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구폭발? 치명적인 오해 |
|
몽상가들이 시장에 변화를 이끄는 정상적인 여러 힘(Market Forces)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특정한 힘을 강조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 문제에 대한 가장 좋은 사례는 아마도 인구학(Demography)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몽상가들의 주장과 달리, 앞으로 10년 뒤 세계 인구는 절정에 달한 후 줄어들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인구수가 정점에 이르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세기 사회 제도가 혼란에 빠지면서 엄청난 인구의 노령화가 나타날 것이다. 예상되는 결과는 불길하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심각한 정책 과오로 인해 문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세계를 이끄는 지도자들 중 대부분은 이 사태를 여전히 파악하지 못하는 것 같다. 어떻게 해서 이 지경에까지 이르게 됐을까? 미국을 위시한 세계를 이끄는 국가들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경영자, 투자자, 그리고 시민으로서 이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br> |
|
|
 |
심리적 침체 Psychological |
|
<br>"글로벌 경쟁과 저임금 노동자(혹은 노동국)로의 무차별적인 이전으로 인해 국내 노동자들의 조직에 대한 소속감이 사라지고 있다. 컨퍼런스보드리뷰(The Conference Board Review)에서, 바드윅은 미국 근로자의 3분의 2나 되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새로운 직장을 찾고 있거나 현재 직장에서 적당히 시간을 때울 뿐이라고 대답한 조사를 언급한다. 실제로 이들 중 대다수는 육체적으로는 매일 직장에 출근하지만 정신적으로는 회사를 그만둔 것과 다름없다. 마음속으로는 이미 문 밖을 나온 것이다."<br> |
|
|
 |
세계화 - 더 행복한 세상을 위한 성 |
|
세계화가 21세기의 경제적 웰빙(economic well-being)을 위한 초석이 되려면 기술과 인구, 태도(attitudes)가 하나로 집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구 억제를 옹호하고, 사회주의를 환영하며 "산아 제한"을 떠받드는 많은 사람들이 반 세계화에 뜻을 함께 하고 있다. 그렇지만 반 세계화가 오히려 삶의 질 향상에 진정한 위협이다. |
|
|
 |
인터넷 시대와 프라이버시(Privac |
|
인터넷이 주는 혜택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인터넷의 특징인 투명성으로 인해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에 있어서는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이 두 가지 요소 "투명성"과 "취약성"의 수준에 따라 우리의 생활과 비즈니스는 상상도 못했던 방식으로 바뀔 것이다. 여기에는 어떤 기회가 놓여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런 상황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까? |
|
|
 |
살아있는 시체들의 경제 |
|
중앙 집중 형태의 정책 기획자들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의해 움직이는 거대 대중 시장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오늘날 "그렇다"고 주장하는 지식층 엘리트가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북한, 쿠바, 그리고 몇몇 실패한 국가를 제외하고 공산주의는 붕괴되었다. 유럽의 사회주의도 더디긴 하지만, 분명 서서히 없어지는 추세에 있다. 그럼에도 시대에 뒤떨어지는 주장은 왜 나오는 것일까? 미국만 해도 "신사회주의자(neo-socialists)"들은 가혹한 과세, 지나친 규제, 적극적인 수익 재분배 시대로의 회귀를 외치고 있다. 이렇게 부활하는 패러다임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