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세계의 산업을 지배할 새로운 3D 기술
인류는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며 살아왔다. 거기 기술이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관점에서 코로나 정국과 그 이후 우리 삶과 세상을 바꿀 기술이 무엇인지 다루고자 했다. 이를 위해 차용욱 교수가 이끌고 있는 <아스팩미래기술경영연구소> 연구원 3명이 의기투합을 했고, 독자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노력했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코로나로 인한 변화된 모습과 코로나 이후 미래기술에 포커스를 맞추었다.
1장과 2장에서는 코로나가 가져올 사회 모습과 미래상을 개략적으로 그렸다. 특히 우리나라가 전 세계 코로나 극복의 모델이 될 수 있었던 배경과 현재 진행형인 변화의 현장감을 담아냈다. 3장에서는 STEEP 분석과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 이후 미시적인 변화 부분을 들여다봄으로써 큰 가닥을 잡아내려 했다. 4장에서는 각 나라와 기업들이 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해 IT 기술 개발에 얼마나 역점을 두고 있는지 담아냈다. 특히 서구와 중국의 의료 현장과 치료제 개발 상황 및 의료기기 등 분야에 IT가 어떻게 결합되고 있는지를 서술했다. 마지막 5장에서는 궁극적으로 코로나 이후 미래를 지배할 3차원 기술에 대한 것을 다루었다. 애플, MS, 구글, 아마존 등 세계적 기업들이 무인매장 및 가상/증강 현실, 바이오&헬스케어, 클라우드와 로봇, 블록체인과 DWeb 등 수면 아래에서 분주히 개발하는 제품과 아이디어, 특허, 상황 등을 다뤄 미래상의 윤곽을 그려냈다.
■ 저자
아스팩미래기술경영연구소
국내에서 독보적 미래학자인 차원용 박사가 이끄는 (주)아스팩미래기술연구소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의 Aspect Management Lab에서 1994년 한국 연구소로 공식 독립한 후 IT, Nano, Bio, Energy 기술, 수자원 및 식품 기술 등의 분야와 관련된 학문과 기술, 융·복합 연구를 선도해 왔다. 이후 꾸준히 정부, 출연(연) 등 공공 부문 및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등의 대기업과 대학에서 25년 넘게 컨설팅, 연구 협력및 교육을 수행해 왔다.
김들풀
아스팩미래기술경영연구소 공동대표이자 IT NEWS 대표, UPI 뉴스 에디터로 IT 및 과학 현장에서 취재하고 글을 쓰고 있으며, KBS, MBC, YTN 등에 출연해 IT 애널리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또한 KIST 융합대학원 및 전북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어인공지능학회 이사, 한글학회 정회원(한국어 NLP 연구), 국제미래학회 IT애널리스틱 위원장을 맡고 있다. 특히 아스팩미래기술경영연구소에서 IT, NT, BT, ET, RT, FT 등 기술 융복합을 통한 미래기술 전략을 연구하며 기업과 공공기관,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IT제국 대충돌 1,2》, 《실전 미래전략 도출》, 《미래유망기술 도출과 신사업 추진전략》, 《대한민국 미래교육 보고서》 등이 있다.
■ 차례
1장. 코로나로 인한 뉴노멀 사회
01. 일상을 파괴한 코로나 바이러스
02. 한국의 코로나 대응능력은 어디서 왔을까?
2장 포스트 코로나, 미래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01. 노동의 변화, 원격근무의 서막
02. 다양한 근무방식과 플랫폼 노동 증가
03. 최적사회로의 진입
04. 통제 사회로의 전환 위험성
3장 포스트 코로나 STEEP 분석
01. STEEP 분석 방법
02. STEEP 분석 전문가 인터뷰
4장 코로나에 대응하는 첨단 IT 기술
01. 의료 현장에 투입된 자율주행차와 로봇
02. 치료제 개발에 활용되는 컴퓨팅 파워
03. AR/VR, 원격근무 활성화의 주역
04. 의료기기 등과 연계된 3D 프린터의 발전
05. 조기 진단 도구로 변신 중인 웨이러블 기기
5장 뉴노멀 시대, 미래를 지배할 기술
01. 무인 매장의 등장
02. 온·오프라인 경계를 넘나드는 가상/증강현실(혼합현실)
03. 증강현실 극대화 전략, 5G
04. 애플의 3D OS
05. 카메라 기술의 진화
06. 공간을 3D화하는 맵핑 기술
07. 디스플레이와 AI 칩 강화를 통한 모바일 기기의 변화
08. 건강을 좇는 바이오&헬스케어 기술
09. 공상과학적 미래, 클라우드와 로봇
10. 분산형 기술 블록체인과 D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