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일기예보는 왜 자꾸 틀릴까?
날씨 길잡이 일기예보와 기상 관측을 다루는 날씨 이야기
아침이면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이 있다. 바로 일기예보다. 비가 온다는 소식에 우산을 챙기고, 첫눈이 온다는 소식에 설레는 마음으로 집을 나서게 하는 일기예보. 하지만 틀린 일기예보에 비를 쫄딱 맞은 경험도 있을 것이다. 일기예보는 왜 자꾸 틀릴까? 일기예보는 누가 만들까? 날씨는 어떻게 예측할까? 우리와 날씨를 가장 가깝게 연결해 주는 일기예보가 작성되는 과정, 기상 위성과 기상 레이더로 날씨를 관측하는 방법, 일기도를 읽는 방법 등을 상세하게 알아보자. 더불어 우리를 위험에 빠뜨리기도 하는 이상기후와 자연재난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은 지구와 우리의 미래를 지킬 방법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아라키 켄타로
구름을 연구하는 사람이면서 기상청 기상연구소 연구관 박사(학술)이기도 하다.
1984년생 이바라키현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를 거쳐 기상청기상대학교를 졸업했다. 지방기상대에서 예보, 관측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전문은 구름 과학과 기상학이다. 방재를 위해서 호우와 폭설, 토네이도 등과 같은 기상재해를 일으키는 구름의 구조, 구름의 물리학 연구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 《신비롭고 재미있는 날씨 도감》 《구름을 사랑하는 기술》 《세계에서 가장 멋진 구름의 교실》 《구름 속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적란운의 일생》 등 다수가 있다. 영화 〈날씨의 아이〉에서 기상 감수를 맡았다.
Twitter·Instagram @arakencloud
■ 번역 오나영
일본에서 실내건축설계를 전공하고 건축 회사에서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했다. 2009년 귀국 후 건설 회사를 거쳐, 광고 회사 및 IT 회사 임원들의 일본어 교육과 시놉시스 번역이나 기업체 기획 행사 통번역자로 활동했다. 이후 핸드크래프트 생활용품숍 ‘까사라이크’를 운영하면서 우연히 접하게 된 자작나무 껍질 공예에 매료되어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다. 2017년, 우리나라 최초로 자작나무 껍질 공예 공방 카나비요르크를 열었고, 현재 자작나무 껍질 공예와 더불어 북유럽의 핸드크래프트 동향을 소개하는 일에도 주력하며, 한국 자작나무 껍질 공예 협회를 이끌고 있다. 지은 책으로 《네베르스로이드》가 있고, 옮긴 책으로 《신비롭고 재미있는 날씨 도감》 《힙하지 않고 인싸도 아니지만》 《100세 눈 건강법》 《나에게 와줘서, 정말 고마워》 《10초 아침 청소 습관》 《내일도 따뜻한 햇살에서》 등이 있다.
■ 차례
시작하는 말
캐릭터 소개
CHAPTER 1 대단한 구름 이야기
01 구름 속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02 구름을 세는 방법은 구름 모양에 따라 다르다
03 손가락 하나로 구별하는 물고기구름과 양떼구름 [관찰하기]
04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이유 [관찰하기]
05 구름을 보면 비가 내릴지 안 내릴지 알 수 있다 [관찰하기]
06 적란운 아래쪽에 비 기둥이 보이면 주의!
07 사람의 가족사를 보듯 세대 교체하는 적란운
08 〈천공의 성 라퓨타〉 속 ‘용의 소용돌이’의 정체
09 컵으로 이해하는 구름의 원리 [관찰하기]
10 페트병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는 구름 [실험하기]
11 아이스크림으로도 구름을 만들 수 있다 [실험하기]
12 비가 내리면 서늘해지는 이유는?
13 도시 불빛으로 환상적인 색을 띠는 밤 구름 [관찰하기]
14 적란운이 발달하기 쉬운 요일이 있다고?
COLUMN1 기상청은 어떤 곳인가요?
CHAPTER 2 대단한 하늘 이야기
15 세상에서 가장 쉬운 채운 찾기 [관찰하기]
16 하늘에서 무지개 색을 발견하는 방법 [관찰하기]
17 쌍무지개 사이의 어두운 하늘에는 이름이 있다 [관찰하기]
18 쌍무지개 말고도 3중, 4중 무지개도 있다 [관찰하기]
19 신비로운 쌍둥이 무지개와 끊어진 무지개 [실험하기]
20 쉽게 만날 수 있는 하늘의 무지개 색 광환 [실험하기]
21 북유럽에서는 블루모멘트가 몇 시간이나 지속된다!
22 밤하늘에 떠 있는 마법 같은 빛기둥! [관찰하기]
23 초록빛으로 빛나는 태양! 그린플래시의 원리
24 안개, 연무, 박무는 비슷해 보이지만 모두 다른 현상
25 모래바람 때문에 하늘이 온통 노란색으로 물든다!
26 달 표면에도 지명이 있다 [관찰하기]
27 지구에서 반사한 빛이 달을 비추는 지구광의 매력 [관찰하기]
28 지구의 하늘이 개기월식 중인 달을 붉게 만든다 [관찰하기]
29 화성의 석양은 푸른색이다
COLUMN2 국립기상과학원은 어떤 곳인가요?
CHAPTER 3 대단한 기상 이야기
30 욕실에서 쉽게 이해하는 비구름의 원리 [실험하기]
31 주먹만 한 빗방울은 왜 떨어지지 않는 걸까?
32 눈 결정이 육각형인 과학적인 이유 [관찰하기]
33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 다양한 색의 눈 [관찰하기]
34 공기가 없다면 지구의 온도는 영하 18℃!
35 물은 모습을 바꾸며 지구를 여행 중이다
36 일기예보의 주연은 저기압과 고기압
37 저기압의 소용돌이 방향은 지구 자전에 의해 결정된다
38 제트기류를 타면 비행기는 더욱 빠르게 난다
39 하늘에서 물고기가 떨어진다고?!
40 천둥이 우르릉거리며 소리를 내는 비밀
41 낙뢰 한 번에 일반 가정 6개월 치 전기량
42 아득히 높은 하늘에서 번쩍! 붉은색, 푸른색 번개가 있다?
43 꼭 알아야 할 이상 기후의 의미
44 먼 나라에서 발생한 화산 폭발이 그 해 농사를 망친다
COLUMN3 머리카락으로 습도를 알 수 있다
CHAPTER 4 대단한 계절 이야기
45 태양에너지에 의해 사계절이 결정된다
46 가을 하늘이 높다고? 사실은 봄과 같은 높이
47 장마는 두 개의 기단이 만나 힘겨루기할 때 생긴다
48 북태평양 고기압이 여름을 덥게 한다
49 태풍이 직격하면 소금 바람이 분다고?
50 태풍 때문에 기온이 훌쩍 높아지는 때가 있다
51 겨울 날씨는 산을 경계로 180° 달라진다
52 차가운 겨울 코에 스미는 눈 냄새의 정체 [관찰하기]
53 겨울 아침의 마법! 서리의 결정을 관찰하자 [관찰하기]
54 영하 50℃ 이하가 되면 들리는 별의 속삭임
55 엘니뇨, 라니냐 현상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
CHAPTER 5 대단한 날씨 이야기
56 철저히 검증하자! 날씨와 관련한 소문들
57 누구나 간단히 읽을 수 있는 일기도 [실험하기]
58 날씨를 세밀하게 나누면 100종류! 일기도 읽어보기 [실험하기]
59 처음부터 알아보는 일기예보 작성법
60 일기예보가 틀리는 원인은 카오스 때문
61 곤충 관찰을 통해 급변하는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
62 기상 레이더와 기상 위성, 호우를 연구하는 최전선!
63 2100년 한반도의 최고기온은 40℃?!
64 뇌우가 내릴 때 절대 나무 아래로 피하면 안 된다!
65 태풍이 접근할 때 ‘어디서’ ‘무엇이’ 위험할까?
66 여름철 가장 무서운 열사병
67 재해에 대해 알아보고 미리 대비하자
맺는말
찾아보기
퀴즈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