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가치 상실의 시대에서 바라보는,
진정한 행복과 삶의 가치를 향한 끈질긴 투쟁
중세는 인류의 암흑기가 아닌, 과거의 유산 위에서 점차 미래로 나아가는 찬란한 시대였다. 인간의 이성을 바탕으로 한 고대 그리스철학과 실천적 신앙을 중심으로 한 그리스도교의 만남은, 근대 이후 세계 역사를 주도하고 있는 서양의 독특한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다. 초월적 절대자인 신을 설명하기 위해 활용된 철학적 방법론은 세계의 모든 진리를 포괄하고자 하는 야심으로 나아갔고, 뒤이어 등장할 합리적 탐구의 정신을 이미 품고 있었다. 지금은 다소 동떨어져 보이는 학문과 종교는, 서로를 강화하며 점차 발전해온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중세는 고대와 근현대 사이에 어둡게 칠해진 ‘중간기’가 아니라 인류 지성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중추에 가깝다. 우리가 중세를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중세는 여전히 우리의 현재에 닿아 있다. 어쩌면 그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삶은 지금 우리가 겪을 수 있는 생생한 현재일지도 모른다. 중세의 사상가들은 현대 사회에도 적용할 만한 값진 원리와 원칙들을 풍성하게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들은 혼란했던 격변기에 자기 소명을 다하고자 노력한 지성인이었고, 여러 고난에도 좌절하거나 체념하지 않고 삶의 행복을 찾아 나갔던 삶의 교본이었다. 시대가 변해도 지혜를 향한 인간의 의지와 사랑은 결코 변할 수 없다. ‘인류’의 역사의 깊은 지문을 남긴 신 앞에 선 ‘인간’을 통해, 우리의 오늘날을 나란히 비춰본다. 중세의 시대정신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결코 낡을 수 없다.
■ 저자 박승찬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와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신학석사와 박사(중세철학전공)를 취득했다. 한국중세철학회 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장, 가톨릭대학교 성심대학원 원장, 김수환추기경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라틴어 중세철학 원전에 담긴 보화를 번역과 연구를 통해 적극 소개하고, 다양한 강연과 방송을 통해 그리스도교 문화의 소중함을 널리 알리고 있다. 주요 저서로 『서양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사』, 『알수록 재미있는 그리스도교 이야기』,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중세의 재발견』,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공저), 『헤이트』(공저), 『차이나는 클라스-인문학편』(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 『모놀로기온 & 프로슬로기온』(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신학요강』 등이 있다.
■ 차례
서문 서양 문화의 중대한 변곡점, 중세의 탄생
PART 1 사도 바울로 - 그리스도교를 세계종교로 성장시키다
01 그리스도교의 박해자, 유대인 사울
02 신의 음성을 경험한 다마스쿠스 체험
03 이방인을 위한 열정적인 선교 여행
04 그리스도교의 의미를 세상의 지혜와 토론하다
05 온 인류에게 열려 있는 그리스도교의 구원
06 사랑의 힘만이 공동체를 지탱한다
07 신의 권능은 약자에게 드러난다
08 그리스도교를 세계종교로 만든 장본인
PART 2 플로티노스 - 사상과 학문의 원천, 신플라톤주의
01 제국의 쇠퇴기에 나타난 금욕의 철학자
02 유출설, 존재의 문제를 해결하다
03 신을 닮는 것이 곧 인간의 목표다
04 신의 세계를 덕으로 따르는 인간
05 악은 실체가 아니라 선의 결핍이다
06 인간 내면의 선한 본성을 관조하라
07 세상의 불완전함을 숙고하는, 삶의 예술가
08 플라톤의 계승자, 철학과 신학의 원천이 되다
PART 3 오리게네스 - 철학의 힘으로 뻗어나간 그리스도교
01 순교를 꿈꾸던 청년, 열여덟에 교장이 되다
02 평범한 주교가 질투한 신학 천재
03 플라톤 철학으로 그리스도교를 전파하다
04 그리스도교 비방을 합리적으로 논박하다
05 영적 해석론을 통한 성경 이해
06 성경 해석의 완벽한 토대를 마련하다
07 사랑의 고통을 통한 신의 구원
08 분서갱유로도 지우지 못한 위대한 신학자
PART 4 아우구스티누스 - 인간의 이성으로 꽃피운 사랑의 신학
01 신과 영혼, 아우구스티누스의 핵심 질문
02 인간의 이성으로 신의 질서를 인식하다
03 신이 완벽하다면, 악은 왜 존재하는가?
04 악의 존재에 대한 인간의 책임
05 신을 소유하는 것이 곧 행복이다
06 존재의 가치에 따른 사랑의 윤리학
07 신국론, 사랑으로 선포한 신의 나라
08 정의가 없는 국가란 거대한 강도떼다
PART 5 보에티우스 - 최후의 로마인, 죽음 앞에서 철학의 신에게 묻다
01 하루아침에 사형수가 된 유력 가문의 풍운아
02 그리스 철학의 유산을 지킨, 서로마의 교사
03 철학은 운명 앞에 답을 줄 수 있을까?
04 비록 행운을 잃을지라도 행복은 가능하다
05 인간의 운명에서 신의 섭리로
06 신의 존재로 운명의 고통을 극복하다
07 신학적 관심에서 탄생한 ‘인격’의 정의
08 고독 속에서 탄생한 최초의 스콜라 철학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