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자신감, 열등감 극복하기, 창의력 되찾기 등
자기계발을 위한 내용과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심리학
<미쳐 돌아가는 세상에서 살아남기>는 말 그대로 하루하루를 정신없이 살아가는 우리에게 과연 나는 잘살고 있는지,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서 나만 뒤처지고 있는 건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알기 쉬운 설명과 심리학 이야기를 통해 명쾌한 해법을 제시한다.먼저, 나와 내 주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시작으로, 남들로부터 상처받지 않는 법, 내 마음 마주하기를 통해 내면의 몰랐던 부분을 새롭게 발견하고 나의 약함과 강함을 찾아가는 방법들을 안내한다.
나아가 남들과 똑같이, 혹은 남들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살던 삶을 잠시 멈추고,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창의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그동안 묶여 있던 원인을 양육방식에 따른 열등감의 형성과 남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생겨난 사회적 완벽주의를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완벽주의와 열등감의 틀에서 벗어나 나만의 강점을 찾는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강점이 자기훈련과 성장을 통해 한 사람 한 사람이 창의적으로 빛나기 위한 도전을 제안한다.
■ 저자 정현주
정현주 대표는 화가이자 미술심리치료사이다. 2002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을 졸업하고, 미술심리치료가 시작된 미국 보스턴의 레슬리 대학교(Lesley University)에서 2015년 표현예술심리치료 미술심리상담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으로 귀국 후, 미술심리치료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을 통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본격적으로 예술가로서의 삶을 시작하였다.
2017년 ZoOs Art Studio를 열고, 2018년에는 내 마음마주하기 표현미술심리치료 연구소를 설립하여 개인 갤러리와 운영하고 있다. 2019년 Arukah Arts로 사명을 변경하고, 미술심리치료 뿐 아니라, 음악치료, 댄스 테라피, 드라마 테라피 등 다양한 표현예술심리치료를 통해,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자 "표현예술 심리치료 스튜디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추상화를 통한 미술심리치료에 집중하고 있다
■ 차례
들어가는 말
첫 번째, 진실 마주하기
모든 치유는 내 안의 문제를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두 번째, 상처받지 않기
상처받지 않는 법
세 번째, 치유와 회복
내면에 집중하기: 눈을 외부에서 내면으로 돌려보자
치유
시련과 고난을 통해 내면에 집중하게 된다
네 번째, 창의력 되찾기
우리는 모두가 독특하고 창의적이다
세상의 프레임에 갇혀버린 창의성
당신은 이미 창의적이다
누구에게나 감동을 주는 예술작품
다섯 번째, 완벽주의
완벽주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
사회적인 틀로서의 완벽주의
완벽주의자들은 과정보다 결과에 집중한다
완벽주의는 창의성을 저해한다
완벽주의와 양육 스타일
여섯 번째, 열등감
누구나 열등감은 있다
공격적 열등감
수동적 열등감
양육 방식에 따른 열등감 형성
권위주의적인 양육 방식
과잉보호형 부모
자유방임형 부모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게 도와주는 양육 방식
일곱 번째, 완벽주의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완벽주의로부터 자유로워지기
과정 자체를 즐기는 몰입감
창의적인 과정은 우리를 치유로 이끈다
여덟 번째, 미술심리치료: 추상화 그리기
누구나 추상화를 그릴 수 있다
아홉 번째, 자기 훈련과 성장
세상에 거저는 없다
유아기와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 초기
중년기(25~65세)
노년기
맺음말
삶의 의미 찾기
부록1: 매슬로의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의 특징
부록2: MPS
부록3: 14가지 심리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