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신화에 가려진 예술사 속 거장들에게서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배운다!
대학에서 창조경영을 연구하면서 클래식 음악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가 창조혁신과 관련된 해답을 300년 전 클래식의거장들의 성공 전략에서 탐구해보는 책.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이 활동하던 300년 전 서양의 음악시장은 지금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치열한 성공의 각축장이었다. 그들은 음악이라는 창조적 콘텐츠를 생산하는 예술가들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중과 후원자들을 상대로 인기와 성공을얻어내야 하는 경영자들이었다.
책 속에는 다양한 형태로자신의 성공을 거머쥐거나 한때 승승장구하다가 혁신에서 실패해 쓸쓸한 뒤안길로 사라져간 음악가들의 면면이 등장한다. 모차르트와 살리에리처럼 뻔히알려져 있는 라이벌 관계와는 전혀 다른 반전을 안겨주는 음악가들의 이야기도 새롭게 조명된다. 더 이상 혁신적인 아이템을 생산할 수 없을 때음악가라는 타이틀을 버리고 과감히 요리사로 전업한 로시니의 이야기 등 이제까지는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선으로 경영적인 입장에서 음악가의 성공전략들을 살펴볼 수 있다.
■ 저자천영준 & & & & &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과 교육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정보산업공학과에서 기술정책과 소프트웨어산업을 연구했다. 현재 연세대 창조경영센터에서 소셜 플랫폼 기업의 기술 전략, 예술가와 과학자의 생산성과관련된 네트워크 구조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공연단체의 기획/자문 역할로도 일한 경험을 살려 바로크음악 전문 연주단체인 Chanteza Dieu의 전문위원으로도 참여하고 있다. 「Asian Social Science」「경영학연구」「군사과학기술」 등 국내외 다수 학술지에 논문을게재한 바 있으며 현재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의 「동아비즈니스리뷰(DBR)」에 ‘Lesson from Classic’이라는 칼럼을 연재하고있다.
*
taisama@naver.com■ 차례
Chapter 1 리베로 vs 게이트키퍼
비발디, 선두주자가 된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북독일의 작곡가들, 생산적인 정치는 성공의 지름길이다
살리에리, 혁신을 포기하고 네트워크의 대가가 되다
모차르트, 성공한 천재의 전략적 패러독스
Lesson from Classic 1
Chapter 2 다각화 vs 전문화
바흐,경계를 뛰어넘은 진정한 혁신가
헨델, 문화기업가 정신으로 꽃을 피우다
로시니, 똑똑한 바보, 거장들의 거장이 되다
멘델스존, 혁신적인 문화기업가 멘델스존의 명암
Lesson from Classic 2
Chapter 3 오피니언 리더의 시대
케루비니,전략적 모호성도 선택적 관리가 필요하다
베토벤과 그의 시대 上, 오피니언 리더는 준비된 것이다
베토벤과 그의 시대 下, 위기를극복하는 자기 성찰의 힘
바그너, 역량 파괴적 변화를 주도한 오피니언 리더
Lesson from Classic3
Chapter 4 예술 경영과 창조경제
플랫폼 리더십의 시대, 전략적 오케스트레이션의 미학
예술로 보는 경영, 이론으로 보는 예술과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