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순환경제라면 아직도 쓰레기 재활용만을 떠올리는가
피할 수 없는 순환경제로의 전환은 위기이자 기회다.
먼저 기회를 잡는 자가 250년간 지구촌을 지배할 것이다!
단언컨대 향후 250년간 지구촌에서 폐기물은 쓰레기가 아니라 가장 매력적인 비즈니스 기회로 부상할 것이다. 또한 순환경제로의 전환은 글로벌 경제의 생산과 소비 방식에 가장 큰 변혁과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시장과 고객, 자원 간의 관계를 혁신적으로 다시 생각해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순환경제는 지속적인 경쟁 우위와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들에게도 엄청난 기회가 될 것이다.
《순환경제 시대가 온다》는 이런 트렌드에 발맞춰 세계적인 컨설팅기업인 액센츄어가 세계경제포럼과 함께 폐기물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이슈를 정면으로 다룬 최초의 책이다. 연구 작업은 세계경제포럼의 차세대 글로벌 리더 그룹(YGL)을 중심으로 각계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YGL 순환경제 태스크포스에서 시작되었으며, 연구 및 분석은 미국과 스웨덴, 네덜란드, 독일, 인도, 중국 등의 액센츄어 글로벌 팀이 담당했다. 전 세계 120여 기업 사례 분석과 50명의 경영진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액센츄어 고객들을 통한 경험, 경제적 분석, 모델링 등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순환경제를 채택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접근법을 고안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과 역량, 기술 등에 대한 구조 분석 과정도 거쳤다. 그렇게 해서 얻은 최종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 저자
피터 레이시
저자 피터 레이시(Peter Lacy)는 세계적인 컨설팅업체 액센츄어의 지속가능성 서비스 부문 글로벌 이사이자 액센츄어 전략 리더십 팀의 일원이다. 또한 액센츄어 글로벌 리더십 협의회 구성원이기도 하다. UN과 EU, 세계경제포럼, 각국 정부뿐만 아니라, 코카콜라, BP, GE, 유니레버 등 다국적기업에게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혁신 전략 전문가인 그는 순환경제 등 지속가능성에 있어 세계적인 권위자로 통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의 차세대 글로벌 리더 팀의 의장이며, 세계 최초의 순환경제 시상식인 ‘더 서큘러’의 공동 창립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인시아드 등에서 경영자 과정을 이수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비즈니스 펠로우로도 활동하고 있다.
제이콥 뤼비스트
저자 제이콥 뤼비스트(Jakob Rutqvist)는 액센츄어 전략 부문과 지속가능성 프랙티스 부문 매니저이다. 액센츄어에 오기 전에는 혁신과 기후, 에너지 등의 이슈 전문가로 활동했으며 UN, 세계은행, 세계경제포럼, EU, 각국 정부와 기관, 다국적 기업들과도 관계를 맺었다.
하버드 대학교 출신이며 클린턴 글로벌 이니셔티브, 원 영 월드를 이수했다.
■ 역자 최경남
역자 최경남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제통상협력학과에서 국제통상을 전공했다. FCB 한인 광고전략, 금강기획에서 다수의 광고를 제작했으며, 현재 번역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PR이란 무엇인가》, 《광고 불변의 법칙》, 《코끼리를 쇼핑백에 담는 19가지 방법》, 《만사 불여튼튼 세일즈》, 《세일즈맨이여, 가면을 벗어라》, 《사람들은 왜 소비하는가》, 《하루미의 일본 가정식 요리》 등이 있다.
■ 차례
추천의 글 1
추천의 글 2
핵심 요약
Section 1. 순환경제 시대가 온다
Chapter 1. 한계에 다다른 차입 성장
차입 성장의 위기
쓰레기로 가득찬 지구
위험한 불균형
자원 수급의 불균형 차이를 정량화하다
선형경제 모델의 종언
Chapter 2. 순환경제의 시작
순환경제 개념의 태동
21세기 변화의 물결
순환 우위에 다가가기
Chapter 3. 순환 우위의 확보
이미 변화는 시작되고 있다
선두에 서라
경제적 기회의 측정
Section 2. 순환경제의 5가지 뉴 비즈니스 모델
Chapter 4. 순환 공급망 모델
순환 공급망 모델이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확장에 있어 주요 도전들
순환 공급망 모델 사례 : 에코베이티브, DSM
공급재의 완전 순환
Chapter 5. 회수/재활용 모델
회수/재활용 모델이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확장에 있어 주요 도전들
회수/재활용 모델 사례 : 팀버랜드, 데소, I:CO
폐기물 제로로 가는 길
Chapter 6. 제품 수명 연장 모델
제품 수명 연장 모델이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확장에 있어 주요 도전들
제품 수명 연장 모델 사례 : 캐터필러, 월마트, 에코ATM
제품 수명 연장으로 가는 길
Chapter 7. 공유 플랫폼 모델
공유 플랫폼 모델이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확장에 있어 주요 도전들
공유 플랫폼 모델 사례 : 피어바이와 렌트 타이쿤, 3D 허브
Chapter 8. PaaS 비즈니스 모델
PaaS 비즈니스 모델이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확장에 있어 주요 도전들
PaaS 비즈니스 모델 사례 : 다임러, 필립스
점점 더 확장되는 서비스
Section 3. 순환 우위의 창출
Chapter 9. 순환 비즈니스 모델
대안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외부 지원 환경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생태계를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
Chapter 10. 순환 우위 기술과 디지털 혁신
디지털 기술 : 모바일 기술, 사물통신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소셜 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
엔지니어링 기술 : 모듈 디자인 기술, 첨단 재활용 기술, 생명 과학과 재료 과학 기술
하이브리드 기술 : 추적/회수 시스템, 3D 프린팅 기술
새로운 기술을 넘어 새로운 역량으로
Chapter 11. 가치를 창출하는 5가지 순환 역량
전략. 복잡하고 협력적인 순환 네트워크 관리
혁신/제품 개발. 다수의 라이프사이클/사용자용 디자인
구매/생산. 순환 공급재
판매/제품 사용. 지속적인 고객 참여
회수망. 기회 주도형 회수
Chapter 12. 정책의 힘
정책 개입이 필요한 이유
정부 대응의 출현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주도하는 정책 프로그램
‘다른 누군가’를 기다리지 말라
순환경제 정책 추진의 5단계
이슈 1. 노동에서 자원으로의 과세 이동
이슈 2.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의 실행
이슈 3. 글로벌 제품 패스포트의 도입
Section 4 지금 당장 시작하라
Chapter 13. 우위의 포착
첫 번째 질문. 위험과 기회
두 번째 질문. 가치 공학
세 번째 질문. 디지털 및 기타 기술
네 번째 질문. 역량
다섯 번째 질문. 타이밍
최적의 타이밍은 지금이다
부록 1. 방법론
부록 2. 모델링에서 추출한 데이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