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유불도의 동양사상은오늘날까지도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미치면서 고유의 특성으로 또는 상호 조화ㆍ융합하면서 그 근간을 형성하여 왔다. 그중 도가 사상이갖는 위치를 고려해볼 때 노장의 도(道)는 예술철학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 「노장예술정신에 관한 연구」를 기본으로 수정ㆍ보완한 것이다. 노장의 예술정신을 단순히 서구적 관점 혹은 현대적 안목에서 재해석하기보다는 노장사상의고유한 체계와 뿌리를 분석함으로써 예술철학의 본질과 이것이 예술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정리하고 있다. 이는 동양인의 삶과 가치관에 대한중요한 논의이며 나아가 문화예술을 이루는 정신적 근본이기 때문이다.
■ 저자 신성열
국립강원대학교 철학과와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미술학 석사학위와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강원대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사로 있다. 주요논저로는「노장 예술정신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여백의 조형성에 관한 표현연구」(석사학위논문),「예술정신과 체도(體道)로써의 기(技)」「노장의 예술적 삶에 관한 연구」「삶과 예술정신의 상관성 고찰」「대중매체시대의 예술비평」 「신사임당의 예술관」등의 논문과 「현대예술의혁명」서평, 그리고「공명전(共鳴展)」「춘천Replay전(展)」「사자성어전(獅子性魚展)」평론 등이 있으며 미술평론상을 받았다. 주요 활동으로는개인전 4회 ‘잡화호호전(雜畵好虎展)’ ‘자연(自然) - 제3의 상(象)전(展)’ ‘Drawing전(展)’ ‘여백전(餘白展)’과 100여 회의국내외 전시를 했으며 강원미술상을 받았다.
■ 차례
책을 내면서
제1장 노장(老莊)의예술철학(藝術哲學)이란
1. 왜 노장(老莊)인가
2. 노장(老莊) 예술철학의 범주(範疇)
제2장 노장(老莊) 예술철학의기초
1. 도(道)의 예술정신적 의미
노자(老子)의 도(道)
장자(莊子)의도(道)
2. 무위자연지도(無爲自然之道)와 예술정신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
도법자연(道法自然)
체도(體道)와 기(技)
제3장 노장(老莊) 예술철학과 예술정신의 체현(體現)
1. 노장(老莊)의 미의식(美意識)
미추(美醜) 인식과 소박미(素樸美)
지미지락(至美至樂)과 무용(無用)의대용지미(大用之美)
2. 노장(老莊) 예술정신의 체현
소요유(逍遙遊)의 미적(美的) 관조(觀照)
심재(心齋)ㆍ좌망(坐忘)의 미적 체험(體驗)
제4장 노장(老莊) 예술정신의 실현(實現)
1.노장(老莊) 예술정신과 화론(畵論)의 형성
노장(老莊) 예술정신과 위진현학(魏晉玄學)
이형사신(以形寫神)과기운생동(氣韻生動)
2. 도(道)의 형상화(形象化)와예술정신의 실현(實現)
이형미도(以形媚道)와 징회미상(澄懷味象)
무법지법(無法之法)과 일획
제5장 새로운 과제(課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