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아이의 양육과 돌봄을 사이에 두고 가정과 국가, 그 책임의 경계를 예리하게 파고드는
‘정보라표’ 미스터리 스릴러
이 책은 아동 돌봄과 양육의 책임이 개인과 사회 사이에서 어떻게 나뉘어야 하는지를 섬세하게 그려낸다. 가정의 울타리 안에서 벌어지는 비극과 국가의 공적 돌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저자는 ‘아이들의 집’이라는 상상 속 공간을 통해 위로와 연대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이 집은 언제든 머물 수 있고 반겨주는 존재가 있는 공간으로, 아이들이 마음 놓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에 대한 희망을 품고 있다.
소설은 공공임대주택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을 기점으로, 조사관과 양육교사, 그리고 입양인의 시선을 통해 얽히고설킨 사회적 문제를 풀어간다. 사건의 진실을 쫓는 과정은 단순한 추리의 영역을 넘어, 고통받는 이들의 상처를 직시하고, 그들의 존재를 사회가 어떻게 포용할 수 있을지를 묻는다.
양육과 돌봄의 의미를 새롭게 성찰하고 싶은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불완전한 사회 속에서도 우리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정보라
저자 정보라는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과 영어영문학을 공부하고, 예일대학교에서 러시아/동유럽지역학으로 석사학위를,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슬라브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고통에 관하여’, ‘밤이 오면 우리는’ 등을 썼고, ‘브로츠와프의 쥐들’, ‘브루노 슐츠 작품집’, ‘스타니스와프 렘 단편선’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1998년 연세문화상에 ‘머리’가, 2008년 디지털문학상 모바일 부문 우수상에 ‘호’가 당선되었으며, 2014년 ‘씨앗’으로 제1회 SF 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저주토끼’로 2022년 부커상에 이어 이듬해 전미도서상 최종 후보에 선정되었고, ‘너의 유토피아’로 2025년 필립 K. 딕상 후보에 오르며 세계적 작가 반열에 올랐다.
■ 차례
0. 알
1. 병원 가는 날
1_1. 섬의 집
2. 그 집
3. 아기
4. 점검
5. 가루
6. 입양인
7. 엘리베이터 귀신
7_1. 기다리는 집
8. 다리
9. 전기
10. 나타나다
11. 아무한테도 말하지 마
12. 질문
13. 사연 있는 집
14. 장례
15. 솜털
16. 신원
16_1. 아기의 집
17. 청소
18. 아이들의 집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