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MO의 잠재력과 그 미래 |
|
공식적으로 ‘GMO’는 유전자 변형 유기체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유전 공학 기술을 사용하여 DNA를 변형시킨 모든 식물, 동물,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를 말한다. 원자력이나 인공지능과 마찬가지로 GMO는 수천 년 동안 인류를 괴롭힌 엄청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잘못 사용하면 큰 해를 끼칠 가능성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GMO를 ‘대단한 수많은 옵션(Great Many Options)’의 약자로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대단한 옵션에는 무엇이 있을까? 잠재력은 어디까지 일까? 무엇이 제한적 요소일까? 긍정적인 면을 포기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부정적인 면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을까? |
|
|
 |
미국의 인공지능 기반 ‘재산업화’ |
|
북미 지역에 재산업화의 시간이 오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1970년대 제조업의 도래와는 많이 다르다. 인공지능 때문이다. 미국 내 리쇼어링과 인공지능의 콜라보는 왜 동시에 진행되고 있을까? 이것이 투자와 경영, 정책, 소비 측면에 던지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 모든 것이 어떤 혜택을 가져올까? |
|
|
 |
혁신, 자급자족과 비물질화의 문을 열 |
|
모든 문명은 전략적 원자재에 대한 저렴하고 풍부한 접근에 의존하고 있다. 약 3천 년 전 청동기 시대는 주로 청동을 만드는 데 필요한 주석 공급망이 중단되면서 그 막을 내렸다. 21세기라고 다르지 않다. 지정학적 긴장과 급증하는 수요가 결합되어 현대 경제에 중요한 광범위한 광물과 관련되어 유사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과학자들이 저비용 고성능 대체재로 이러한 잠재적 위협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현재와 전망은 어떠할까?<br> |
|
|
 |
The Age of Watching |
|
Back in the early 1990s, a company called Tele-TV tried to launch a new service: television programs delivered over telephone lines. The first problem was that their technology wasn’t ready for prime time. It was still pretty much dream-ware in 1993. |
|
|
 |
의료 산업의 지도를 바꾸는 인공지능 |
|
지난 수십 년간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해묵은 관료주의적 논쟁 외에 특별한 발전이 눈에 띄지 않았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인공지능과 관련 기술은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인공지능 기술이 의료 서비스 산업에 접목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가? 기존 의료 전문가들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