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문제는 토지다!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토지 불로소득의 사유화는 정의롭지못하다.
가장 중요한 생산수단이자 사회 전 영역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토지를 중심으로 주택, 금융,세금, 분배, 사회갈등, 복지, 도시계획, 통일, 대안모델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의 정의를 세우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다. 저자들은토지의 독자성과 중요성을 드러냄으로써 주류경제학의 문제점을 밝히고, 여러 경제적·사회적 문제가 토지원리를 무시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짚어냈다. 토지가 주택, 금융, 세금, 분배, 사회갈등, 복지, 도시계획, 통일, 대안모델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 각 분야의 정의를 세우는 핵심요소임을 제시한다. 또한 토지제도가 어떻게 시장경제를 혼란에 빠뜨리며 얼마나 한국 사회 구성원들을 괴롭히고 있는지를 다양한 자료를 통해 밝히고,정의로운 토지제도를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 저자
김윤상 -1971년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5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공군 중위로 전역한 후 1976년이래 경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82년에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도시및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특권과 불로소득이없는 좋은 세상을 꿈꾸면서 주로 토지사유제, 서울중심주의, 학벌주의를 비판해 왔고 최근에는 토지와 복지를 연결하여 재분배 없는 사회보장을마련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땅과 정의』, 역서로는 『진보와 빈곤』 등 다수가 있다.
조성찬 - 서울시립대학교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 전공으로 수학하였다. 중국 런민 대학교 토지관리학과를 졸업하고, 토지관리 전공으로 행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발전연구원, 국토연구원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현재 <토지+자유 연구소&& 토지주택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주요 논문으로 「중국 도시 토지연조제 및 북한 경제특구에의 적용 모형 연구(中國城市土地年租制及其對朝鮮經濟特區的适用模型硏究)」「거품 의존형 오너십소사이어티 전략과 전세대란의 인과관계 연구」「선전경제특구 공공토지임대제 개혁과정에서 지대납부 방식의 중요성 연구」등이있다.
남기업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헨리 조지 사상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와 아세아신학대학 강사 및<토지정의시민연대&&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지금은 <토지+자유 연구소&& 소장,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 전임강사로 활동하고있다. 저서로는 『공정국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모델』『지공주의: 새로운 대안경제체제)』 등이 있다.
반영운 -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대학원에서 도시계획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도시및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환경학과 조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토지정의시민연대&& 정책위원, <토지+자유연구소&& 연구위원, <환경정의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관련 논문으로는 「‘토지임대―건물분양’ 방식의 주택정책활성화방안」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정치경제학』(공역)이 있다.
이태경 - 시민운동가이자 컬럼니스트인 이태경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현재 고려대학교대학원에서 헌법을 전공하고 있다. <토지정의시민연대&& 사무처장과 <토지+자유 연구소&& 연구위원을 겸하고 있다. 또한<프레시안&& <미디어오늘&& 등의 매체에 다양한 주제로 고정칼럼을 게재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사회의 속살』『투기공화국의풍경』『이명박 시대의 대한민국』(공저)『부동산 신화는 없다: 투기 잡는 세금 종합부동산세』(공저)『위기의 부동산』(공저)이 있다.
구찬동 - 2010년경북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분배정의, 토지정책과 사회정책 등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으며, 현재 <토지+자유 연구소&&의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평등한자유’에 따른 분배-시장부문과 복지부문의 통합」(공저)「부를 고려한 포괄소득의 불평등도분석」「우리나라 포괄소득 측정 및 정책적 함의」(공저)등이 있다.
■ 차례
1부 우리에게 토지는 무엇인가?
1장 토지는 왜중요한가?(김윤상·남기업)
2부 불평등과거품 없는 경제를 위하여
2장 주택 문제는 토지 문제다(조성찬)
3장 금융 불안정의 주범은 지대신용화폐다(조성찬)
4장 토지세 강화와 조세대체 전략(남기업)
5장 토지와 분배 문제(구찬동)
3부 토지 불로소득 환수로 사회갈등과 복지 문제를 해결한다
6장 토지와사회갈등(이태경)
7장 토지와 복지: 지대를 재원으로 하는 사회보장 설계(김윤상)
8장 토지와도시계획(반영운)
4부 토지개혁은 통일과대안모델 구상의 중심이다
9장 통일을 대비한 북한 토지개혁 방안은 공공토지임대제 강화(조성찬)
10장 토지와대안모델 (남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