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과학 교사 엄띵이 쌤의
한자와 국어로 통하는 매력덩어리 과학 공부법
과학 개념이 덩어리째로 굴러오는
세 가지 맛 과학 공부법을 알려주마!
“과학이 어렵고 왜 공부하는지 또 어떻게 공부하는지 모르겠다고요? 아이들이 과학을 좀 더 가까이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쓴 이 책은 ‘과학 공부를 위한 한자와 국어의 콜라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학 지식 중 으뜸인 과학 개념이 대부분 한자어이고, 과학 교과서 속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을 읽는 기본기가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이게 과학책 맞나요? 아무 생각 없이 읽다 보니 과학에 관심이 생겼어요.’라고 말하는 학생이 많아지길 바라며, 작은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보려고 해요.” -〈들어가며〉에서
현직 과학 교사인 저자가 학생들에게 ‘과학 문해력’을 길러주고자 ‘한자’와 ‘국어’로 통하는 과학 공부의 비법을 전한다. 저자 성진주 교사는 과학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의 머릿속에 ‘과학 개념의 지도(map)’를 만들어주고 싶어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과학 공부에 필요한 나침반 두 개가 바로 ‘한자’와 ‘국어’라고 생각한 저자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온 경험과 노하우를 가득 담아 ‘세 가지 맛 과학 공부법’을 제안한다.
저자는 어려서부터 한자를 좋아해 한문을 전공으로 살리고 싶었지만, 대학에서 화학공학과 화학교육학을 공부한 후 19년째 과학 교사로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교사 생활 중에 국어의 중요성을 느껴 방송대에서 4년간 국문학을 공부했다. 이런 특별한 이력과 관심사가 저자의 과학 공부법ㆍ교수법에 녹아들어, 이 책 『엄띵이 쌤의 세 가지 맛 과학 공부법』이 출간되었다. 저자는 ‘교과서 읽기’를 무엇보다 강조한다. 교과서를 ‘빠르게’가 아니라 ‘정확하게’ 의미에 맞게 읽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한자’와 ‘국어’를 통해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문장 구성과 맥락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수다.
■ 작가정보
성진주
19년째 학교에서 학생들을 만나고 있는, 평범한 듯 보이지만 엉뚱하고 또 진지한 것을 참기 어려워하는 과학 교사. ‘엄띵이’는 엉뚱하다고 해서 어려서부터 자주 불리던 별명이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한자를 자연스럽게 만났다. 한자를 좋아해 한문학과에 진학하고 싶었지만 이루지 못하고 화학공학과에 들어갔다. 4년 동안 미적분만 공부한 것 같지만 후회는 없다. 교사가 되고 싶어 화학교육학과로 편입해, 응용과학과는 또 다른 느낌의 과학을 만났다. 교사가 된 후 글을 쓰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방송대에 입학해서 4년간 국문학을 공부했다.
과학 공부를 위한 한자와 국어 노하우를 한 권의 책에 녹여낸 『엄띵이 쌤의 세 가지 맛 과학 공부법』을 펴냈다. 과학이 어렵다고 말하는 학생들에게 과학 공부의 즐거움을 전하고 싶은 바람을 이 책에 담았다.
■ 목차
| 들어가며 | 세 가지 맛 과학 즐기기 7
1장. 과학과 만나기
1 · 과학을 왜 배우냐면요 19
과학을 공부하는 것이 엄청 멋진 일이거든요 | 문화와 문명 어느 것 하나 양보할 수 없다구요 | 미지수 같은 나를 풀어갈 때 필요해요
2 · 무엇보다, 과학은 매력덩어리랍니다 27
과학도 성격 있습니다 | 과학 지식은 틀림없는 진리일까요? | 작은 오차라도 있으면 찜찜한가요? 어때요? | 과학은 증거를 요구하는 짤없는 녀석이죠
3 · 교과서 속 과학은 세 가지를 공부하는 거예요 39
2장. 과학과 잇기
1 · 과학 지식의 종류는 외우는 거 아니에요 45
과학적 사실로 말씀드리면요 | 과학 개념이 가장 중요합니다 | 법칙도 그에 못지않긴 하지만요 | 원리를 뛰어넘고 싶다면야... | 이론으로 안내합니다 | 모형과 비유는 덤이에요
2 · 과학 탐구과정과 탐구기능은 기본이에요 61
그렇담, 탐구과정부터 시작해볼게요 | 실험 보고서와 쉽게 연결되나요? | 기초부터 통합 탐구기능까지 노크하면 ‘입장’한 거예요
3장. 한자, 과학에 가 닿기
1 · 한자가 있어야 과학 개념을 소개할 수 있어요 103
우리말은 한자와 통해요 | 한자마다 모양, 뜻, 음이 있어요 | 한자를 알면 과학 개념이 덩어리로 줄줄이 연결되죠
2 · 엄띵이식 11가지 한자부터 익혀봐요 111
3 · 우주를 먼저 볼게요 135
우주를 품은 거대한 시선으로 | 우주 개념표부터 훑어봐요 | 엄띵이식 개념표를 보는 방법은요
* 우주 개념표 144
4 · 지구에서 살아가는 생명도 만나보구요 151
생태계가 유지되려면 | 동물ㆍ식물에서 ‘구조와 기능’을 떠올려봐요 | 내외를 구분하면 과학 개념이 새롭게 보여요
* 생명 개념표 158
5 · 책상 위 그 물체가 보이나요? 165
여러 가지 ‘물체’와 ‘물체의 운동’을 파악해요 | ‘시간’은 과학에서 중요한 물리량이에요 | ‘힘’, ‘일’과 ‘에너지’의 관계를 이해해봐요 | 세상을 단위로 읽을 수 있어요 | 주어진 단위를 다르게 바꿀 수 있어요
* 물체 개념표 176
6 · 물체를 이루는 물질까지 정리하면 ‘통과’예요 183
물질에서 출발해서 상태 → 모양 → 양 → 정도 → 구성 → 성질 → 변화 → 방향까지 | 계와 주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봐요 | 기준이 되는 물리량으로 공식까지 이끌어내봐요
* 물질 개념표 190
4장. 국어, 과학이랑 친해지기
1 · 국어랑도 연결해볼 거예요 201
국어사전과 함께 과학 공부를! | 과학도 문해력이 기본이죠 | 과학 공부에도 요리처럼 재료와 레시피가 필요해요
2 · 엄띵이가 추천하는 33가지 덩어리는 필수예요 207
과학 교과서 독해를 위한 33가지 덩어리를 소개합니다
* 교과서 독해를 위한 33가지 덩어리 212
3 · 반의어와 상의어 · 하의어에도 관심 가져주세요 219
* 과학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반의어 종류 222
4 · 과학 개념과 구, 문장을 끊어서 읽어볼게요 233
단어와 단어가 결합해서 새로운 개념이 만들어져요 | 차례 단원명을 끊어 읽기 해봐요, 단 의미에 맞게! | 교과서 문장도 끊어 읽기 연습해요
5 · 교과서 문장 사이의 연결 속 비밀이 보이나요? 241
문장이 모여 문단을 이룰 때 | 접속 표현은 연결을 기본으로 해요 | 공간적 질서, 시간적 질서를 담아낼 수 있어요 | 논리적 질서를 파악할 수 있나요?
*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 표현 244
* 문장 사이의 질서 250
6 · 차례를 통해 과학 개념과 문장을 넘나들 수 있다면 ‘하산’하세요 257
차례에 답이 있습니다 | 단원명을 쪼개다보면 공부의 흐름이 보여요 | 차례 속 단원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볼까요?
| 나오며 | 진짜로 과학을 시작해보기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