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부의 축적이 부동산의 〈양도소득〉으로 채워지는 세상,
1970년대보다도 낮아진 자가주택 보유율,
1990년대부터 전 세계로 퍼져나간 집값과 대출의 악순환,
우리들의 집은 어쩌다 전 세계 투자자들이 눈독을 들이는 〈상품〉이 되었을까
우리는 이제 집값 변동에 좌우되는
〈주택의 상품화〉, 〈주택의 금융화〉 시대에 살고 있다
내 집 마련이 점점 더 힘겨워지는 시대, 전 세계 집값 변동을 통해 그 원인을 추적한다
이제 우리들의 집은, 상품이 아니라 하나의 〈권리〉가 되어야 한다.
■ 작가정보
조시 라이언 콜린스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 경영대학원에서 경제 금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경제학 및 금융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시에 같은 대학 산하 연구센터이자 정책센터인 혁신 및 공공 목적 연구소(Innovation and Public Purpose)의 소장도 함께 역임하고 있다. 앞서 그는 2006년부터 영국의 유력한 싱크탱크 중 하나인 뉴 이코노믹 재단(New Economics Foundation)의 수석 경제학자로 10년 동안 활동해 오면서 화폐와 금융 개혁, 경제에서 땅과 집값이 차지하는 비중 등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들을 주로 이끌어 왔다. 또한 미국과 영국의 여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돈은 어디에서 오는가?(Where Does Money Come From?)』와 《파이낸셜 타임스》에서 2017년 최고의 경제서 중 한 권으로 선정한 『땅과 집값의 경제학(Rethinking the Economics of Land and Housing)』의 대표 저자이기도 하다. 특히 저자는 거시경제와 금융 정책, 땅과 주택 시장 문제에 대해 전문성을 갖춘 경제학자로 평가받는데 그 중에서도 금융 시스템이 주택 시장에 미치는 역할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번역 윤영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지리의 힘 3』, 『자본의 미스터리』, 『아름다운 비즈니스』, 『고통 없는 변화』, 『진정성의 힘』, 『권력의 미래』, 『화폐의 전망』, 『어떻게 세계는 서양이 주도하게 되었는가』, 『공간과 장소』, 『삼성 라이징』 등이 있다.
■ 목차
▣ 1장: 1950년대 이후로 부동산은 그 어떤 투자보다 수익률이 좋았다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약속
부의 축적이 ‘부동산의 양도소득’으로 채워지는 세상
주택 문제는 현대 자본주의 위기의 ‘진원지’다
▣ 2장: 우리들의 집이 ‘금융 자산’으로 변모하기까지
집값 상승의 81퍼센트는 땅값 때문
공급은 한정되어 있고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땅
입지를 둘러싼 경쟁, 그리고 그 가운데 놓인 우리들의 집
1970년대보다도 낮아진 21세기의 자가주택 보유율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정부가 주택 시장을 보호하다
신자유주의 시대, 주택을 매력적인 ‘금융 자산’으로 만들다
재산세도 낮게 부과하고 양도소득세도 감면해 주는 미국
세금 혜택으로 주택을 투자의 대상으로 만들다
‘주택의 상품화’에 동조하는 정부
▣ 3장: 주택담보 대출은 어떻게 전 세계적인 폭발력을 갖게 되었을까
대출 증가만으로도 집값이 상승할 수 있을까
1990년대부터 시작된 주택담보 대출의 전 세계적인 증가
미국, 은행이 본격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다
영국, 정부 주도의 규제 완화
주택 금융 시장은 어떻게 전 세계 투자자들을 사로잡았나
정부가 주택 구매를 독려하는 정치적인 이유
집값 거품의 붕괴, 경제에 가장 심각하고 가장 오래 영향
전 세계로 퍼져나간 집값과 대출의 악순환
스페인과 아일랜드, 주택 공급이 늘어도 집값은 계속 상승한 이유
▣ 4장: 정부와 중앙은행은 책임이 없는가
“안정은 오히려 불안정을 초래한다”
집값 상승은 경제를 효과적으로 부양했을까
중앙은행은 제대로 역할을 해왔는가
주택담보 대출과 생애주기 가설
은행의 부동산 담보에 대한 편애
21세기의 집값 폭등은 정부와 중앙은행에 책임이 있다
글로벌 자본의 로컬 부동산 시장 습격
선진국들의 증권화 재도입
유럽의 인증 제도, 부동산에 중독된 은행을 지원?
▣ 5장: 주택 시장과 금융의 악순환은 어떻게 끊어낼 수 있을까
부동산은 지난 130년간 최고의 투자 대상
금리보다 신용에 대한 통제를
주주 이익 우선의 대형 민간은행, 글로벌 금융 위기의 한 원인
독일의 주택담보 대출이 GDP의 30퍼센트에 불과한 이유
민간은행을 대신하는 국영은행들
부동산이라는 담보물, 그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들
세제 개혁, 가치 상승분에 세금 부과
OECD와 IMF도 인상을 촉구하는 부동산세
토지를 투기의 대상에서 배제시키는 방법
싱가포르 정부, 국민 83퍼센트에 주택 임대
주택 보유율이 낮은 나라가 경제와 금융의 변동에는 더 안정적
▣ 6장: 우리의 집이 상품이 아닌 하나의 권리가 되기 위하여
시장에만 맡겨도 될까
20세기 주택담보 대출 변천사
상품이 아닌 거주를 위한 공간이 되기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