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가혹한 소수민족 탄압,끊임없는 국경분쟁, 권력의 의도대로 제조되는 뉴스와 언론통제, ‘평생’ 홀로 살아갈 4,000만 명의 독신 남성들, 4억 명에 이르는 미등록아동들, 중국이라는 울타리를 넘어 전 세계를 위험으로 몰아넣고 있는 환경문제, 지니계수 0.5를 웃도는 심각한 빈부격차, 세상에서 가장불명예스러운 상표 ‘메이드 인 차이나’, 절대빈곤과 범죄로 신음하는 무간지옥(無間地獄)…….
세계 초강대국 중국을 필연적으로 붕괴로 이끌 수밖에 없는 치명적 징후들이 곳곳에 널려 있는데도 많은이들은 중국의 미래를 장밋빛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국에 관한 거의 모든 통계와 보도들을 분석하고, 모순되는 정보의 흐름을 집적하여 중국 체제의 약점과 인민들의 점증하는불만 때문에 위태롭게 흔들리는 대륙의 실상을 생생하게 전하는 책이다. 대륙에서 접한 생생한 중국의 현실을 바탕으로 중국을 위험하게 만드는문제점을 정치, 민족, 산업, 인권, 범죄, 환경, 교육, 의료 등 큰 주제 6가지로 나누고, 31가지의 근거를 들어 중국의 장밋빛 미래를전망하는 논리들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더 나아가 사회불안정 요소들로부터 잉태된 ‘5개 잠재적 반정부군단’이 중국의 현 체제를 근저에서부터허물어뜨릴 것이라고 전망한다.
■ 저자
데이빗 매리어트(David Marriott) - 영국에서 태어났다. 켄트 대학교를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영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저널리즘과 영미문학을 강의하다 1999년에 중국으로 건너가 영자 신문인 「상하이 데일리」 창간에 관여했고, 이후특집 기사와 중국인 기자 양성을 담당하였다. 상하이 교통대학교와 푸단 대학교의 자문직을 맡기도 하는 등 중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다 2008년,정치 관련 집필활동 때문에 상하이 공안에 체포되어 홍콩으로 강제 추방되었다.
칼 라크루와(Karl Lacroix) - 캐나다 퀘벡 주에서 태어났다. 온타리오 주에 있는험버 응용미술대학교에서 멀티미디어 미술과 영화제작을 전공하고 라스베이거스에서 신문 칼럼니스트로도 일했다. 1992년에 중국으로 건너가 둥팡항공,중국은행, 상하이 증권거래소 등의 자문직을 역임하며 중국어판 「엘르(Elle)」와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에 중국의 문화와중국인들에 대한 글을 꾸준히 기고해 왔다.
■ 역자
김승완 -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번역, 무역, 출판편집 등의일을 하다 (주)연극열전 해외사업부에서 저작권 및 번역 업무를 담당했다. <리타 길들이기&& <라이프 인 더 씨어터&&<쉐이프&& 등의 연극열전 작품을 번역했다.
황미영 - 서강대학교 전산학과, 경영전문대학원 졸업. 삼성전자, 노키아 등에서 소프트웨어개발자로 일했다. 좋은 글을 많이 읽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어서 번역을 시작했다. 현재 펍헙 번역그룹에서 번역가로 활동하고있다.
■차례
추천의 글 - 중국, 서구의 전망처럼 그렇게 낙관적이지 않다
서문 - 어둡지만 말하지 않을 수없는
1. 통제와 억압으로 유지되는 체제
근거 1 잠재적 반정부군단
근거 2 농민공의 혁명
근거 3 뉴스 세탁
근거 4 상자에 갇힌마르크스
근거 5 빅 사이즈, 빅 트러블
2. 일그러진 대국의 풍모
근거 6 가혹한 식민지 탄압 정책
근거 7국경분쟁
근거 8 민주주의라는 처방전
근거 9 중국식 패권
근거 10 중국에는 오바마가 없다
근거 11 아프리카의 추악한중국인
3. 인권 후진국을 만드는 제도와정책
근거 12 1억 명의 유리 아이들
근거 13 사람 목숨과 파리 목숨
근거 14 자살 중국
근거 15아이들, 그 불행한 이름의 종족
4. 짝퉁천국, 범죄 지옥
근거 16 ‘짝퉁’ 천국
근거 17 싸구려 중국 브랜드
근거 18 아이디어 없는사회
근거 19 중국 공산당의 부패
근거 20 블루칼라 범죄
근거 21 화이트칼라 범죄
5.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
근거 22 절대빈곤 사회
근거 23 거대한 쓰레기산
근거 24 황허의 슬픔
근거 25 이데올로기에 질식당하는 인민의 건강
근거 26 사람죽이는 의료 서비스
근거 27 남아선호의 비극
6. 어두운 제국의 자화상
근거 28 중국이라는 거대한 카지노
근거 29 문화의가격은 얼마인가
근거 30 곳곳에 도사린 문제들
근거 31 진실의 대장정
주석
참고한 문헌과 출처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