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논리와 심리의 사이에서 생각의 오류를 줄이려면
뇌는 게으르기 위해 바쁘다. 뇌는 가능한 한 인지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많은 정보 가운데 어떤 범주를 가장 잘 대표하는 특성들만 남기고 나머지는 과감히 버려 효율성 극대화를 꾀한다. 에너지를 아끼는 구두쇠 같은 이러한 인지 방식은 효율적인 대신 여러 가지 인지 오류를 초래한다.
더구나 이러한 인지 방식의 제1 목표는 ‘자기 보존’이기에, 내 소망이 담긴 ‘심리’가 자주 ‘논리’를 비틀고 들어온다. 인간이 무의식적·자동적으로 움직이는 측면이 꽤 있기는 하지만 노력하면 이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누구나 자신이 원하지 않는 방향, 특히나 스스로 생각해도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생각과 마음이 뻗어나갈 수 있다. 생각을 검토하다 보면 ‘내가 왜 이렇게 비합리적인 생각에 딸려 가고 있지?’ 하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이런 순간이 바로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는 계기가 된다. 뇌의 에너지 정책으로 인한 오류들은 쓸데없이 상대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하고, 내 잘못을 덮으며, 불안을 키우기 쉽다. 우리는 잠깐 멈춰서 숙고하는 것만으로 이 오류들을 줄일 수 있으며,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고 보다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다.
이 책의 1부에서는 방어적 귀인,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구분을 못하는 것, 회상 용이성 휴리스틱, 인지 구두쇠, 제3자 퇴행 논변 등 우리에게서 일어나는 오류들을 짚어본다. 일상을 힘들게 하는 내 생각의 습관을 점검하는 것이다.
2부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무기로 삼아 철학적 사고를 더욱 본격적으로 훈련한다. 내 인식의 사각지대를 살피고, 근거에 입각해 생각하고, 분석적으로 사고하고, 내 생각을 움직이는 소망적 요인을 알아내고, 내 생각이 닿기 어려운 부분에 가중치를 두어 교정적 인식을 하며, 나를 힘들게 하는 잘못된 믿음에서 벗어나려 노력하고, 삶의 근본적 태도를 점검하고, 관찰적 자아를 활성화하는 등의 훈련은 독자들을 막연히 힘들게 했던 인간관계의 문제들을 해결할 열쇠가 될 수 있다.
3부에서는 저자가 철학커뮤니케이터로서, 철학을 가르치는 교수로서 여러 사람들에게 들었던 고민의 내용을 토대로 철학적 사고를 일상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들을 제시한다. 독자들은 자신과 비슷한 고민들, 그리고 고민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줄 철학적 생각의 길을 읽으며 내 문제 또한 객관적ㆍ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 저자 박은미
철학박사·철학커뮤니케이터.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강의교수와 세종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는 일반인을 위한 철학 저서 집필과 강의에 전념하고 있다. 철학의 문턱을 낮추는 일을 통해 일반인과 철학 사이에 다리를 놓겠다는 포부로 철학커뮤니케이터를 자처하고 있다.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일상을 위한 철학’ 채널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철학적 성찰력의 힘을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는 것, 삶과 닿아 있는 철학을 하는 것이 인생의 목표이다.
저서 《진짜 나로 살 때 행복하다》를 출간한 이후 ‘인간관계에 대해 철학하기’ ‘자기 자신과의 화해를 위한 철학 카운슬링’ ‘삶을 견디고 있는 당신을 위한 철학’ 등의 강의로 대중들과 호흡하고 있다. 《삶이 불쾌한가: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EBS Books), 《진짜 나로 살 때 행복하다》(소울메이트)를 단독으로 썼고 《철학, 삶을 묻다》, 《미래 인문학 트렌드》, 《왜 철학 상담인가》 등을 다른 연구자들과 함께 썼으며 《철학Ⅱ: 실존 조명》(공역),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철학의 역사》, 《50인의 철학자》 등을 번역했다.
■ 차례
프롤로그
1부 개념편: 일상을 힘들게 하는 생각 습관들
01 왜 피해자인 나를 탓하지? ∥ 방어적 귀인
02 내가 이런 건 다 부모 탓이라는 생각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구분
03 타인을 선의로 해석하기 어려운 이유 ∥ 휴리스틱
04 오해와 편견을 부르는 뇌의 에너지 절약 방침 ∥ 인지 구두쇠
05 길을 막고 물어봐! 누가 그렇게 말하나 ∥ 제3자 퇴행 논변
06 내 눈에만 안 보이는 내 잘못 ∥ 인식의 사각지대
07 나조차 속아 넘어가는 나의 거짓말 ∥ 가짜 일관성
08 생각의 틀을 바꿔야 해답이 보인다 ∥ 프레임 바꾸기
부록 나를 힘들게 하는 생각 진단 및 처방
2부 심화편: 삶을 변화시키는 생각 훈련
09 인식의 사각지대 줄이기 ∥ 내가 놓치고 있는 것을 점검하자
10 현명한 생각의 출발점 ∥ 근거에 입각해 생각하자
11 경험의 효과를 두 배로 만드는 생각의 힘 ∥ 분석적으로 생각하자
12 확증편향에 휘말리지 않으려면 ∥ 내가 틀릴 수 있음을 염두에 두자
13 소망적 사고 극복하기 ∥ 내 생각을 움직이는 요인을 알아내자
14 후회와 불행을 줄이는 생각법 ∥ 교정적 인식을 하자
15 논리와 심리의 사이에서 마음의 가닥 잡기 ∥ 비합리에 딸려 가지 말고 균형을 잡자
16 무의식 바라보기 ∥ 나를 힘들게 하는 잘못된 믿음에서 벗어나자
17 다름을 견디는 힘은 어디서 오는가 ∥ 결과적으로 그렇게 됐을 가능성을 생각하자
18 심리학 책을 읽고 감동해도 그대로 실행하기 어려운 이유 ∥ 삶의 근본적인 태도를 점검하라
19 내 마음을 정말 내 마음으로 하고 싶다면 ∥ 관찰적 자아를 활성화하자
부록 나 자신을 알기 위한 질문법
3부 실전편: 일상에 철학 적용하기
Q 1 팀장인 제 말을 꼬아서 듣는 팀원들에게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편안한 소통이 될까요?
Q 2 저도 꼰대가 될 수밖에 없을까요?
Q 3 제 직장 동료가 제가 불편하다는데, 적반하장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Q 4 일을 제대로 하지 않는 동료 때문에 힘이 듭니다
Q 5 직장의 대표가 사소한 것까지 간섭하면서 “이런 것까지 내가 해야 하냐?”라고 해요
Q 6 직장 동료가 사람들을 너무 무시해서 괴로워요
Q 7 회사에서 일일이 칭찬받고 싶어 하는 저, 프로가 아닌 걸까요?
Q 8 번아웃이 온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Q 9 어떤 생각에 빠지면 그 생각에서 빠져나오기가 어렵습니다
Q 10 회피하는 성향이 있어서 평소에 대화가 어렵고 불필요하다는 생각만 듭니다
Q 11 감정일기를 쓰는 것이 생각을 잘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까요?
Q 12 아버지가 지나친 능력주의자입니다
부록 삶을 위한 철학적 조언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