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세계적인 기업의 리더와 각계 전문가가 디지털세상에 던지는 화두!
올해로 10주년을맞은 서울디지털포럼(SDF)이 ‘공존’이라는 주제로 시도한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엮은 책. 24인의 연사들의 강연을 기술, 사회, 빅데이터,콘텐츠, 미디어라는 다섯 개의 키워드로 분류해서 공존에 대해 다각적인 시선에서 생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사회는 어떤 모습을 갖게 될 것이며, 인간의 생각과 지능은 어디를향해 나아갈지에 대해 예측해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세상에 만연한 불평등 문제와 지식 격차, 경제 위기, 비주류로 전락한 문화 콘텐츠와예술의 위기 앞에 놓인 세상을 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 과연 무엇인지 함께 고민하고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 편자 서울디지털포럼 사무국
SBS에서 주최하는서울디지털포럼은 디지털 시대의 흐름을 읽어내고 혁신을 이뤄낼 영감을 공유하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된 비영리 목적의 국제 포럼이다.서울디지털포럼 사무국은 매년 TIME(Technology, Information, Media and Entertainment) 산업과 주요글로벌 이슈를 토대로 주제를 선정하고 세계 정상급 연사들을 초청한다. 이들은 범세계적인 지식혁명과 산업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 미래의 비전을제시한다. 각계 리더들이 미래를 읽는 혜안을 공유함으로써 이 시대의 지식 격차 해소와 사회문제 해결, 경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올해로 10주년을 맞는 서울디지털포럼의 이번 주제는 ‘공존-기술, 사람, 그리고 큰 희망’이었다.
■ 역자
방영호 - 경제경영 및 인문교양 분야전문번역가. 아주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했다. KT&G 휴럼, 한미약품 한미FT, 벤트리 등 여러 기업에서 마케팅 기획 및상품개발 관련 업무를 했다. 옮긴 책으로는 『지금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필립 코틀러 전략 3.0』『필립 코틀러 퍼스널 마케팅』『보스의탄생』『관계의 본심』 등이 있다.
조혜란 - 서울여자대학교에서 불문학과 경영학을 전공했다. 옮긴 책으로는 『지구는 어떻게만들까』 『영재 부모의 오답 백과』(공역) 등이 있다.
김미란 - 충남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했다. 옮긴 책으로는 『비즈니스』(공역)가있다.
■차례
추천사 - 소통하는 기술, 공존하는 도시 _ 박원순
들어가기 전에 - 90퍼센트를 위한 기술 _ 폴 폴락,머렐라 크리스투우
Part 1.Technology - 기술과 사람이 함께 가야 할 길
01 글로벌 브레인이란 무엇인가 _ 팀 오라일리
02기술은 무엇을 원하는가 _ 케빈 켈리
03 세상의 작업 영역화, 독인가 약인가 _ 루치아노 플로리디
04 스티브 잡스의 선택과구글의 자비 _ 손화철
05 기술과 함께 한 과거, 그리고 미래 _ 제네비브 벨
Part 2. Society - 스마트 사회의 새로운 기회
01 더 나은사회를 위한 도전 _ 김종훈
02 새로운 기회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_ 스티브 발머
03 매크로위키노믹스, 집단 지성의 무한한가능성 _ 돈 탭스콧
04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정보의 바다 _ 티브이 라만
05 스마트 시대, 새로운 희망을 말하다 _ 표현명
Part 3. Big data -넘쳐나는 정보의 무한한 가능성
01 빅데이터, 그 무한한 가능성의 바다 _ 버너 보겔스
02 애플리케이션, 새로운삶의 방식 _ 필 리빈
03 데이터와 예술이 만났을 때 _ 애론 코블린
04 빅데이터로 하나 되는 세상 만들기 _ 이봉규
05 오픈소스, 지도에 보이지 않는 지역을 찾아라 _ 미켈 마론
Part 4. Content - 놀이와 예술이 공존하는 콘텐츠의 미래
01 결국은콘텐츠 시대다 _ 박웅현
02 엔터테인먼트와 콘텐츠의 놀라운 융합 _ 최종일
03 CCL, 창작을 위한 공유와 혁신의 개방 _윤종수
04 TV는 공존할 수 있을까 _ 김혁
Part 5. Media - 속도와 진정성이 공존하는 세상
01 멀티플랫폼 환경에서본 미디어의 도전 _ 알 안스테이
02 저널리즘의 수수께끼 _ 로버트 톰슨
03 사람이 중심이 되는 소셜디자인 _ 하비에르 올리반
04 인터넷을 보호하라 _ 제프 자비스
에필로그- 반성과 혁신이라는 시대적 물결 속, 우리의 선택은 공존이다 _ 이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