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연령 갈등
- 세대의 전쟁인가, 새로운 계약의 시작인가
끊임없이 변하는 세상에서 세대는 서로 다른 기억과 기대를 안고 마주선다. 기성세대가 지켜온 가치와 청년 세대가 요구하는 미래는 충돌하며 새로운 균열을 만든다. 이 갈등은 한국을 넘어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남반구까지 번지며 세계사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의 두 세대 전선: 민주화 세대와 공정 세대
한국은 세대 갈등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나라 중 하나다. ‘민주화 세대’로 불리는 586세대(50~60대)는 민주화 운동의 경험을 공유하며, 집단적 연대와 사회 개혁의 가치를 중시한다. 이들은 한국 정치에서 오랫동안 진보 진영의 핵심을 형성해왔고, 스스로 민주주의 수호자의 역할을 자임해왔다. 그러나 새로운 세대인 20대 남성들은 전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이들은 "공정"이라는 키워드에 집착하며, 취업난·부동산 가격·젠더 갈등에서 비롯된 불평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최근 몇 년간의 선거와 여론조사 결과는 이러한 대립을 수치로 보여준다. 20대 남성은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성향이 높고, 같은 연령대 여성은 진보적 경향이 강하다. 같은 세대 안에서도 성별로 갈라지는 독특한 구조다. 이는 한국의 갈등이 단순히 ‘세대 갈등’이 아니라, ‘세대 내 성별 갈등’까지 중첩된 복합 구조임을 말해준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층은 기성세대를 "불공정의 책임자"로 지목하고, 586세대는 청년을 "역사적 맥락을 모르는 세대"라 비판한다. 양쪽 모두 타협의 언어를 잃고 있는 것이다.
결국 한국의 세대 갈등은 미래를 둘러싼 주도권 싸움이다. 청년은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부담을 떠안지 않겠다"고 외치고, 기성세대는 "우리가 지켜온 민주주의를 무시하지 말라"고 맞선다. 이 충돌이 해소되지 않는 한, 한국 사회의 정치적 지형은 앞으로도 요동칠 가능성이 크다.
미국: “OK Boomer”가 던진 세대 전쟁의 선언
미국에서는 “OK Boomer”라는 밈이 상징하듯, 베이비붐 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갈등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 출생)는 미국 경제의 황금기를 누렸고, 주택·고용·복지 등 사회적 자원을 축적한 세대다. 반면 밀레니얼(1981~1996년)과 Z세대(1997년 이후 출생)는 학자금 대출에 시달리고, 고용 불안정과 주거난에 내몰려 있다. 두 세대의 경제적 출발선은 극단적으로 달라졌다.
기후변화 문제는 갈등의 핵심 중 하나다. 젊은 세대는 기후위기를 "자신들의 생존 문제"로 본다. 반면 기성세대는 산업 기반과 기존 경제 질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트럼프 시대의 기후 정책 후퇴에 젊은 세대가 분노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치적 성향 역시 극명하게 갈린다. 젊은 세대는 낙태권 보장, 총기 규제, 사회적 다양성을 지지하지만, 고령층은 전통적 가치와 보수주의를 옹호한다.
2016년 대선과 2020년 대선에서 나타난 투표 패턴은 이러한 세대 간 전선을 수치로 보여준다. 트럼프 지지층은 주로 고령 백인이었고, 청년층은 샌더스나 클린턴을 선택했다. 이는 단순한 가치 차이가 아니라, "누가 미래를 결정할 권리를 갖는가"라는 세대적 투쟁이었다. 미국의 세대 갈등은 앞으로도 민주당과 공화당의 정치 대결 구도 속에서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유럽: 연금과 기후를 두고 갈라진 세대의 거리
유럽에서는 경제와 복지를 둘러싼 세대 갈등이 가장 첨예하다. 프랑스의 경우 2023년 연금 개혁 반대 시위에서 젊은 세대는 "노인 세대의 안락한 노후를 위해 청년이 희생된다"며 분노했다.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과 불안정 고용은 곧바로 세금 부담으로 이어지고, 이는 연금 재정에 흡수된다. 결국 세대 간 재분배 구조가 불만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독일은 다른 방식으로 갈등을 드러냈다. 청년층은 "기후 세대"라는 이름으로 Fridays for Future 운동을 조직해 정치적 압력을 행사했다. 그들은 기성세대가 경제 성장을 명분으로 기후위기를 방치했다고 비판한다. 실제로 독일 자동차 산업 로비와 친환경 정책 간의 충돌은 세대 대립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브렉시트가 세대 전쟁의 무대였다. 고령층은 EU 탈퇴를 선택했지만, 젊은 세대는 EU 잔류를 지지했다. 결과는 고령층의 압도적 투표율 덕분에 탈퇴가 결정되었고, 젊은 세대는 자신의 미래가 무너졌다고 느꼈다. "당신들의 과거가 우리의 미래를 훔쳤다"는 청년들의 구호는 세대 갈등의 본질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중국: “탕핑·드러눕기, 躺平)” 세대와 부모 세대의 불협화음
중국에서는 경제 고도 성장기를 경험한 '기성세대'와, 성장 둔화와 고용 불안을 겪는 '청년 세대'가 첨예하게 대비된다. 부모 세대는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사고방식 속에서 절약과 근면을 미덕으로 삼았지만, 젊은 세대는 “탕핑(드러눕기)”이라는 키워드로 저항한다. 이는 과도한 경쟁 사회와 부동산 가격, 끝없는 업무 스트레스 속에서 ‘더 이상 열심히 살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중국 정부는 이 현상을 사회 불안 요소로 보고 경계한다. 하지만 청년층은 현실적 불가능성을 지적한다. 안정적 일자리와 결혼·출산이 어려운 상황에서, 부모 세대가 강조하는 "성공 서사"는 공허하게 들린다. 또 디지털 검열이 심한 사회에서 청년들은 인터넷 밈을 통해 우회적으로 불만을 표현한다. "내 인생은 가짜"라는 표현이나, 자조적 유머가 퍼지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중국의 세대 갈등은 단순한 가치 충돌을 넘어, '체제에 대한 정당성 문제'와도 연결된다. 청년층이 "중국몽"이라는 국가 비전에서 소외감을 느낀다면, 그 불만은 정치적 잠재 위험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본: 잃어버린 세대의 한숨과 고령 세대의 벽
일본의 세대 갈등은 경제 불황의 장기화 속에서 더욱 고착화되었다. 1990년대 이후 "잃어버린 30년" 동안 사회에 진출한 세대는 '로스트 제너레이션(취업 빙하기 세대)'으로 불린다. 이들은 안정적 정규직 일자리를 얻지 못했고, 비정규직과 저임금 구조에 묶여 중년이 되었다. 반면 전후 고도성장기를 경험한 '고령 세대'는 여전히 연금과 자산을 통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청년층의 불만은 두 가지로 표출된다. 하나는 "우리 세대만 희생되었다"는 분노, 또 하나는 "어차피 변하지 않는다"는 체념이다. 일본의 낮은 출산율과 청년층 정치 무관심은 이와 깊이 연관된다. 정치적으로도 고령층의 투표율과 영향력이 압도적이어서, 정책은 기성세대 중심으로 짜인다. 청년 세대의 목소리는 사회적 주변부로 밀려난다.
그러나 최근에는 "청년 정치 참여 운동"과 "1인 가구 문화"를 중심으로 세대 변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다. 일본의 세대 갈등은 한국과 달리 직접적인 정치 대립보다는, '경제·사회적 구조 속에서 조용히 진행되는 불평등'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남반구의 청년 폭발: 인구는 젊지만 권력은 늙었다
아프리카, 중동, 남미는 전 세계에서 가장 청년 인구 비율이 높다. 하지만 정치 권력은 노인 세대가 독점한다. 나이지리아, 우간다, 짐바브웨 같은 나라에서는 인구 절반 이상이 25세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지도자는 70대 이상인 경우가 많다. 이 불균형은 사회 불안정의 씨앗이 된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아랍의 봄은 청년 세대의 불만이 폭발한 대표 사례다. 청년들은 일자리 부족, 부패 정치, 독재 체제에 맞서 거리로 나섰다. 하지만 체제 전환 이후에도 구조적 문제는 여전하다. 아프리카에서도 마찬가지다. 청년들은 SNS를 활용해 정치적 참여를 확대하고 있지만, 권력 구조를 바꾸기는 쉽지 않다.
남미의 칠레에서는 지하철 요금 인상에 반발한 청년 시위가 전국적 정치 개혁으로 번졌다. 결국 헌법 개정 논의까지 이어졌는데, 이는 단순한 경제적 불만이 아니라 "세대의 정의"를 요구하는 목소리였다. 이처럼 글로벌 남반구의 세대 갈등은 서구와 달리 "체제 자체의 정당성"을 흔드는 특징을 갖는다.
인터넷 세대의 전쟁터: 밈으로 소비되는 갈등
인터넷과 SNS는 세대 갈등을 증폭시키는 거대한 확성기다. 미국에서 "OK Boomer"가 빠르게 확산되었듯, 온라인 공간은 세대 갈등을 유머와 풍자, 조롱의 방식으로 끌어올린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진지한 분노와 불신이 있다.
한국에서는 586세대와 2030세대가 유튜브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첨예하게 맞붙는다. "운동권 기득권"이라는 프레임과 "역사적 무지 세대"라는 반격은 서로를 향한 불신을 키운다. 일본에서는 ‘로스트 제너레이션(취업 빙하기 세대)’과 그 윗세대 간의 갈등이 온라인에서 재현된다. 청년층은 취업난과 불안정 노동을 겪으면서도, 기성세대를 ‘안정된 직장 세대’라 비난한다.
밈과 인터넷 유머는 표면적으로는 가볍지만, 갈등을 고착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기성세대를 풍자하며 웃음을 나누지만, 이는 동시에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집단"이라는 인식을 강화한다.
미래는 갈라설까, 함께할까?
앞으로 세대 갈등은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청년은 세금과 연금 부담을 떠안고, 노인은 자신들의 안정적 생활을 지키려 한다. 정치적으로는 청년 정치인의 부상이 새로운 변화를 만들 수 있지만, 갈등을 치유하기보다는 새로운 분열을 낳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가능성은 있다. 세대 간 협력은 기후위기 대응, 복지 제도의 지속 가능성, 사회적 연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일부 국가는 세대별 정책 협의 기구를 설치하거나, 세대 혼합형 주거와 돌봄 모델을 실험하고 있다. 이는 갈등을 줄이고 연대를 강화하는 작은 출발점이다.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청년의 불만을 흡수하지 못하면 정치적 극단주의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청년과 노년이 함께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한다면, 갈등은 사회 혁신의 동력이 될 수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세대 간 분열을 새로운 사회 계약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가"이다.
Global Generational Conflicts
- War of Generations, or the Beginning of a New Social Contract?
In a world of constant change, generations face each other with different memories and expectations.
The values preserved by the older generations and the futures demanded by the younger ones collide, creating new fractures.
This conflict stretches beyond Korea to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Japan, and the Global South, shaping a new current in world history.
Korea’s Two Frontlines: The Democratization Generation and the Fairness Generation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here generational conflict is most clearly revealed. The so-called “586 Generation” (people now in their 50s and 60s), also known as the “Democratization Generation,” shares the experience of the democracy movement and emphasizes collective solidarity and the value of social reform. They have long formed the backbone of Korea’s progressive camp and have positioned themselves as guardians of democracy. However, the new generation of men in their 20s speaks a completely different language. They cling to the keyword “fairness,” and react sensitively to inequalities stemming from job insecurity, soaring housing prices, and gender conflicts.
In recent years, election results and opinion polls have displayed this division in numbers. Men in their 20s tend to support conservative parties, while women of the same age group lean progressive. Even within a single generation, there is a unique divide along gender lines. This shows that Korea’s conflict is not simply a “generational conflict,” but a compounded structure that includes “intra-generational gender conflict.” In this situation, young people accuse the older generation of being “responsible for unfairness,” while the 586 Generation criticizes the youth as a “generation ignorant of historical context.” Both sides have lost the language of compromise.
Ultimately, Korea’s generational conflict is a struggle over the ownership of the future. The young declare, “We will not bear unbearable burdens,” while the older generation retorts, “Do not disregard the democracy we fought to protect.” Unless this clash is resolved, the political landscape of Korean society is likely to remain turbulent.
United States: “OK Boomer” as a Declaration of Generational War
In the United States, the meme “OK Boomer” symbolizes the blatant conflict between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s. The Baby Boomers (born 1946–1964) lived through the golden age of the U.S. economy and accumulated social resources such as housing, stable jobs, and welfare. By contrast, Millennials (born 1981–1996) and Generation Z (born after 1997) are burdened with student debt, driven into unstable employment, and squeezed out of housing markets. The economic starting points of the two generations differ dramatically.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core points of contention. Younger generations see the climate crisis as “a matter of survival.” Older generations, however, are more inclined to preserve industrial bases and existing economic structures. This is why younger Americans grew angry when climate policies were rolled back during the Trump era. Political orientation is just as polarized: younger generations support abortion rights, gun control, and social diversity, while older generations uphold traditional values and conservatism.
The voting patterns of the 2016 and 2020 presidential elections make this generational divide clear in numbers. Trump’s base consisted largely of older white voters, while younger voters chose Sanders or Clinton. This was not merely a difference in values, but a generational struggle over “who has the right to decide the future.” U.S. generational conflict will likely intensify further within the Democratic–Republican political battleground.
Europe: Divided by Pensions and Climate
In Europe, generational conflicts are most acute around the economy and welfare. In France, during the 2023 protests against pension reform, younger generations expressed anger that “the young are being sacrificed for the comfortable retirement of the elderly.” High youth unemployment and unstable jobs translate directly into tax burdens, which are funneled into pension funds. Intergenerational redistribution becomes the source of resentment.
Germany revealed the conflict in another way. Young people, calling themselves the “climate generation,” organized the Fridays for Future movement to exert political pressure. They criticized older generations for neglecting the climate crisis in the name of economic growth. In fact, the clash between the German automobile lobby and environmental policies can be seen as a microcosm of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United Kingdom, Brexit was a stage for generational war. Older voters chose to leave the EU, while young voters overwhelmingly supported remaining. The outcome—Leave—was decided thanks to the high turnout of older voters, and young people felt their future had been shattered. The slogan of the youth, “Your past has stolen our future,” succinctly captured the essence of generational conflict.
China: The “Tangping (Lying Flat)” Generation and Discord with Parents
In China, the stark contrast lies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who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younger generation, who face slowing growth and job insecurity. Parents prize frugality and diligence under the belief that “hardship eventually leads to happiness,” but the younger generation resists with the keyword “躺平 (tǎngpíng, lying flat).” It represents a refusal to strive in an overcompetitive society burdened by skyrocketing housing prices and endless work pressure.
The Chinese government regards this trend as a potential source of social instability. But the youth point out its practical impossibility: secure jobs, marriage, and childbirth are out of reach, making the “success stories” emphasized by their parents ring hollow. In a society under tight digital censorship, young people use internet memes to express dissatisfaction indirectly. Phrases like “my life is fake” or self-mocking humor spread widely in this context.
Generational conflict in China goes beyond value differences; it connects to questions of legitimacy of the system itself. If the youth feel alienated from the national vision of the “Chinese Dream,” their discontent could evolve into latent political risk.
Japan: The Sigh of the Lost Generation and the Wall of the Elderly
In Japan, generational conflict has been solidified by prolonged economic stagnation. Those who entered society during the “lost three decades” since the 1990s are called the Lost Generation (employment ice age generation). They failed to secure stable, regular jobs and remained trapped in non-regular, low-wage work well into middle age. Meanwhile, the older generation who lived through the postwar high-growth era remain relatively secure with pensions and assets.
The discontent of young people is expressed in two ways: anger that “only our generation was sacrificed,” and resignation that “nothing will ever change.” Japan’s low birthrate and youth political apathy are deeply connected to this. Politically, the overwhelming turnout and influence of the elderly mean that policies are crafted around older generations. The voices of young people are marginalized to the periphery of society.
However, recent years have seen the rise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movements” and cultural shifts like the spread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demand generational change. Japan’s generational conflict is less about direct political confrontation, and more about quietly entrenched inequalities embedded i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The Youth Explosion of the Global South: A Young Population, but Old Power
Africa, the Middle East, and Latin America have the highest proportion of young people in the world. Yet political power is monopolized by the elderly. In countries such as Nigeria, Uganda, and Zimbabwe, more than half the population is under 25, but national leaders are often over 70. This imbalance becomes a seed of social instability.
The Arab Spring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young people’s discontent erupting. Youth took to the streets against unemployment, corruption, and authoritarian regimes. But even after regime changes, structural problems persist. The same holds true in Africa: young people leverage social media to expand political participation, but changing entrenched power structures is not easy.
In Latin America, Chile’s protests against subway fare hikes spiraled into a nationwide movement for political reform. Eventually, it led to constitutional reform debates. This was not merely economic dissatisfaction, but a demand for “generational justice.” Thus,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Global South, unlike in the West, has the distinctive feature of shaking the legitimacy of the entire system.
The Internet as the Battleground: Conflicts Consumed as Memes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act as massive amplifiers of generational conflict. Just as “OK Boomer” spread rapidly in the U.S., online spaces raise generational disputes through humor, satire, and mockery. Yet behind this lies genuine anger and distrust.
In Korea, the 586 Generation and the 2030 Generation clash fiercely on YouTube and online communities. The frame of “activist elites” and the counter-accusation of “historically ignorant youth” deepen mutual distrust. In Japan, the Lost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s replay their conflicts online. Young people, suffering from job scarcity and precarious labor, deride the older generation as “the secure job generation.”
Memes and internet humor may appear lighthearted, but they play a significant role in cementing divisions. Digital natives satirize the older generations with laughter, but this simultaneously reinforces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groups speaking different languages.”
Will the Future Divide, or Unite?
Generational conflict is likely to intensify further. As aging accelerates, young people shoulder the burden of taxes and pensions, while older generations defend their stable lifestyles. Politically, the rise of young leaders may bring change, but instead of healing conflict, it may create new fractures.
Yet there is still hope.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is essential for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sustaining welfare systems, and ensuring social solidarity. Some countries have created policy councils that include different generations, or experimented with mixed-generation housing and care models. These are small but meaningful starting points for reducing conflict and strengthening solidarity.
Korea faces the same challenge. If youth discontent is not absorbed, it may drift into political extremism. But if structures that bring young and old together are designed, conflict could become a driving force for social innovation. Ultimately, the crucial question is: “Can intergenerational division be transformed into an opportunity for a new social con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