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ESG 지속가능성, 그린뉴딜, 금융시장, 금융정책, 투자전략이 막연한 독자들을 위한
ESG 애널리스트의 생생한 현장 가이드
기후변화 문제와 인권 문제 등 세계적인 사회과제가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 최근 가장 중시되고 있는 것이 바로 ESG(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다. 앞으로의 기업경영에 있어 ESG의 관점을 배려하지 않는 기업은 기업가치 훼손의 위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투자자로부터 외면을 받게 되고, 그것은 결국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ESG는 최근 가장 핫한 경제 관련 키워드이다. 그런데 개인이나 기업 모두 ESG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한다.
‘미래 자본시장의 혁명을 이끄는 것은 ESG다’라고 일컬어질 만큼 ESG는 부와 투자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ESG에 관한 설명은 학문적 개념보다는 실제 ESG가 어떠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기업경영에 적용되고 있으며, ESG 관련 투자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현장에 몸을 담고 있는 전문가가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명쾌할 것이다.
이 책은 그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책이다. 미래의 부를 결정하는 ESG에 관해 정확하고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이 책은 확실한 설명서가 되어 줄 것이다.
■ 저자 김동양
저자 김동양은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이사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펀드매니저를 거쳐 Fidelity International Limited(Seoul)에서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현재는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에서 ESG/금융팀장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조선일보 Fn가이드와 머니투데이 WiseFn 지주회사 부문 베스트 애널리스트로 선정된 바 있다. 2019년 증권업계 최초로 ESG 리서치를 시작했다. 2021년 매경이코노미, 한경비즈니스, 연합 인포맥스, 조선일보 Fn가이드 등 주요 언론사 ESG 부문 애널리스트 및 리서치하우스 평가에서 모두 베스트 애널리스트 및 리서치하우스로 선정되었다.
■ 저자 황유식
역자 황유식은 ㈜그리너리 대표이사이다. POSTECH 화학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졸업했다. 제일모직 전자재료 R&D센터를 거쳐 SK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에서 환경, 화학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현재는 자발적 탄소거래 플랫폼 기업 ㈜그리너리를 2021년 창업하여 대표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2020년 증권업계 최초로 환경 담당 애널리스트로 지정됐으며, 톰슨로이터 화학부문 애널리스트 아시아 지역 1위, 조선일보 Fn가이드 화학부문 애널리스트 1위 등 다수의 매체에서 화학, 정유 부문 베스트 애널리스트로 선정됐다. 저서로는 ‘ESG머니전략’(공저)이 있다.
■ 차례
프롤로그
1부 미래의 부를 결정하는 ESG
1장. ESG 파헤치기
1. ESG란 무엇인가
2. ESG의 탄생과 현재
3. ESG를 이끄는, ESG 이니셔티브
2장. 환경을 중시하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1. 우리를 둘러싼 지구환경-물, 땅, 공기
2. 국가와 기업들의 환경 개선을 위한 준비
3. 자원순환경제로의 대전환
4. 환경 분야에서의 개선 활동
3장. 사회책임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1. 사회책임경영이란 무엇인가
2. 사회 분야에서의 개선 활동
4장. ESG의 컨트롤타워, 지배구조
1. ESG 경영의 컨트롤타워
2. 지배구조 분야에서의 개선 활동
5장. 기업의 먹거리, ESG에서 찾는다
1. ESG가 기업에 갖는 의미
2. ESG에 대응하는 기업의 전략
2부 손에 잡히는 ESG 투자
6장. ESG 투자란 무엇인가
1. ESG 투자와 투자 전략
2. ESG 평가와 프로세스
3. ESG 지수와 ETF
7장.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손, ESG
1. 스튜어드십 코드의 탄생
2. 대형 자산보유자
3. 글로벌 녹색금융 정책
4. 한국의 녹색금융 정책
8장. 기후변화 방지와 ESG 친화경 투자
1. 지구 온난화와 각국의 탄소중립 의지
2. 탄소중립을 위한 긴 여정의 시작
3. 탄소 저감을 위한 신기술, CCUS
4. 탄소배출권과 탄소배출시장의 이해
5. ESG 환경 투자로 재테크 시작하기
9장. 비 주식 자산군의 ESG 투자
1. ESG 채권
2. ESG 대체투자
3. 은행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