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do it pro bono!
새로운 사회공헌, 새로운 일의방식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사람이 그것을 활용하여 공공의 이익을 만들어냄으로써 새로운 사회공헌을 하고 있는 ‘프로보노’에 주목하여, 프로보노의 모든 것을 정리한 책이다.프로보노를 활성화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이며, 프로보노 워커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일에 임해야 하는지, 프로보노를 제공하고 제공받는 양자가어떻게 서로의 필요충분을 채워 행복한 세상을 만들 것인지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무엇보다 프로보노 잠재자가 어떻게 사회공헌과 자신의 성장을연결시킬 수 있는지 그 해답을 알려준다. 또한 조직화된 기업체보다 더욱 조직적인 프로보노 워커의 움직임과 성공 사례를 소개하여, 자신의 능력을개발하는 방법으로 프로보노를 완벽한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프로보노 : 미국 변호사들이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제공하는 법률서비스를 뜻하는 말이다. 법률뿐 아니라의료·교육·경영·전문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행하는 봉사활동을 통칭하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 저자사가 이쿠마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 시 출생. 도쿄대학 교육학부 상관사회과학 졸업하고 일본종합연구소를 거쳐 지역통화와NPO의 가능성을 펼치는 조직 만들기에 관여하고 있다. 현재 특정비영리활동법인 ‘Service Grant’의 대표이사 및 ‘Earth DayMoney’ 협회 대표이사로 있으며, 지은 책으로『지역통화』가 있다.
■ 역자 임태형
1987년 삼성전자에 입사하여 R&D 업무를 하고, 1994년과장 진급 후 삼성사회봉사단 창단 멤버로 기업 사회공헌 업무 시작하였다. 1996년 일본재단 초청으로 일본에서 기업 사회공헌에 대해 연구했으며,2002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 신설된 KT 사회공헌부로 옮겨 민영화된 KT의 사회공헌 기반 구축과 활동활성화에 힘썼다. 2007년 KT 서울대 MBA 과정 수료하고 2008~2009년 KT 지사장으로 근무하였으며, 2010년 3월부터 지금까지사회공헌정보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며 기업 사회공헌 관련 교육, 컨설팅, 정보 제공, 네트워킹 등으로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 활성화와 총량 확대를위해 일하고 있다.
■차례
역자 서문
프롤로그 - 프로보노의 모습
제1장 프로보노의 의미
1. 프로보노란 무엇인가
2. 자원봉사 유형
3. 사회공헌 활동의 스펙트럼
4. 미국에서 일어난 혁신
5. 일본에서 높아진 관심
6. 시스템화된 프로보노
제2장 NPO의 과제와욕구
1. ‘비영리’라는 사고방식
2. NPO에서 말하는 성과
3. 자금을 모으는 문제
4. 다양한이해관계자
5. ‘자원봉사’라는 자원의 어려움
6. 리더의 역할
제3장 프로보노 워커의 다른 모습
1. 자원봉사와는 인연이 먼 사람들
2. 소셜을 지향하는 비즈니스맨
3. 프로보노 워커의 참여 동기
4. 프로보노를 실감하다
제4장 성공하는 프로보노의 조건
1. ‘열린시스템’의 가능성
2. 프로보노의 위험성
3. 매니지먼트 인프라 구축
4. 프로보노 프로젝트 기획
5. 기능하는사무국과 운영모델
6. 성공하는 프로보노의 조건
제5장 공공선(公共善)을 위한 프로보노의 사명
1. 신공공관리
2. 협력의 세종류
3. 공공영역에서의 가능성
4. 가나가와 현과의 협력사업
5. 고향 마을 프로보노
6. 프로보노의 기반이 되는행동 기준
에필로그 - 프로보노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