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교과서를 뛰어넘는 ‘통계’ 이야기
‘통계’를 통해 세상을 읽는다!
우리는 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사건들을 이해하기 위해 통계를 내 보기도 하고 그것을 토대로 확률을 계산해 보기도 한다.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고 전망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통계와 확률 지식을 사용한다. 이 책은 먼저 통계와 확률의 기본 지식을 설명하고, 그것을 토대로 우리의 삶과 사회를 통계와 확률을 통해 들여다본다. 통계가 보여 주는 사회의 근본 문제를 파악하면서 동시에 통계가 보여 주지 않는 개인의 삶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한 세상을 향해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 저자 박재용
저자 박재용은 개별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신뢰와 종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회의를 어떻게 조화시킬지 고민하며 글을 쓰는 전업 저술가. 과학과 사회, 과학과 인간, 데이터와 사실이 맞닿는 경계를 공부하고 취재하며, 그 결과를 책으로 내고 있다. ‘탄소 중립으로 지구를 살리자고?’, ‘냉장고를 여니 양자역학이 나왔다’, ‘1.5도, 생존을 위한 멈춤’, ‘중?고등학교 과학토론 완전 정복’(공저) 등 20여 권의 책을 썼다.
■ 차례
들어가며
1장 통계와 확률의 다양한 개념
1. ‘확률형 아이템’에 속지 않기: 독립시행
2.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 1: “I am a man.”
3. 가난한 사람들의 범죄율이 높다: 범주화의 오류?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 2: 가난이 만든 범죄
4. 비 오는 날 비 맞을 확률: 조건부 확률
5. 맛있는 귤 고르기: 선택편향
2장 거짓말하는 통계
1. ‘가짜 뉴스’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2. 그래프 제대로 보기
3. 평균의 함정
4. 거짓말탐지기의 증거 능력: 기저율의 오류
5. 하나만 봐서는 안 되는 이유
3장 통계로 사회 읽기
1. 통계가 보여 주는 ‘기후위기’
2. 통계가 가능하게 해 준 ‘새벽 배송’
3. 통계로 보는 ‘교통사고’
4. 백신을 꼭 맞아야 할까?
5. 어른이 되면 어떤 일을 하게 될까?
6. 정말 대학이 인생을 좌우할까?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 3: 누가 명문대학에 갈까?
4장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통계
1. 장애인 친구가 드문 이유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4: 장애인 때문에 약속에 늦었다?
2. 산업재해와 비정규직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 5: “그 쇳물 쓰지 마라.”
3. 남녀평등 문제는 이제 해결된 걸까?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 6: 어느 모녀 이야기
4. 자살률1위의 대한민국
-통계가 보지 못하는 것 7: 주거 취약계층 노인들
글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