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추천!
100만 명이 넘는 이주민이 한국 내에 거주하고있고 이와 맞물려 한국사회는 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출산율이 저하되고 있고 이로 인해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를불러왔다. 이와 같은 상황이 현재 한국사회의 현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한국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경제활동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며 한국사회와 불가분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와 이주민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부침(浮沈)을 거듭하고 있을 뿐이다.
이 책은한국사회에서 주변부의 문제로 인식되었던 이주노동자의 생활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론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되었다. 이를 통해이주노동자들이 끊임없는 문화변용을 통해 한국인의 생활세계와도 심층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저자 임선일
건국대학교 석사(1995)졸업하고서울외국인 노동자센터 사무국장(2000~2003), 외국인 노동자 샬롬의집 대외협력국장(2006), 인문철학 연구공간 ‘여럿’ 대표(2007),이주노동자 인터넷 방송국 자문위원장(2008),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2008, 2010)를 역임하고 성공회대학교 사회학 박사(2010)를지내고 현재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에스니시티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박사논문)」「재한 중국동포의 에스니시티(ethnicity) 변용에 관한 연구 -서울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산업노동학회 연구 논문)」등이있다.
 &
■ 차례
머리말
01 서론
1. 왜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인가?
2.구로지역의 중국동포, 마석공단의 이주노동자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02 문화변용 이론과 선행연구
1. 문화변용 이론과 이주노동자 현황
2.문화변용에 관한 선행이론
3. 문화변용 이론의 재구조화
4. 한국의 이주노동자 선행연구
03 이주노동자의 인적 속성과 생활세계
1.한국계
2. 비한국계
3. 국내 정착 과정의 진행과 실태
4. 소결
04 국내 적응과정의 문화적 변수들과 에스니시티 변형
1. 문화적 변수의차원에 관한 고려
2. 한국계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변수
3. 비한국계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변수
4. 에스니시티 변형에 따른이주노동자의 유형 분류
5. 소결
05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유형화와 전략
1. 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2. 비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3. 에스니시티 변형수준에 따른 문화변용 전략과 궤적
4.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과한국사회
5. 소결
06결론
참고문헌
부록 1-설문지
부록 2-국적법 시행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