì˜ OTEC 개발 과정
3 불확실성과 ì˜ì‚¬ ê²°ì •
4 나아가야 할까, 멈춰야 할까
5 맺ìŒë§

 

ì œ4장 ‘지(知)ì˜ ì‹¤íŒ¨â€™ë¥¼ 극복하기 위해
0 들어가는 ë§
1 학제 ê°„ ì—°êµ¬ì˜ í†µë…ì— ë“¤ëŸ¬ë¶™ëŠ” 환ìƒ
2 닫힌 엘리트 노선
3 닫힌 대중 노선
4 전문가와 ë¹„ì „ë¬¸ê°€ì˜ í•©ìž‘ ì¡°ê±´
5 맺ìŒë§

 

ì œ5장 ìžê¸° 언급ã†ìžê¸° ì¡°ì§í˜• 제언
0 들어가는 ë§
1 기술 관료 주ì˜ì™€ 거리를 둔다
2 기술 다중 민주주ì˜ì™€ 거리를 둔다
3 밑바탕부터 ì œë„를 재설계하ìž
4 ì›ìžë ¥ê³¼ GMO ë¬¸ì œì— ëŒ€í•œ 제언
5 맺ìŒë§

 

ì €ìž í›„ê¸° / 주 / 찾아보기 

 

µµ¼­¿ä¾à
ì§€(知)ì˜ ì‹¤íŒ¨: 과학 ê¸°ìˆ ì˜ ë°œì „ì€ ì™œ ìž¬ì•™ì„ ë§‰ì§€ 못하는가


사고는 왜 없어지지 않ì„까

‘지(知)ì˜ ì‹¤íŒ¨â€™ëž€ 무엇ì¸ê°€

사회ì—는 신구 ê¸°ìˆ ì˜ ê³¼ë„ê¸°ì— ë“±ìž¥í•œ ê¸°ìˆ ì´ ì¡´ìž¬í•œë‹¤. ê·¸ëŸ°ë° ê³¼ë„ê¸°ì˜ ê¸°ìˆ ì„ ë‚³ì€ ì‚¬íšŒ 안ì—는 ê³¼ë„ê¸°ì˜ ê¸°ìˆ ì´ ì´ˆëž˜í•œ 사고를 수습해 낼 구조가 ì•„ì§ ë§ˆë ¨ë˜ì–´ 있지 않다. ì´ ì±…ì—서는 천재와 ì¸ìž¬ì˜ 사ì´ì—서 사고를 심ê°í•œ 사회 문제로 ì¦í­ì‹œí‚¤ëŠ” ì´ ìƒíƒœë¥¼ 가리켜 구조재(構造ç½)ê°€ ë°œìƒí–ˆë‹¤ê³  표현하려 한다.


êµ¬ì¡°ìž¬ì˜ ë‘드러진 íŠ¹ì§•ì€ ë‘ ê°€ì§€ë‹¤. 하나는 눈앞ì—서 ë°œìƒí•œ ì‚¬ê³ ì˜ ì±…ìž„ì„ ë„대체 ì–´ë””ì— ë¬¼ì–´ì•¼ 좋ì„ì§€ ì•„ë¬´ë„ ì§ìž‘하지 못한다. 구조재는 ì²œìž¬ë„ ì•„ë‹ˆê³  금방 ì‹ë³„í•  수 있는 ì¸ìž¬ë„ 아니다. ì–´ë””ì—ì„œë„ êµ¬ì¡°ìž¬ë¥¼ ê°ë‹¹í•  ê³³ì„ ì°¾ì„ ìˆ˜ 없다. 법 ì œë„, 전문가, 관료 기구, ì˜íšŒ, 민간 사회 ê°™ì€ ì—¬ëŸ¬ 관계 ì£¼ì²´ì˜ í‹ˆìœ¼ë¡œ ì‚¬ê³ ì˜ ì±…ìž„ 문제가 ë¼ì–´ 들어온다는 ë¶ˆëª…ë£Œì„±ì´ ì¡´ìž¬í•œë‹¤. ë™ì‹œì— ì±…ìž„ì˜ ì†Œìž¬ë¥¼ 확정하는 ë° 80ë…„ì´ë‚˜ 걸릴 ë§Œí¼ ë°©ëŒ€í•œ ì‹œê°„ì„ ë‹¤ ì¨ ë²„ë ¤ì•¼ 한다. êµ¬ì¡°ìž¬ì˜ ë˜ ë‹¤ë¥¸ íŠ¹ì§•ì€ ê·€ì±…ì˜ ì†Œìž¬ë¥¼ 확정하기 위해 방대한 ì‹œê°„ì´ ê²½ê³¼í•˜ëŠ” 사ì´ì— 불ì´ìµì„ 당하는 당사ìžëŠ” ê·€ì±…ì˜ ì†Œìž¬ í™•ì •ì— ê´€ì—¬í•˜ëŠ” 주체가 ì•„ë‹ˆë¼ ê·¸ ê¸°ìˆ ì„ ë„입한 ìƒì‚° 공정ì—서 ì¼í•˜ëŠ” ì¼ë°˜ ë…¸ë™ìžë“¤ì´ë¼ëŠ” ì ì´ë‹¤. 문제를 규정하는 ìžì™€ 불ì´ìµì˜ 당사ìžê°€ 명확하게 ë¶„ë¦¬ëœ ìƒí™©, 다시 ë§í•´ í˜„ìž¥ì˜ ì‹¤íƒœë¥¼ 경시하기 쉬운 ìƒí™©ì´ë¼ê³  í•  수 있다.


êµ¬ì¡°ìž¬ì˜ ì´ ë‘ ê°€ì§€ íŠ¹ì§•ì€ ì„œë¡œ 어울려 ìž˜ëª»ëœ ì„ ë¡€ë¥¼ 답습하거나 ì ìž¬ì ì†Œì˜ 처치를 ìžì£¼ 빗겨 나ê°ìœ¼ë¡œì¨ 좋든 ì‹«ë“  ê¸°ì¡´ì˜ ì •í˜•ì ì¸ í‹€(예를 들어 ‘사고사’)로 문제를 ë®ì–´ 버리게 ë˜ëŠ” ê²½í–¥ì´ ê°•í•˜ë‹¤. ë”°ë¼ì„œ 구조재는 ë¬¸ì œì˜ í•´ê²°ì€ì»¤ë…• 시야ì—서 ë¬¸ì œì˜ ì†Œìž¬ë¥¼ 가려 버린다. ë˜í•œ 당사ìžì—게는 계ì†í•´ì„œ 불ì´ìµì„ 안겨 줄 ê°€ëŠ¥ì„±ì´ ë†’ë‹¤.


그렇다면 ì´ìœ ì•¼ 어떻든 구조재가 í•˜ë‚˜ì˜ ê³„ê¸°ê°€ ë˜ì–´ 과학/기술/사회 계ì—서 ì´ì™€ ê°™ì€ ê°€ëŠ¥ì„±ì„ ì‹¤í˜„ì‹œí‚¨ ìƒíƒœì•¼ë§ë¡œ ì´ ì±…ì´ ì£¼ìž¥í•˜ëŠ” ‘지(知)ì˜ ì‹¤íŒ¨â€™ì¼ ê²ƒì´ë‹¤. 즉, ‘지(知)ì˜ ì‹¤íŒ¨â€™ëž€ ëˆˆì— ë³´ì´ì§€ 않는 êµ¬ì¡°ìž¬ì— ì˜í•´ ê³„ì† ë¶ˆì´ìµì„ 당하는 ì‚¬ëžŒì´ ìƒê²¨ë‚˜ê³ , 아울러 ëˆˆì— ë³´ì´ì§€ 않는 임계ì ì— ì´ë¥´ëŸ¬ 스스로 ë¶•ê´´í•  ê°€ëŠ¥ì„±ì„ ëŠìž„ì—†ì´ í’ˆê³  있으며, 과학/기술/ì‚¬íšŒì˜ ë³µìž¡í•œ ìƒí˜¸ ìžìš©ì´ 섞여 있는 과학/기술/ì‚¬íšŒì˜ ìƒíƒœë¥¼ 가리킨다.


4 리스í¬ë¡  비íŒ

앞ì—서 규정한 ‘지(知)ì˜ ì‹¤íŒ¨â€™ë¥¼ ì¼ìœ¼í‚¨ ìƒí™©ì—서 ì‚¬ì•ˆì˜ ì™€ì¤‘ì— ëª¸ì„ ë‘” 당사ìž(예를 들어 과학ìž, 기술ìž, ìƒì‚° ê³µì •ì˜ ë…¸ë™ìž 등)ê°€ 보기ì—는 ì¼(예를 들어 사고)ì´ í„°ì§€ê³  나서야 ë’·ì „ì—서 수군대며 마ìŒëŒ€ë¡œ ë§í•  수 있다고 ëŠë‚„ì§€ 모른다. 그렇게 ëŠë¼ëŠ” ì¢…ë¥˜ì˜ ë¹„íŒì€ ì–´ë””ì—나 ì ì§€ 않다. 그런 당사ìžì˜ ëŠë‚Œì´ ì–´ë–¤ ìž„ê³„ëŸ‰ì„ ë„˜ì—ˆì„ ë•Œ, 당ìžê°€ê°€ 과학ìžì´ë“  기술ìžì´ë“  ìƒì‚° ê³µì •ì˜ ë…¸ë™ìžì´ë“  ì˜ë¡€ì  관심과 무관심, 머릿수 맞추기 등 êµ¬ì¡°ìž¬ì˜ íŠ¹ì„±ì„ ë°”ê¾¸ëŠ” ì¼ ì—†ì´ ëŒ€ì±…ì´ë¼ëŠ” ì´ë¦„으로 ì¼ë ¨ì˜ ì²´ë©´ ìœ ì§€ì±…ì´ ë‚˜ì˜¬ 수 있다. ê·¸ 후 ì´ìµì„ 위한 비당사ìžì˜ 비íŒê³¼ 당사ìžì˜ ì²´ë©´ ìœ ì§€ì±…ì„ ìž¬ìƒì‚°í•˜ê¸° 위해 시간과 ìžì›ì„ í•œì—†ì´ ë‚­ë¹„í•  수 있다는 ê²ƒë„ ìƒìƒí•˜ê¸° 어렵지 않다. 그런 ìƒíƒœê°€ 실현ë˜ì—ˆì„ 때 당사ìžì™€ 비당사ìžê°€ 함께 ì†í•œ 과학/기술/사회 계는 ê³¼ê±°ì˜ ì‚¬ê±´ì„ í†µí•´ 학습하는 ëŠ¥ë ¥ì„ ìžƒì–´ë²„ë¦¬ê³  ê°™ì€ í˜•íƒœì˜ â€˜ì§€(知)ì˜ ì‹¤íŒ¨â€™ë¥¼ ê³„ì† ì–‘ì‚°í•˜ë¦¬ë¼ëŠ” ì ë„ ìƒìƒí•˜ê¸° 어렵지 않다.


리스í¬(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미래ì ì´ê³  ì§‘í•©ì ì¸ 불ì´ìµ)ê°€ 강한 ë¶ˆí™•ì‹¤ì„±ì„ ë™ë°˜í•  경우, 리스í¬ì— 대처하는 ì˜ì‚¬ ê²°ì •ì˜ ìž¥ë©´ì—서는 개방형 ì§€ì¹¨ì„ ì±„ìš©í•  ê°€ëŠ¥ì„±ì´ ë†’ë‹¤. 개방형 지침ì´ëž€ ì „ë¬¸ê°€ì— ì˜í•´ 최대한 ë¶ˆí™•ì‹¤ì„±ì„ ì¤„ì´ê³ , 그럼ì—ë„ ë¶ˆí™•ì‹¤ì„±ì´ ë‚¨ëŠ” 리스í¬ì— 대해서는 전문가를 뛰어넘는 광범위한 ë¹„ì „ë¬¸ê°€ì˜ ì°¸ì—¬ì— ì˜í•´ ì‚¬ì „ì— ì˜ì‚¬ ê²°ì •ì„ í•œë‹¤ëŠ” ì§€ì¹¨ì„ ê°€ë¦¬í‚¨ë‹¤. 개방형 ì§€ì¹¨ì€ ì „ë¬¸ê°€ë¥¼ 넘어서는 광범위한 ì‚¬ëžŒë“¤ì´ ë‹¤ì–‘í™”í•˜ê³  ìµëª…화하는 ê²½í–¥ì„ ë¤ë‹¤. ì´ ì§€ì¹¨ì— ì˜í•œ ì˜ì‚¬ ê²°ì •ì—서 ‘지(知)ì˜ ì‹¤íŒ¨â€™ì— ê´€ë ¨ëœ ê°€ìž¥ 본질ì ì¸ 문제는 전문가ì´ë“  다양화ë˜ê³  ìµëª…í™”ëœ ë¹„ì „ë¬¸ê°€ì´ì¦Œ, 불확실한 리스í¬ì— 대한 여러 ì£¼ì²´ì˜ ì§‘í•©ì  ì˜ì‚¬ ê²°ì •ì´ ê²°ê³¼ì ìœ¼ë¡œ 무한 ì±…ìž„ì„ ë°œìƒì‹œí‚¬ 수 있다는 것ì´ë‹¤.



과학 기술 ì •ì±…ì˜ ë”œë ˆë§ˆ

과학 기술 ì •ì±…ì„ ë§Œë“œëŠ” ë‹´ë¡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ì‚¬ê±´ì— ëŒ€í•œ 공통 ì´í•´ê°€ 성립하는 ê³¼ì •ì„ ìƒê°í•˜ë©´, ê° ë¶€ë¬¸ì˜ ì´í•´ ë°©ì‹ì— ì°¨ì´ê°€ 존재한다는 전제가 성립한다. ê·¸ëŸ°ë° STS 매트릭스 방법(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 ìƒíƒœë¥¼ 행렬 형ì‹ì— ë”°ë¼ ê¸°ìˆ í•˜ëŠ” 방법)ì„ ì‚¬ìš©í•´ 현실ì—서는 ì–´ë–¤ ì°¨ì´ê°€ 존재하는지 살펴보면, í¥ë¯¸ë¡­ê²Œë„ 과학 기술 ê²°ì •ë¡ ê³¼ 사회 ê²°ì •ë¡ ì´ ì°¨ì§€í•˜ëŠ” ë¹„ìœ¨ì´ ëª¨ë“  부분ì—서 ê±°ì˜ ê· ë“±í•˜ê³ , 부문 ê°„ ì°¨ì´ëŠ” ‘전혀’ë¼ê³  í•´ë„ ì¢‹ì„ ë§Œí¼ ë‚˜íƒ€ë‚˜ì§€ 않는다. ì´ëŠ” 모든 ë¶€ë¶„ì— ê³¼í•™ 기술 ê²°ì •ë¡ ì— ì†í•˜ëŠ” íŒë‹¨ 구조와 사회 ê²°ì •ë¡ ì— ì†í•˜ëŠ” íŒë‹¨ 구조가 ê±°ì˜ ê°™ì€ ë¹„ìœ¨ë¡œ ê³µì¡´í•¨ì„ ì˜ë¯¸í•œë‹¤. ê²°êµ­ ë¬¸ì œì˜ ì¢…ë¥˜ì™€ 측면, 입장과 ìŸì ì´ 어떻든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ì‚¬ê±´ì„ ì´í•´í•˜ëŠ” 단ì¼í•œ í˜•ì´ ë¶€ë¬¸ì— ê´€ê³„ì—†ì´ ê±°ì˜ ì „ì—­ì„ ë’¤ë®ëŠ” ìƒíƒœê°€ 나타난다.


ì´ë ‡ê²Œ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예측 ë¶ˆí—ˆì˜ ì‚¬ê±´ì„ ì•„ì£¼ 단ì¼í•œ íŒë‹¨ 구조로 ì´í•´í•˜ëŠ” ìƒíƒœë¥¼ ì§€(知)ì˜ ê²½ê³„ 문제ë¼ê³  ë¶€ë¥´ê³ ìž í•œë‹¤.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다양하고 예측할 수 없는 ì‚¬ê±´ì„ ì´í•´í•˜ë ¤ëŠ” 행위는 ì§€(知)ì˜ í‹ˆìƒˆì— ì§ë©´í•˜ê³ , ì‚¬ê±´ì— ëŒ€í•œ ì´í•´ë¥¼ ë•는 ì§€(知)ì˜ í‹€ì˜ ë¶€ìž¬ ìƒíƒœëŠ” 계ì†ëœë‹¤. 그런 ìƒíƒœì—서는 ë ìˆ˜ë¡ 여러 ìƒì´í•œ ì´í•´ ë°©ì‹ì„ ì¡°í•©í•´ ì‚¬ê±´ì˜ ì „ì²´ìƒì„ íƒìƒ‰í•˜ê³ , ì‚¬ê±´ì˜ ë‹¤ì–‘ì„±ê³¼ ë¶ˆí™•ì‹¤ì„±ì— ëŒ€ì²˜í•˜ëŠ” ê²ƒì´ ë°”ëžŒì§í•˜ë‹¤. 만약 처ìŒë¶€í„° 단ì¼í•œ ì´í•´ ë°©ì‹ì— ì˜í•´ ì •ì±…ì„ ìž…ì•ˆí•˜ê³  시행한다면, 현실ì—서 ë°œìƒí•˜ëŠ” ì‚¬ê±´ì˜ ë‹¤ì–‘ì„±ê³¼ 예측 ë¶ˆê°€ëŠ¥ì„±ì— ì˜í•´ 배신당할 ê°€ëŠ¥ì„±ì´ ë†’ë‹¤.


과학 기술 복합체와 ë¬¸ì œì˜ ì „ì²´ìƒ

과학/기술/사회 계 전체를 관통하는 ê²ƒì€ ë§¤ìš° 어렵다. ë³µìˆ˜ì˜ ìž…ìž¥ì— ë”°ë¥¸ ìƒì´í•œ ê¸°ìˆ ì„ ì¢…í•©í•´ ë¬¸ì œì˜ ì „ì²´ìƒì— 접근하는 ë°©ë²•ì„ ì·¨í•˜ì§€ 않으면, 부담과 ì´ìµ, 불ì´ìµì˜ 분배를 ë™ì‹œì— 다루는 ë…¼ì˜ëŠ” 경계 ë¬¸ì œì˜ ë²”ì£¼ ì•ˆì— ë§¤ëª°ë˜ì–´ ì‹¤ì§ˆì  ì˜ë¯¸ë¥¼ 지니지 못한다. 즉 ì‚¬íšŒì˜ ê° ë¶€ë¶„ì´ ì§€ë‹Œ ê³ ìœ ì˜ ìž…ìž¥ì„ ì² ë‘철미 고수하고, ê° ë¶€ë¶„ì— ê³ ìœ í•œ 입장ì—서 ìƒì„¸í•œ 문제를 기술하는 ê²ƒì´ ê²½ê³„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불가피하다. ë™ì¼ ìŸì ì„ 둘러싼 다양하고 ìƒì„¸í•œ 문제를 기술해 당사ìžì™€ 관찰ìžì—게 ë™ì‹œì— 공유하지 않으면, 전형ì ì¸ ì´ë¶„ë²•ì  ê³ ì •ê´€ë…ì˜ ì •ì±…ì„ ìž…ì•ˆí•˜ê³  실행하기 쉽다.


ë”°ë¼ì„œ STS ìƒí˜¸ 작용ì´ë¼ëŠ” ê°œë…ì„ ë„ìž…í•˜ê³ ìž í•œë‹¤. STS ìƒí˜¸ 작용ì´ëž€ 과학/기술/사회가 ìžì›ì„ 주고받으며 서로 ì¡´ì†/변화/쇠퇴하는 ì–‘ìƒì„ 가리킨다. ì´ì— ì˜í•œ 사고방ì‹ì€ ë³µìˆ˜ì˜ ìƒì´í•œ ìž…ìž¥ì„ ê¸°ìˆ í•´ 종합할 때 ê³µí†µì˜ ì§€í‰ì„ 마련하는 ë…¼ì˜ì˜ 토대가 ëœë‹¤. 즉, STS ìƒí˜¸ ìž‘ìš©ì´ ì—¬ëŠ” 새로운 ì§€í‰ì€ 가장 뚜렷한 ìžì‹ ì˜ ìž…ìž¥ì„ ëª…ì‹œí•´ 문제를 ê¸°ìˆ í•¨ìœ¼ë¡œì¨ ê²½ê³„ 문제를 회피하고, STS ìƒí˜¸ 작용ì´ë¼ëŠ” ê³µí†µì˜ ìžë¦¬ì—서 ìƒì´í•œ 여러 ìž…ìž¥ì˜ ê¸°ìˆ ì„ ì¢…í•©í•´ ë¬¸ì œì˜ ì „ì²´ìƒì„ ì–»ìŒìœ¼ë¡œì¨ ë¶ˆí™•ì‹¤ì„±ì„ ë ìˆ˜ë¡ 축소해, 가능하면 ë¬¸ì œì˜ ì „ì²´ìƒì— 따른 ì˜ì‚¬ ê²°ì •ì˜ ì„ íƒì§€ë¥¼ 제시한다는 íŠ¹ì§•ì´ ìžˆë‹¤.



과학 기술 ë³µí•©ì²´ì— ëŒ€í•œ 기대와 ì„±ê³¼ì˜ ì‚¬íšŒì  ì˜ë¯¸

ì‹ ì—너지 ê¸°ìˆ ì˜ ë“±ìž¥

ì‹ ì—너지 기술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ê·¸ê²ƒë“¤ì˜ ê³µí†µì ì€ í™”ì„ ì—°ë£Œ, 특히 ì„유 ì›ë£Œì˜ ì—너지 ìƒì‚° ê¸°ìˆ ì„ ë³´ì™„í•˜ê±°ë‚˜ 대체하는 ê²ƒì„ ì–´ëŠ ì •ë„ ì—¼ë‘ì— ë‘” 기술ì´ë¼ëŠ” ì ì´ë‹¤. 하지만 ì‹ ì—너지 기술 ê°œë°œì˜ ì£¼ë ¥ì¸ ìž¬ìƒ ê°€ëŠ¥í•œ ì—너지 ì´ìš© 기술로 ì„유를 대체할 í•„ìš”ì„±ì€ 1970년대 초부터 ì§€êµ¬ì  ì°¨ì›ì—서 주장ë˜ì–´ 왔으나, 오늘날 ì„¸ê³„ì˜ 1ì°¨ ì—너지 공급 중 ìž¬ìƒ ê°€ëŠ¥ ì—너지 ë¹„ìœ¨ì€ ì—¬ì „ížˆ 10í¼ì„¼íЏ ì´í•˜ë‹¤. ì´ë ‡ë“¯ ìž¬ìƒ ê°€ëŠ¥ ì—ë„ˆì§€ì— ëŒ€í•œ 꿈과 ê·¸ê²ƒì˜ ê¸°ìˆ  ê°œë°œì´ ë‚³ì€ í˜„ì‹¤ì˜ ì„±ê³¼ 사ì´ì—는 현저한 ê°„ê²©ì´ ì¡´ìž¬í•œë‹¤. ì´ ê°„ê²©ì˜ ì›ì¸ì„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 ë©´ì—서 ë°œìƒí•˜ëŠ” 꿈과 í˜„ì‹¤ì˜ ê°„ê²©ì´ ë¬´ì—‡ì„ ë§í•´ 주는지 STS ìƒí˜¸ ìž‘ìš©ì„ í†µí•´ 구체ì ìœ¼ë¡œ ì§šì–´ 내는 ìž‘ì—…ì´ ì¤‘ìš”í•˜ë‹¤.


ì´ëŸ° ê´€ì ì—서 ë³´ë©´ 바다로 ë‘˜ëŸ¬ì‹¸ì¸ ì¼ë³¸ì˜ í•´ì–‘ì—너지 ì´ìš© ê¸°ìˆ ì€ ì§€ë¦¬ ì¡°ê±´ì„ í™œìš©í•œ ìž¬ìƒ ê°€ëŠ¥ ì—너지 ì´ìš© ê¸°ìˆ ì˜ ì „í˜•ì¼ ë¿ ì•„ë‹ˆë¼ ê·¸ 기술 ê°œë°œì˜ ê¿ˆê³¼ í˜„ì‹¤ì˜ ê°„ê²©ì„ ë‹¨ì ìœ¼ë¡œ ì—¿ë³¼ 수 있는 ì‚¬ë¡€ì¼ ê²ƒì´ë‹¤. 특히 í•´ì–‘ 온ë„ì°¨ 발전, OTECì˜ ê°œë°œì€ ì „ëžµì ìœ¼ë¡œ 주목할 만하다.


ì¼ë³¸ì—서 OTECì˜ ì—°êµ¬ì™€ ê°œë°œì€ 197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 미국, ì¼ë³¸ 세 나ë¼ê°€ ì„ ë„ì ì¸ ì—­í• ì„ ë§¡ì•˜ê³ , 1980ë…„ëŒ€ì— ë“¤ì–´ì˜¤ë©´ì„œ í˜„ì‹¤ì  ê¸°ëŒ€ê°€ 높아졌다. 1990년대ì—는 ì„¸ê³„ì  ê·œëª¨ë¡œ 연구와 ê°œë°œì´ ë³¸ê²©í™”ë˜ì–´ 여러 íŒ€ì´ ë‹¤íˆ¬ì–´ 참여했으나, 21ì„¸ê¸°ì— ì´ë¥¸ 오늘날 OTECì˜ ìƒìš© 플랜트는 í•˜ë‚˜ë„ ë‚¨ì•„ 있지 않다.


ì¼ë³¸ì˜ OTEC 개발 과정

OTEC 개발 경로는 ë‘ ê°€ì§€ ì ì—서 ê³ ì „ì  ì„ ë¡€ë¥¼ 바탕으로 ì •ì‹í™”한 STS ìƒí˜¸ 작용과 다르다. 첫째, ìš°ì„  사회로부터 ìš”ì²­ì„ ë°›ì•„ 연구하고 개발했다. 둘째, 그러나 경제성 ì „ë§ì´ ì–´ë‘워 ê²°êµ­ ì‚¬íšŒì  ìš”ì²­ì— ë¶€ì‘하지 못한 채 STS ìƒí˜¸ ìž‘ìš©ì€ ë„ì¤‘ì— ì‚¬ë¼ì§„다. ì‚¬íšŒì˜ ìš”ì²­ì„ ë°›ì•„ 착수한 연구와 개발ì—는 강력한 ì‚¬íšŒì  ê¸°ëŒ€ê°€ ë”°ë¼ë¶™ì§€ë§Œ, ê·¸ ê²°ê³¼ì— ê²½ì œì„±ì´ ì—†ìœ¼ë©´ ìš”ì²­ì— ë¶€ì‘하지 못하고 STS ìƒí˜¸ ìž‘ìš©ì´ ë„ì¤‘ì— ì¤‘ë‹¨ë˜ëŠ” ê²ƒì´ í˜„ì‹¤ì´ë‹¤. ì´ëŸ° í˜„ì‹¤ì— ë¶€ë”ªì¹˜ë©´ ì‚¬íšŒì˜ ê°•ë ¥í•œ 기대를 받고 지출한 ì„ í–‰ 투ìžë¥¼ 회수할 수 없게 하는 거대한 ê°„ê²©ì´ í•„ì—°ì ìœ¼ë¡œ ë°œìƒí•œë‹¤.


불확실성과 ì˜ì‚¬ ê²°ì •

OTECì€ ìž¬ëž˜ì˜ ë°œì „ 플랜트보다 ì—´ ì°¨ì´ê°€ 아주 ì ì€ í•´ì–‘ì˜ ì˜¨ë„차를 ì´ìš©í•˜ê¸° ë•Œë¬¸ì— ë°œì „ê³„ì˜ íš¨ìœ¨ì— ëŒ€í•œ 요구가 훨씬 엄격하고, ë”°ë¼ì„œ ì œì•½ì´ í° ì¡°ê±´ì—서 ì¼ì •한 íš¨ìœ¨ì„ ì‹¤í˜„í•´ì•¼ 발전계 ìžì²´ê°€ 성립한다. ë”°ë¼ì„œ 어떻게 효율, 특히 ì—´ 사ì´í´ íš¨ìœ¨ì„ ë†’ì´ëŠëƒê°€ 초기 기술 ê°œë°œì´ ì§ë©´í•œ ê²°ì •ì  ë¬¸ì œì˜€ë‹¤. í쇄 사ì´í´ì˜ OTEC ê°œë°œì„ ì¶”ì§„í•œ ì¼ë³¸ì˜ 경우, ì´ ë¬¸ì œëŠ” ë¬´ì—‡ì„ ìž‘ì˜¹ 유체로 ì„ íƒí•˜ëŠëƒ 하는 것ì´ì—ˆë‹¤. 그래서 후보로 ì„ íƒí•œ ê²ƒì´ í”„ë¡ ì´ì—ˆë‹¤. ê·¸ëŸ°ë° í”„ë¡ ì€ ê½¤ ìƒì´í•œ ì‚¬íšŒì  ë¬¸ë§¥ì—ì„œë„ í° ê´€ì‹¬ì„ ëª¨ì•˜ë‹¤. í”„ë¡ ì— ì˜í•œ 성층권 오존층 파괴가 그것ì´ë‹¤.


ì´ë ‡ë“¯ OTECì˜ ê°œë°œ 과정ì—는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¹›ì´ì—ˆë˜ 것(OTECì˜ ìœ ë ¥í•œ ìž‘ë™ ìœ ì²´ í˜¸ë³´ì¸ í”„ë¡ )ì´ ê·¸ë¦¼ìž(ê´‘ì—­ì  í•´ì–‘ 환경ì´ë‚˜ 성층권 오전층 파괴 물질 í›„ë³´ì¸ í”„ë¡ )로 바뀌는 ê³¼ì •ì„ ë³¼ 수 있다. ë¹›ì—서 그림ìžë¡œ 바뀌는 ê³¼ì •ì€ ë¶ˆí™•ì‹¤ì„± 아래ì—서 ì˜ì‚¬ ê²°ì • ë°©ì‹ ë¬¸ì œë¡œ 귀착한다.


나아가야 할까, 멈춰야 할까

거꾸로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그림ìžì˜€ë˜ ê²ƒì´ ë¹›ìœ¼ë¡œ 바뀔 ì§•ì¡°ë„ OTEC 개발 ì´í›„ì˜ ê²°ê³¼ë¥¼ 통해 나타난다. OTECê°€ ê²½ì œì„±ì„ ë‹¬ì„±í•˜ë ¤ëŠ” 시ë„ì˜ ì‹¤íŒ¨ë¥¼ 통해 태어난 íŒŒìƒ ê¸°ìˆ ì˜ ì „ìš©ì´ ê·¸ 예ì´ë‹¤. ì´ ê³¼ì •ë„ ë¶ˆí™•ì‹¤ì„± 아래ì—ì„œì˜ ì˜ì‚¬ ê²°ì • ë°©ì‹ ë¬¸ì œë¡œ 귀착한다.


다만 ë¶ˆí™•ì‹¤ì„±ì´ ë¼ì–´ë“¤ 때 ëˆˆì— ë„는 ì°¨ì´ê°€ 있다. ë¹›ì´ ê·¸ë¦¼ìžë¡œ 바뀌는 과정ì—서는 단ì¼í•œ 목ì ì— 공헌하는 ë³µìˆ˜ì˜ ìˆ˜ë‹¨ì„ ì„ íƒí•  때 ë¶ˆí™•ì‹¤ì„±ì´ ë¼ì–´ë“ ë‹¤. ì´ì— 반해 그림ìžê°€ 빛으로 바뀌는 과정ì—서는 단ì¼í•œ ìˆ˜ë‹¨ì´ ê³µí—Œí•˜ëŠ” ë³µìˆ˜ì˜ ëª©ì ì„ ì„ íƒí•  때 ë¶ˆí™•ì‹¤ì„±ì´ ë¼ì–´ë“ ë‹¤.



‘지(知)ì˜ ì‹¤íŒ¨â€™ë¥¼ 극복하기 위해

학제 ê°„ ì—°êµ¬ì˜ í†µë…ì— ë“¤ëŸ¬ë¶™ëŠ” 환ìƒ

학제 ê°„ 연구ì—서 ì´ì§ˆì ì¸ ì§€(知)ì˜ ê²½ê³„ë¥¼ ë„˜ì„ ë¿ì¸ êµì„­ì´ë¼ë©´ ìƒí˜¸ í’부화와 ìƒí˜¸ 불모화를 ë˜‘ê°™ì´ ì´ˆëž˜í•  ê°€ëŠ¥ì„±ì´ ìžˆë‹¤. 만약 ê²°ê³¼ì ìœ¼ë¡œ ìƒí˜¸ 불모화가 ì¼ì–´ë‚œ 경우 구조ì ì¸ 문제가 있는 ì§€(知)ê°€ 따로 존재하는 경우보다 훨씬 ì¦í­ëœ, 그리고 ë‹¹ì‚¬ìž ì™¸ì—는 쉽게 ë³´ì´ì§€ 않는 ë³µí•©ì  ì†ìƒì„ì§€(知) ì „ì²´ì— ê°€ì ¸ë‹¤ì¤€ë‹¤. 그러나 학제 ê°„ ì—°êµ¬ì˜ í†µë…ì€ ì´ ì ì„ 등한시하고 있다.


êµì„­ì˜ 시ë„ê°€ ìƒí˜¸ í’ë¶€í™”ì— ì´ë¥´ëŠ” ì´ì¢… êµë°°ë¥¼ 초래하는 ì¡°ê±´ì€ ì ì–´ë„ ê°ê°ì˜ ì§€(知)ì˜ í’ˆì§ˆì— ëŒ€í•´ ë³µìˆ˜ì˜ ì´ì§ˆì ì¸ ì§€(知)ì˜ ë‹´ë‹¹ìžë“¤ì´ ìžê¸° ì–¸ê¸‰ì„ í•´ì•¼ 한다는 것ì´ë‹¤. êµì„­ì— 앞서 ë˜ëŠ” êµì„­ê³¼ 병행해 ì§€(知)ì˜ ê° ì˜ì—­ì´ 구조ì ìœ¼ë¡œ 안고 있는 ë¬¸ì œì  ë˜ëŠ” 지향하는 ì§€(知)와 í˜„ì‹¤ì˜ êµì„­ 사ì´ì˜ ê±°ë¦¬ì— ëŒ€í•œ ìžê¸° ì–¸ê¸‰ì„ ë¶€ì •ì  ìžê¸° 언급ì´ë¼ê³  í•  수 있다. 그렇다면 ë¶€ì •ì  ìžê¸° ì–¸ê¸‰ì€ í•™ì œ ê°„ ì—°êµ¬ì˜ ì‹œë„ì— ìƒí˜¸ ë¶ˆëª¨í™”ì˜ ê°€ëŠ¥ì„±ì„ ë¶€ë‹¨ížˆ 검출하고, ìƒí˜¸ í’ë¶€í™”ì˜ ì´ìƒì— 비추어 ìƒí˜¸ ë¶ˆëª¨í™”ì— ì´ë¥´ëŠ” ê¸¸ì„ í”¼í•˜ê¸° 위한 불가결한 ì¡°ê±´ì´ë‹¤.


하지만 당사ìžê°€ ë¶€ì •ì  ìžê¸° ì–¸ê¸‰ì„ ì‹¤í–‰í–ˆë‹¤ê³  해서 ìžë™ìœ¼ë¡œ ìƒí˜¸ í’부화로 ì´ì–´ì§€ëŠ” ê²ƒì€ ì•„ë‹ˆë‹¤. 그렇다면 ìƒí˜¸ 불모화를 회피하기 위해 ë¶€ì •ì  ìžê¸° ì–¸ê¸‰ì„ ì–´ë–»ê²Œ 활용해야 할까? ì¼ë°˜ì ìœ¼ë¡œ 확정 ìƒíƒœë¥¼ 결정하는 ì¡°ê±´ì„ ì°¾ì•„ë‚´ê¸°ë³´ë‹¤ëŠ” 실현 가능 ìƒíƒœë¥¼ 결정하는 ì¡°ê±´ì„ ì°¾ì•„ë‚´ëŠ” íŽ¸ì´ ìˆ˜ì›”í•  ë¿ ì•„ë‹ˆë¼ í•˜ë‚˜ì˜ ëŒ€ë‹µì„ ê³ ì§‘í•  í•„ìš”ë„ ì—†ë‹¤. 여러 사례를 참고해 ë³µìˆ˜ì˜ ë‹µì•ˆ 후보를 ìŒë¯¸í•´ ë³¼ 수 있기 때문ì´ë‹¤. ì´ì¢… êµë°°ì—서 ë¶€ì •ì  ìžê¸° ì–¸ê¸‰ì˜ í™œìš©ì„ ì°¾ì•„ë‚¸ë‹¤ëŠ” ë¬¸ì œë„ ë§ˆì°¬ê°€ì§€ë‹¤.


닫힌 엘리트 노선

STSì˜ ìœ¤ê³½ì„ ì¢€ ë” í™•ì‹¤í•˜ê²Œ í•´ ë‘ìž. 여기ì—서 ë§í•˜ëŠ” STS란 1980년대부터 주로 서구ì—서 과학 ê¸°ìˆ ì˜ ì‚¬íšŒ 연구ìž, 과학 ê¸°ìˆ ì˜ ì‚¬íšŒ ë¬¸ì œì— ê´€í•œ 활ë™ê°€ ë“±ì„ ì¤‘ì‹¬ìœ¼ë¡œ ì‚¬ìš©ëœ ë§ì´ë‹¤. ì´ê²ƒì€ 사회 편ì—서 ì´í•´í•  수 있는 과학 ê¸°ìˆ ì˜ ëª…ë‹´ì„ ë¶„ì•¼ 횡단ì /문제 지향ì ìœ¼ë¡œ 제시하거나 다양한 í•´ë„ì„ í†µí•´ í†µì œí•˜ê³ ìž í•˜ëŠ” 시ë„ì˜ ì´ì¹­ì´ë‹¤.


ì§€ì  ìƒì‚°ìž¬ë¡œì„œ STS란 신쿤파 ì´ëž˜ì˜ 과학 기술 사회학ì—서 출발해 과학 ì§€ì‹ ì‚¬íšŒí•™, ê¸°ìˆ ì˜ ì´ì¢… 시스템 í•´ì„ ë“±ì„ ê±°ì³ í˜„ìž¬ì— ì´ë¼ëŠ” 과학 ê¸°ìˆ ì˜ ì‚¬íšŒ 연구 ì´ë¡ ì„ 중심으로 한 ë‹´ë¡ ì„ ê°€ë¦¬í‚¨ë‹¤. 특정 ê³¼í•™ìž ì§‘ë‹¨ê³¼ 기술 집단 ë‚´ë¶€ì˜ êµ¬ì¡°ë¥¼ 미세하게 기술하고 ë¶„ì„하는 ë° ì í•©í•œ ê°œë… ìž¥ì¹˜ë¡œ 검출할 수 있는 ì‚¬íšŒì˜ ìš”ì†Œë¥¼ 임시방편으로 ë…¼ì˜í•˜ëŠ” ê²½í–¥ì´ ìžˆìœ¼ë©°, 좋든 ì‹«ë“  학제로서 ìžê¸° ì™„ê²°ì„±ì´ ë†’ì€ ì—˜ë¦¬íŠ¸ 노선ì´ë¼ í•  수 있다. 다른 한편 ì§€ì  ì†Œë¹„ìž¬ë¡œì„œ STS란 ìžê°ì ì´ë“  아니든 다양한 ì§€ì—­ì˜ ë‹¤ì–‘í•œ ìš´ë™ê³¼ 발맞추어 전개해 온 대중 ë…¸ì„ ì˜ ê²½í–¥ì´ ê°•í•˜ë‹¤. ë”°ë¼ì„œ 다소 ê¸°ì¡´ì˜ í•™ì œê°€ 붕괴하는 ê²½í–¥ì„ ë¤ë‹¤.


ì§€ì  ìƒì‚°ìž¬ë¡œì„œ STSì˜ í•µì‹¬ì„ ë‚´ìž¬ì ìœ¼ë¡œ 검토해 ë³´ë©´ STS는 ë¶€ì •ì  ìžê¸° ì–¸ê¸‰ì„ ê²°ì—¬í•˜ê³  있고 í쇄ì ì¸ 학제 ê°„ ì—°êµ¬ì˜ ê²½í–¥ì„ ë¤ë‹¤. 학제 ê°„ ì—°êµ¬ì— ì˜í•œ ì •ì¹˜ì  ì„±ê³¼ë¡œ ì¸í•´ ì›ëž˜ STSê°€ ì™¸ì¹˜ë˜ ì·¨ì§€, 즉 과학과 ê¸°ìˆ ì— ì–½í˜€ 있는 다종다양한 ì‚¬íšŒì  ì¸¡ë©´ì„ í•´ëª…í•˜ëŠ” 중요성과 ì¼ë°˜ì¸ë“¤ì´ ì›í•˜ëŠ” 과학 ê¸°ìˆ ì˜ ì‚¬íšŒ 문제를 해결하는 ì¤‘ìš”ì„±ì„ ê°„ë‹¨ížˆ ì§€ë‚˜ì³ ë²„ë¦¬ëŠ” ìƒí˜¸ ë¬¼ëª¨í™”ì˜ ê²½í–¥ì„ ë“œëŸ¬ë‚´ê¸° 때문ì´ë‹¤.


닫힌 대중 노선

여기ì—서 ë§í•˜ëŠ” ì§€ì  ì†Œë¹„ìž¬ë¡œì„œ STS는 다양한 ì§€ì—­ì˜ ë‹¤ì–‘í•œ ìš´ë™ê³¼ 함께 ì „ê°œë˜ì–´ 왔다. 그렇기 ë•Œë¬¸ì— ì§€ì  ìƒì‚°ìž¬ë¡œì„œ STS와는 다를 ë¿ ì•„ë‹ˆë¼ ë‹´ë¡ êµ°ì˜ ì´ë¡ ì  기초를 ì´ë£¨ëŠ” 핵심 ë¶€ë¶„ì„ íŠ¹ì •í•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 오히려 ê°ê°ì˜ ë…¼ìžê°€ ê°ê°ì˜ ìƒí™©ì— 대ì‘í•´ ê°ê° 안고 있는 로컬한 ì£¼ì œì— ëŒ€í•´ ë‚˜ë¦„ì˜ ë°©ì‹ìœ¼ë¡œ ë‹´ë¡ ì„ ë‚´ë†“ëŠ” íë¦„ì´ ì§€ë°°ì ì´ë‹¤. 예를 들면 ì¸ì¢…, 소수 민족, 성, ì—°ë ¹, 특정 종êµ, 특정 지역 등 주제는 실로 다채롭다. ì´ë ‡ê²Œ í­ì´ ë„“ì€ ì§€ì  ì†Œë¹„ìž¬ë¡œì„œ STSì˜ ëŒ€ì¤‘ 노선 ê°€ìš´ë° ì „ë¬¸ê°€ì™€ 비전문가 사ì´ì˜ ì´ì¢… êµë°°ë¥¼ 지향하는 ë‹´ë¡ ì„ ë°”íƒ•ìœ¼ë¡œ 오늘날 ì´ì¢… êµë°°ì˜ 대중 ë…¸ì„ ì´ ì§ë©´í•œ 문제 ìƒí™©ì„ 살펴보면 ì´ë ‡ë‹¤.


지금까지 ì§€ì†ë˜ì–´ 온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ì´ì˜ ì´ì¢… êµìž¬ì— 대한 대조ì ì¸ 시ë„는 ì–´ëŠ ê²ƒì´ë“  ì•…ìˆœí™˜ì˜ ë®ì—서 빠져나가는 ë°©ë²•ì„ ì°¾ì•„ë‚´ê¸°ëŠ”ì»¤ë…• 지향하는 ì§€(知)ì˜ ëª¨ìŠµê³¼ 현실ì ì¸ êµì„­ 사ì´ì˜ ê±°ë¦¬ì— ëŒ€í•´ ë¶€ì •ì  ìžê¸° ì–¸ê¸‰ì„ í•˜ì§€ 않는다. 참으로 ê°ê°ì˜ 입장ì—서 â€˜ì§€ì  ë¹ˆê³¤ì˜ ë«â€™ì„ 깨닫고 있는지 심히 ì˜ì‹¬ìŠ¤ëŸ½ë‹¤. 만약 깨닫고 있으면서 모르는 척하는 ê²ƒì´ ì•„ë‹ˆë¼ë©´, STSì˜ ëŒ€ì¤‘ ë…¸ì„ ì€ ì—˜ë¦¬íŠ¸ 노선과 다른 ì˜ë¯¸ì—서 ë¶€ì •ì  ìžê¸° ì–¸ê¸‰ì„ ê²°ì—¬í•œ í쇄ì ì¸ ì´ì¢… êµë°°ê°€ ë  ìˆ˜ 있다. 즉 ì „ë¬¸ê°€ì˜ ì§€ì‹ ìƒì‚°ê³¼ 시민 ì°¸ì—¬ì˜ ìœµí–¡ì´ë¼ëŠ” ê°€ë©´ì„ ì“°ê³  â€˜ì§€ì  ë¹ˆê³¤ì˜ ë«â€™ì„ í•œì—†ì´ ë°˜ë³µí•˜ëŠ” ìƒí˜¸ 불모화로 빠져든다.


전문가와 ë¹„ì „ë¬¸ê°€ì˜ í•©ìž‘ ì¡°ê±´

ìƒí˜¸ ë¶ˆëª¨í™”ì˜ ê°€ëŠ¥ì„±ì„ íšŒí”¼í•˜ëŠ” ìˆ˜ë‹¨ì€ ë‘ ê°€ì§€ì´ë‹¤. 전문가와 ë¹„ì „ë¬¸ê°€ì˜ ê´€ê³„ë¥¼ 대국ì ì´ê³  구체ì ìœ¼ë¡œ 제시하는 것, 그리고 ë¶€ì •ì  ìžê¸° 언급, 특히 지향하는 ì§€(知)ì˜ ëª¨ìŠµê³¼ 현실ì ì¸ êµì„­ 사ì´ì˜ ê±°ë¦¬ì— ëŒ€í•œ ìžê¸° 언급ì´ë‹¤.


전문가와 비전문가는 ì†ì¸ì (屬人的) 실체가 아니다. ê·¸ë“¤ì€ ì „ë¬¸ ì§€ì‹ì˜ 종류가 다르면 서로 바뀔 수 있는 관계ì ì¸ ê°œë…ì´ë‹¤. ë¹„ì „ë¬¸ê°€ì˜ ì´ì˜ 제기와 아울러 전문 ì§€ì‹ì— 대한 ì „ë¬¸ê°€ì˜ ë¶€ì •ì  ìžê¸° ì–¸ê¸‰ì„ í†µí•´ 과학/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ë¬¸ì œì˜ í•´ëª…ê³¼ í•´ê²°ì„ ì§€í–¥í•˜ëŠ” 행위는 과연 ì „ë¬¸ê°€ì˜ í–‰ìœ„ë¼ê³  í•  수 있ì„까?


그렇다는 ëŒ€ë‹µì€ ê³¼í•™/기술/ì‚¬íšŒì˜ ê²½ê³„ì—서 ë°œìƒí•˜ëŠ” 현ìƒì˜ 해명과 문제 í•´ê²°ì„ ê·¸ë•Œë§ˆê°€ 임기ì‘ë³€ì— ë§¡ê¸°ëŠ” ê²ƒì€ í•˜ëŠ˜ì— ìš´ì„ ë§¡ê¸°ëŠ” 것과 같기 때문ì´ë‹¤. 아무리 강한 ë¶ˆí™•ì‹¤ì„±ì„ ë™ë°˜í•œë‹¤ê³  í•´ë„ ì£¼ì–´ì§„ ìƒí™©ì— 충실하게 ë…¼ì¦ê³¼ 실ì¦ì„ 통해 주ë„면밀하게 현ìƒì„ 해명하고 신중하게 문제 í•´ê²°ì˜ ë°©ì±…ì„ ê¶ë¦¬í•˜ë©° ìžê°ì ìœ¼ë¡œ ì˜ì‚¬ë¥¼ 결정하는 것, ì´ê²ƒì´ ì¸ê°„ê³¼ ë™ë¬¼ì„ 구별하는 최대 특성ì´ë‹¤. ë¹„ë¡ ìƒí™©ì´ í˜„ìƒ í•´ëª…ê³¼ 문제 í•´ê²°ì„ í—ˆìš©í•˜ì§€ 않는다고 í•´ë„ ë가지 í¬ê¸°í•˜ì§€ 않고 ì¸ê°„다운 íŠ¹ì„±ì„ ìœ ì§€í•˜ëŠ” ê²ƒì´ ì „ë¬¸ê°€ì˜ í–‰ìœ„ì—¬ì•¼ 한다.


그렇지 않다는 ëŒ€ë‹µì€ ê·¸ë ‡ë‹¤ëŠ” ëŒ€ë‹µì˜ ì´ìœ ì™€ 반대다. 전문가가 주어진 ìƒí™©ì—서 마지막까지 í¬ê¸°í•˜ì§€ 않고 ê³„ì† ë…¸ë ¥í•´ë„ ê°•í•œ ë¶ˆí™•ì‹¤ì„±ì— ì˜í•´ 전문ìžì˜ 행위가 별 효과를 ë‚´ì§€ 못하는 사태가 충분히 ìžˆì„ ìˆ˜ 있다. 그때는 ìµœì„ ì˜ ì „ë¬¸ ì§€ì‹ì„ 통ì›í•´ 현ìƒì„ 해명한 ê²°ê³¼ 전문ìžëŠ” 문제 í•´ê²°ì˜ ë°©ì±…ì„ ë¹„ì „ë¬¸ê°€ì—게 제시하고, 비전문가는 전문가ì—게 ê·¸ 시ì ì—서 ëŠë¼ëŠ” 불ì´ìµì„ 전달한다. 그래서 전문가와 ë¹„ì „ë¬¸ê°€ì˜ í•©ì˜ ì•„ëž˜ ë‚©ë“í•  수 있는 ì˜ì‚¬ ê²°ì •ì„ í•˜ê³  ì‘ë¶„ì˜ ì±…ìž„ì„ ì§€ê³  í–‰ë™ê³¼ 결과를 ì„ íƒí•˜ëŠ” ê¸¸ì´ ì¡´ìž¬í•œë‹¤.


ì´ëŸ° ì¼ì€ ì „ë¬¸ê°€ë§Œì˜ í–‰ìœ„ëŠ” 아니다. 전문가와 ë¹„ì „ë¬¸ê°€ì˜ í•©ìž‘ì´ë¼ê³  ë§í•´ì•¼ í•  것ì´ë‹¤. ì• ì´ˆ 모든 ì‚¬ì•ˆì— ëŒ€í•œ 전문가는 ìžˆì„ ìˆ˜ 없다. 그렇다면 예측 불가능한 현ìƒì„ 해명하고 문제 í•´ê²°ì— ê´€ì—¬í•˜ëŠ” ì‚¬ëžŒì€ ì „ë¬¸ê°€ì¸ ë™ì‹œì— ë¹„ì „ë¬¸ê°€ì¼ ìˆ˜ë°–ì— ì—†ë‹¤. ê²°êµ­ ìƒí˜¸ í’부화를 가능하게 하는 ì´ì¢… êµë°°ì— 기여하는 전문ìžì˜ 파트너, ê·¸ê²ƒì´ ì¢‹ì€ ë¹„ì „ë¬¸ê°€ì¼ ê²ƒì´ë‹¤. ì´ê²ƒì´ ‘지(知)ì˜ ì‹¤íŒ¨â€™ë¥¼ 극복하기 위한 ì›ì¹™ìœ¼ë¡œì„œ ì´ì¢… êµë°°ì˜ ì´ë…ì´ ì´ì•¼ê¸°í•˜ëŠ” 바다.



ìžê¸° 언급/ìžê¸° ì¡°ì§í˜• 제언

기술 관료주ì˜ì™€ 거리를 둔다

‘지(知)ì˜ ì‹¤íŒ¨â€™ì˜ íšŒí”¼ì™€ ê·¹ë³µì€ êµ¬ì¡° ë³€í˜ì˜ ì˜ì§€ë¥¼ 기술 관료주ì˜ì™€ 공유한다. 그러나 유토피아로 í˜ëŸ¬ê°€ê¸° 쉬운 ë³€í˜ì˜ 장대한 ì²­ì‚¬ì§„ì„ ì œì‹œí•˜ëŠ” ì¼ì€ 절제한다. 그리고 보통 ì‚¬ëžŒì˜ ìƒìƒë ¥ì— 호소해 가능한 ë³€í˜ì˜ 전략과 논리를 제시한다. 나아가 ê¸°ì¡´ì˜ êµ¬ì¡°ë¥¼ 전제로 한 지위 향항 ìš´ë™ì´ ì•„ë‹ˆë¼ ëˆˆì•žì˜ ìƒíƒœë¥¼ ì§ì‹œí•˜ë©° 비íŒìžì˜ 지위를 í™•ë¦½í•˜ê³ ìž í•œë‹¤. ì´ê²ƒì´ 바로 기술 관료주ì˜ì™€ëŠ” 명료하게 ì„ ì„ ê¸‹ëŠ” ì§€ì ì´ë‹¤.


기줄 다중 민주주ì˜ì™€ 거리를 둔다

과학 ê¸°ìˆ ì„ ë‘˜ëŸ¬ì‹¼ ì˜ì‚¬ ê²°ì • 과정ì—서 ì°¸ì—¬í˜•ì˜ í•©ì˜ í˜•ì„± ë°©ë²•ì„ ê³ ì•ˆí•´ ë„입한 시ì ì€ 그리 오래ë˜ì§€ 않았다. ëŒ€ë¶€ë¶„ì˜ ë°©ë²•ì´ 1980년대 서구ì—서 등장해 서서히 ë„ìž…ë˜ì—ˆë‹¤. 그러나 ì´ ë°©ë²•ì€ ì•„ë¬´ë¦¬ 옹호하는 ë§ì„ 늘어놓아ë„, 누가 누구를 전문가로 ì¸ì •하고 누가 누구를 비전문가로 ì¸ì •하는가ë¼ëŠ” 주최ìžì˜ ìƒê°ì— ê±°ì˜ ì „ë©´ì ìœ¼ë¡œ ì˜ì¡´í•œë‹¤ëŠ” 기본 íŠ¹ì„±ì€ ë³€í•˜ì§€ 않는다. ì´ ê¸°ë³¸ 특성ì—서 유래하는 í•©ì˜ íšŒì˜ì˜ 근본ì ì¸ 문제ì ì€ 민주주ì˜ì˜ 빛과 그림ìžê°€ 표리ì¼ì²´ 관계로 공존할 수 있다는 ê´€ì ì´ ê±°ì˜ ëˆ„ë½ë˜ì–´ 있다는 것ì´ë‹¤. 민주주ì˜ì˜ 외부 ì ëŒ€ ì„¸ë ¥ì— ê´€í•œ ì €í•­ì˜ ê´€ì ì´ í¬ìž¥ì„ 바꾸어 í•©ì˜ íšŒì˜ë¥¼ 둘러싼 ìƒí™©ì„ 지배하고 있기 때문ì´ë‹¤. ì´ ê²½ìš° ì™¸ë¶€ì˜ ì ì´ëž€ ì •ì²´ì  ì „ì²´ì£¼ì˜ê°€ 아니다. 외부ì˜ì ì€ 오히려 몇 ëª…ì˜ ì „ë¬¸ê°€ì— ì˜í•œ ì˜ì‚¬ ê²°ì • ë°©ì‹ì´ë‹¤.

ì°¸ì—¬í˜•ì˜ í•©ì˜ í˜•ì„± 방법ì´ë¼ëŠ” 형ì‹ì´ 미묘한 ì‚¬ì•ˆì— ê´€í•œ 과학 ê¸°ìˆ ì˜ ë¯¼ì£¼ì£¼ì˜ë¥¼ 담보하지는 않는다. 미묘한 ì‚¬ì•ˆì— ê´€í•œ ì°¸ì—¬í˜•ì˜ í•©ì˜ í˜•ì„± 방법ì´ë¼ëŠ” 형태는 기술 민주주ì˜(민ì˜ë¥¼ ë°˜ì˜í•˜ê¸° 위해 민주ì ìœ¼ë¡œ ì˜ì‚¬ ê²°ì •ì„ í•˜ëŠ” ìƒíƒœ)와 기술 다중 민주주ì˜(ë¯¼ì˜ ë°˜ì˜ì´ë¼ëŠ” ì´ë¦„ì„ ë¹Œë ¤ ì´ìµì„ 유ë„하는 ìƒíƒœ)ë¼ëŠ”, 비슷하지만 다른 ë‘ ê°€ì§€ ìƒíƒœë¡œ 나아갈 수 있다.


í•©ì˜ íšŒì˜ê°€ ìƒì§•하는 ì°¸ì—¬í˜•ì˜ í•©ì˜ í˜•ì„± 방법 ë‹´ë¡ ì€ ê¸°ìˆ  다중 민주주ì˜ì˜ ê°€ëŠ¥ì„±ì„ ì´ì œê¹Œì§€ 완전히 등한시했다. ‘지(知)ì˜ ì‹¤íŒ¨â€™ë¥¼ 회피하고 극복하는 행위는 ê·¸ ê°€ëŠ¥ì„±ì„ ëšœë ·ì´ ë¶€ê°ì‹œí‚¨ë‹¤ëŠ” ì ì—서 ì°¸ì—¬í˜•ì˜ í•©ì˜ í˜•ì„±ë§Œ 기대하는 시ë„와 ì„ ì„ ê¸‹ëŠ”ë‹¤.


밑바탕부터 ì œë„를 재설계하ìž

한쪽으로는 기술 관료주ì˜, 다른 한쪽으로는 기술 다중 민주주ì˜ì™€ 거리를 ë‘ë©° ì¼ë³¸ 사회가 ì–´ëŠ í•œìª½ìœ¼ë¡œ 나아가는 회로를 차단할 ë°©ì±…ì„ ì–´ë–»ê²Œ 구체화할까?


ì´ ì˜ë¬¸ì˜ ë‹µì€ ë°”ë¡œ ë¶€ì •ì  ìžê¸° 언급ì´ë‹¤. ì´ ì›ì¹™ì€ 유토피아로 í˜ëŸ¬ê°ˆì§€ 모르는 ë³€í˜ì˜ 장대한 청사진 제시를 좀 절제하고, 보통 ì‚¬ëžŒì˜ ìƒìƒë ¥ì— 호소해 가능한 ë³€í˜ì˜ 전략과 논리를 제시하기 위해 중요한 ì—­í• ì„ ìˆ˜í–‰í•  수 있다. ì´ë¥¼ 위해서는 ë¶€ì •ì  ìžê¸° ì–¸ê¸‰ì„ ë¯¸ë¦¬ 고정시켜 ì œë„를 재설계해야 한다. ì´ë¥¼ 테면 과학/기술/사회 사ì´ì˜ 구조를 정하는 ë° í° ì˜í–¥ë ¥ì„ 지닌 ëˆì˜ í름, 특히 사회가 과학 ê¸°ìˆ ì— íˆ¬ìž…í•˜ëŠ” íë¦„ì— ê°œìž…í•˜ëŠ” 것ì´ë‹¤. 과학 ê¸°ìˆ ì˜ ì‚¬íšŒì  í†µì œ 수간으로서 ê²½ìŸì  ìžê¸ˆì˜ ë¹„ì¤‘ì´ ì¦ëŒ€í•˜ëŠ” ê²½í–¥ì´ ì¡´ìž¬í•œë‹¤ë©´, ê²½ìŸì  ìžê¸ˆì˜ ë°°ë¶„ ë°©ì‹ ì•ˆì— ìžê¸° ì–¸ê¸‰ì„ ë¯¸ë¦¬ 고정시켜 ì œë„를 재설계해야 한다.

* * *


본 ë„서 정보는 우수 ë„서 í™ë³´ë¥¼ 위해 저작권ìžë¡œë¶€í„° ì •ì‹ì¸ê°€ë¥¼ 얻어 ë„ì„œì˜ ë‚´ìš© ì¼ë¶€ë¥¼ 발췌 요약한 것으로, ì €ìž‘ê¶Œë²•ì— ì˜í•˜ì—¬ 저작권ìžì˜ ì •ì‹ì¸ê°€ ì—†ì´ ë¬´ë‹¨ì „ìž¬, 무단복제 ë° ì „ì†¡ì„ í•  수 없으며, ì›ë³¸ ë„ì„œì˜ ëª¨ë“  ì¶œíŒê¶Œê³¼ ì „ì†¡ê¶Œì€ ì €ìž‘ê¶Œìžì—게 있ìŒì„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