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계좌를 요술항아리로 만드는 비법

   
한동훈
ǻ
한솜미디어
   
20000
2008�� 03��



>■ 책 소개
주식의 기본 원리를 소개한 책. 기업적분석, 기술적 분석, 기술적 보조지표, 투자전략, 작전주, 급등주 포착법, 기업의 공시와 주가의 움직임, 호가창 분석법 등을 차례대로설명하였다. 특히 복잡한 수학공식은 대부분 자제하고 계산원리를 설명하였고, 자세한 실전 사례를 통해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집필하였으며,&nbsp&다양한 차트도 제시하였다. 


■ 저자 한동훈
원광대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증권투자,부동산 관련 자격을 다수 보유했으며, 전 에프아이에셋 투자자문 애널활동을 했다. 현재 팍스넷(&www.paxnet.co.kr),fistock(),슈어넷(&www.surenet.co.kr), 한경닷컴(&www.hankyung.co.kr), 솔론투자전략(&www.solon.co.kr) 등에서 전문가 필진으로 활동중이다. 10년 이상의 실전투자 경험으로 수백% 수익 경험을 갖고 있다.


■ 차례
책머리에 


제1장 기본적 분석 
01 기업현황 
02투자지표 
03 재무지표 
04 비율분석 


제2장 기술적 분석 
01 캔들차트 분석 
02갭(gap) 
03 추세지속형 패턴 
04 삼공(사케다의 삼공법) 
05 추세선과 지지선 및 저항선
06 패턴분석


제3장 기술적 보조지표 
01 지표의 종류
02일목(一目)균형표 


제4장 투자전략 
01 거래량을 활용한 투자전략
02 강세장에서의 투자지침 
03 소형주 투자시 유의사항 
04 주식격언 
05 한 종목 미수몰빵의 실패 
06수백% 수익의 꿈 
07 단기매매 시점 
08 테마주 공략법 
09 상황별 투자전략 


제5장 작전주 
01 작전주의 진행과정 
02작전주의 흔들기·1 
03 작전주의 흔들기·2 


제6장 급등주 포착법
01 급등주(세력주)반등이용법·1 
02 세력주 반등이용법·2
03 장대양선 출현 후 위꼬리· 아래꼬리(2일 숨고르기)를 노려라! 
04 단기급등주5일선 지지를 노려라! 
05 5일선 돌파를 노려라! 
06 낙폭과대주 저점매수법
07 최종지지선을 이용한 급반등노리기!
08 안정적인 급등주 포착법 
09 대칭삼각형 급등주 패턴 
10 고공행진 패턴 
11 120일선 돌파 후숨고르기를 노려라! 
12 저점 높이는 이중바닥을 노려라! 
13 장대양선으로 이평선 돌파 후의 숨고르기·1 
14 장대양선으로이평선 돌파 후의 숨고르기·2 
15 20일선의 미는 힘을 파악하라! 
16 대세상승을 예고하는 상승삼각형
17 정배열 초기의장기횡보를 노려라! 


제7장 기업의 공시와 주가의 움직임 
01 전환사채등의 발생 
02 감자 공시
03 유상증자 공시 
04 실적 공시
05 M&A 공시 
06 특허공시
07 기술개발
08 지분경쟁 공시
09 자회사 상장 공시
10 공급계약 체결 공시


제8장 호가창 분석법
01 매도호가창에 1주씩매도주문이 걸려 있는 경우
02 특정호가에 매수가 과도하게 쌓여 있는 경우
03 매수·매도가 균형 있게 쌓여 있는 경우 
041주씩 주문 체결되는 경우
05 특정호가에 매도가 과도하게 쌓여 있는 경우
06 매도세가 호가창을 압도하고 있는 경우
07실패하는 투자자의 공통점
08 초단기매매로는 절대 추세매매를 이길 수 없다
09 시스템 트레이딩 성공법 
10 연상법을활용하라
11 대박의 꿈 
12 1,000% 수익의 비법은? 




주식시장 상위 5

주식계좌를 요술항아리로 만드는 비법


비율분석

비율분석은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성장성을 알아보는 데 사용하는 지표이다. 대차대조표는 기업의 기본적인 외형이며, 손익계산서는 한 기업의 영업력을 판단하는 것이니 두 개를 합쳐서 판단한다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원리이다.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를 이해했다면 아래 내용들은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절대 외우려고 하지말고 이해를 해야만 하는 부분이다.


그림입니다.


수익성 비율은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개가 있으며, 한 업체가 자금을 투자하여 얼마를 벌고 또 얼마나 잘 활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을 사용하여 어느 정도 이익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기업의 이익창출 능력을 알아보는 데 유용한 지표이다.

그림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 10%라면 주주가 연초에 1,000원을 투자해 100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 된다. 당연히 이 지표는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고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ROE는 최하 은행이자율 이상은 나와야 하며, 10%면 양호, 25% 이상이면 이상적으로 판단한다.


■매출액순이익률(ROS, Ration Of net profit to net Sale)

한 기업이 장사를 잘했나 못했나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다. 한 기업의 매출액이 일시적인 수주급증으로 크게 증가했을 경우 매출액이 급증했다고 하여 무조건 좋다고 보기보다는 바로 매출액순이익률과 비교해 판단해야 한다. 매출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순이익률이 줄었다면 매출액 급증도 큰 의미가 없으며 장사를 잘 못한 것이다.


그림입니다.


매출액순이익률이 10%라면 1,000원의 매출을 올려 100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 된다. 이 역시 높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으나 보통 10%면 양호, 15% 이상이면 이상적인 수치라 할 수 있다. <표 1>의 업체는 2005년까지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었으나 2006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수익성이 급격히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이 당시 주가도 상승했다.

그림입니다.


기본적 분석의 내용들은 모두가 과거치인 만큼 미래주가를 예측하는 데는 유용성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에 안정성비율이 기본적 분석에서는 가장 중요하다. 주식을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도가 날 가능성이 있는 종목들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다.


■부채 비율

부채비율은 자본 대비 부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지표이며, 한 기업의 재무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가지고 있는 주식이 한순간에 부도가 났다고 생각해 보자. 얼마나 끔찍하겠는가? 그러나 부채비율을 잘 판단하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림입니다.


산출방식을 보면 알겠지만 수치가 높을수록 부채가 많은 것이며, 수치가 낮을수록 자본금 대비 부채가 적다는 것을 뜻한다. 당연히 낮을수록 안정적이라 할 수 있으나 간혹 비교적 높은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종목들은 대부분 산업사이클상 도입기나 성장기에 있는 고속성장주이다. 과거 이론서에서 보는 원론적인 부채비율 판단법은 코스닥 종목에는 적용이 어렵다.



갭(gap) 

갭(gap)은 증시에서 아주 흔히 쓰이고 자주 발생하는 것이며 상당히 중요한 내용이다. 일본에서는 갭을 창(window)이라고도 하는데 전일 종가와 당일 시가 사이의 빈 공간을 의미한다.


갭은 현재 지속되고 있는 추세의 지지선이나 저항선으로 작용한다. 상승추세에서의 갭은 지지선 역할로 상승을 지속시키며 하락추세에서의 갭은 저항선 역할로 갭을 메우지 않는 한 하락세의 지속을 의미한다. 상승추세에서 갭은 향후 발생하는 일시적인 조정의 바닥 역할을 하며, 하락추세에서는 일시적인 반등의 저항선 역할을 하게 된다.


갭상승 후에는 대부분 일시적인 조정양상이 나타나는데 이때가 절호의 매수타이밍이 된다. 이는 실전에서도 상당히 자주 활용되는 기본적인 매매기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상승추세에서 갭을 메우면서 하락하게 된다면 하락전환 가능성이 높으므로 빠른 손절이 필요하다.


▲ 상승추세에서의 갭

갭의 지지 성공 여부는 장중에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종가 기준으로 판단해야 속임수를 벗어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갭의 지지는 시세가 강한 종목일수록 상단에서 지지를 받게 되므로 상단에서 지지받고 상승하는 경우 더 강력한 매수신호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갭은 첫 갭이 가장 중요하며 중요한 신호가 된다.


■갭에서 지지가 발생하는 이유

주가에서 갭이 발생하였다면 이는 매수세력의 주가상승 의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런 주가가 다시 갭까지 내려왔다는 것은 매수세력의 손익분기점에 가까운 것이며 손해를 보기 싫어하는 매수세력은 여기서 다시 주가를 상승으로 이끌게 될 것이다. 따라서 최종 갭 하단 부근에서 지지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이다.


■갭 발생 후 조정이 발생하는 이유

갭상승은 시초가부터 강하게 상승하여 출발하는 것이니 갑작스러운 상승으로 인해 매물소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당일날 시세를 보지 못한 투자자는 그 다음날 상승해 있는 주가를 보고 수익이 난 상태의 차익매물이 쏟아지기 때문에 단기조정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아주 강한 종목은 조정 없이 연속 갭이 수반되며 상승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것은 여기서 제외한다.

▲ 하락추세에서의 갭

주가가 하락추세를 이어가다 특별한 악재나 미수물량의 반대매매로 인해 공포심과 함께 시초가부터 급락으로 출발하는 것이다.

■갭에서 저항이 발생하는 이유

하락추세에서 갑작스러운 매도세 출현으로 시작가부터 급락으로 출발한 주가로 인해 매물공백이 발생했으며, 대부분의 투자자는 제대로 된 손절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주가가 급락 후 반등을 시작하지만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투자자들의 뒤늦은 손절물량이 쏟아지기 때문에 강한 저항작용을 하게 된다.


실전에서는 갭 하나만으로 주가를 판단하지 않는다. 실제로 갭상승 후 갭을 메우며 하락하는 경우도 많고, 갭하락 후 갭을 돌파하면서 상승전환하는 경우도 많다. 갭은 반드시 일봉 패턴과 이평선 분석 등 모든 것이 결합되어야 한다.


▲ 상승갭과 하락갭

■상승갭 - 상승추세에서 첫날 양선에 이어 둘째 날은 갭상승과 함께 양선이 발생하고 셋째 날 음선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때 3일째 발생한 음선의 몸체가 첫날 발생한 갭을 메우면 안 된다.


갭이 발생하고 2, 3일째 양봉 및 음봉의 몸체 크기는 비슷해야 좋다. 만약 3일째 음봉의 크기가 크게 발생한다면 하락장악형이나 흑운형패턴이 될 수도 있어 전혀 반대의 양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승갭에서 음선 출현시는 숨고르기 양상으로 대부분 거래가 감소하게 된다. 만약 음선시 거래가 급증했다면 갭지지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하락갭 - 상승갭과 반대로 해석하면 된다. 하락추세에서 첫날 음선에 이어 갭하락과 함께 음선이 발생하고 셋째 날 양선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때 3일째 양선의 몸체가 첫날 발생한 갭을 메우면 안 된다.


하락갭에서 양선출현은 반등파로서 대부분 거래가 감소하게 된다. 만약 양선시 거래가 급증했다면 갭저항을 상향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일목(一目)균형표 

최근 들어 일목균형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여기저기서 일목균형표를 이야기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일목균형표는 한눈에 보기 쉽게 일목요연하게 작성한 지표를 뜻한다. 하지만 처음 일목균형표를 보면 구성이 너무 복잡해 첫인상은 두려움부터 앞서게 된다.


실제로 일목균형표만으로도 한 권의 책이 나올 만큼 방대한 분량이지만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그렇게 많지 않다. 일목균형표 역시 개별주보다는 지수에 적용이 높은 지표이며, 단기매매보다는 중기 이상의 매매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추세전환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는 그 어떤 지표보다도 강력한 신뢰도를 보유하고 있다. 즉, 주가의 대세하락진입이나 대세상승진입을 확인하는 데 최고의 신뢰도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 일목균형표의 구성

■기준선 - 당일을 포함하여 과거 26일 동안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 값으로 구한다.



그림입니다.

  [예] 26일 동안 최고치가 18,000원이고 최저치가 10,000원이었다면 그 가운데

값은 14,000원이 나오게 된다.


기준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당연히 상승추세이고, 하락하고 있으면 하락추세가 된다.


■전환선 - 당일을 포함하여 과거 9일 동안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 값으로 구한다.

그림입니다.



■선행스팬/1

선행스팬 / 1은 앞에 있는 기준선과 전환선의 중간 값으로 구해진다.

그림입니다.



■선행스팬/2

선행스팬은 전환선이나 기준선을 구하는 기간에 비하여 최소 2배 이상 기간의 최고와 최저치 값으로 계산하는 게 다른 점이다.


그림입니다.


■후행스팬

후행스팬은 사실 아무것도 아니다. 그냥 금일의 종가가 된다. 지표에서 금일 종가는 25일 전의 후행스팬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구름층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2의 사이를 구름층으로 표현한다.


▲ 일목균형도를 이용한 매매기법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를 이용한 전략

일목균형도 역시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를 이용해 매매시점을 잡을 수 있다. 이동평균선으로 본다면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와 유사한 매매기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법은 골든크로스처럼 시차가 늦은 경우가 많으며 속임수도 자주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 매수 :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하는 시점.

- 매도 :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하는 시점.


속임수를 피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상향돌파시 종가가 기준선 위에 위치해야 하며, 하향돌파시는 종가가 기준선 아래에 위치할 때 매매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승하는 모든 종목은 이 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결과론적인 얘기일 뿐이다. 다른 기법과 함께 사용해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좀더 빠른 매매를 노린다면 당일 주가가 전환선을 돌파할 때를 매매시점으로 잡는 게 더욱 유용할 때도 많다.


■선행스팬을 이용한 매매전략

선행스팬/1은 당일의 기준선과 전환선의 중간 값을 26일 앞에 선행하여 표시하며, 선행스팬/2는 52일간 최고/최저치의 중간 값을 26일 앞에 선행하여 표시한다. 선행스팬을 통해서는 미래 주가 방향을 어느 정도 예측해 볼 수 있으며 지지작용이 강해 지지선을 판단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는 각각 중요한 지지선과 저항선 역할을 한다.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의 간격을 구름층이라 하며 양운과 음운으로 구분된다. 양운은 선행스팬/1이 상단에 위치하고 선행스팬/2가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음운은 선행스팬/2가 상단에 위치하고 선행스팬/1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내용을 종합해 보면 양운은 상승추세에서 자주 발생하며 음운은 하락추세에서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다. 상승추세에서 정배열이 발생하고, 하락추세에서 역배열이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라 할 수 있다. 선행스팬/1과 2로 만들어진 구름대는 강력한 지지와 저항작용을 하게 되어 이것을 통해 주가의 지지/저항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 실전에서 보면 지지 /저항작용은 일복균형도가 가장 정확하게 설명해준다.


* * *


본 도서 정보는 우수 도서 홍보를 위해 원저작권자로부터 정식인가를 얻어 도서의 내용 일부를 발췌 요약한 것으로, 저작권법에 의하여 원저작권자의 정식인가 없이 무단전재, 무단복제 및 전송을 할 수 없으며, 원본 도서의 모든 출판권과 전송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