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우리나라의 위생관리와보건행정이 어떻게 진보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이 책은 우리나라가 아직 낙후되어 식품위생관리가 허술하고 보건행정도 치밀하지 않던 시절에 발생하여 적지않은 인명을 앗아간 식중독, 전염병을 관리할 때 빚어진 혼란상이나 식품 관련 각종 규정을 제정할 때의 상황의 이면 등을 가감 없이 기술했다.과거 우리가 먹어온 음식물의 내용과 새로운 음식물의 탄생에 얽힌 이야기 등을 소개하고, 저자 자신이 공직에 있으면서 겪은 사건들의 속사정도자세히 밝혀놓았다.
■ 저자신광순
1956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석사, 건국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1965년 일본 국립공중위생원에서 환경위생기술과정을 수료했다. 국립의료원 영양과장, 보건사회부 식품위생과장, 국립보건원 위생부식품기준연구담당관을 역임했으며, 서울보건대학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로 정년퇴임했다.
사단법인 한국식품안전협회 회장, 보건복지부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장, 식품의약품안전청식품기술자문관, 한국HACCP연구회 회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회장,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회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식품위생학」 「수의공중보건학」 「미국 FDA의 제도와 기능」 「HACCP 이론과 실천모델」 「국가 식품 안전성 확보와 HACCP의 역할과전망」「미생물 관리 Q&A :식품생산 현장 실무용」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국민훈장 모란장과 대한보건협회 학술대상을 받았다.
■ 차례
제1장 우리나라 초창기식품위생 관리제도
1950년대의 위생 관련 법규
식품위생법의 공포와 그 역사적 배경
식품위생행정의 선진화를위한 규격 기준 제정
최초의 식품위생법 개정과 수입 식품 신고 제도 운영
위생관리 업무 처리 기준의 제정
부정, 불량식품추방 지시와 위생관리관실의 탄생
보건 3대 악 추방을 위한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공포
불량상품 전시회와우수식품(SF) 지정 규정 공포
우수식품(SF) 지정 제도의 시행과 남긴 교훈
제2장 보건사회부 식품위생과 시절의 회고
영양사 제도 도입 경위와 숨은이야기
국민영양조사 제도의 기틀 마련
최초의 국민영양조사 및 전담 행정기구 설치
WHO 주최 식중독 세미나 참석과 보고서발표
한국식품공업협회의 탄생과 식품 관련 협회들
식품위생관리 사업의 초석을 세우다
행정처분 일원화를 위한 식품위생법 개정시도
1970년도 식품위생관리 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안
1971년은 ‘식품위생행정 발전의 해’였다
한국 1971년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입
1973년 식품위생법 개정에 담긴 뜻을 되살리자
제3장 1960∼70년대 식품위생·안전성 논쟁
롱가리트 사건과 식품위생 전담과의 탄생
대한의사협회와 보건사회부 간의 색소 검출 논쟁
라면 생산의 선두 주자 삼양식품에얽힌 이야기
곰팡이독소(Aflatoxin)의 발암성 문제
미국 코카콜라의 한국 시장 상륙에 얽힌 이야기
화학조미료(MSG)·인공감미료의 안전성 논쟁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노력
혼선으로 얼룩진 콜레라와비브리오 식중독
콜레라 발생 현지에서 생긴 일들
최초의 선진국형 아이스크림 해태 ‘부라보콘’에 얽힌 이야기
최초의 유산균음료 ‘한국야쿠르트’에 얽힌 이야기
목장우유의 대장균 검출 파동
라면의 실험쥐 급여 시험과 유해론 시비
롯데 껌의 철편검출 사건
월남전 파병과 김치통조림 수출
최초의 스낵제품 ‘농심새우깡’에 얽힌 이야기
삼천리식품의 석회두부 사건
양조식초인 환만식초의 유해성 시비
고름우유 사건과 파스퇴르유업의 선전 술수
수입 우지 유무해 판정은 검찰의월권행위
제4장 제도 개선에 기울인 노력과보람
1987년 ‘식품관리청’의 필요성을 최초로 주장하다
FDA 필요성 주장과 식품의약품안전본부의 탄생
HACCP제도 도입과 한국HACCP연구회의 발족
HACCP제도 정착과 활성화에 기여한 활동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발족과식품기술자문관 위촉
미국 FDA 수준의 식품의약품관리청 신설을 주장하다
식품안전정책의 방향과 HACCP의 역할을 촉구
식품안전 정책상 필요한 식품위생법 개정안을 제시
식품안전기본법을 최초로 만들어 제출하다
제5장 앞날을 인도한 보건·영양·위생과의 만남
국방부 공채로 시작된 보건직과의 인연
메디컬센터 영양과의 기틀을 세운 보람
WHO 장학생으로 선발되는 행운
1965년 일본의 보건위생 분야 현황과 견문기
1965년 WHO 연수 시절의 일들을 다시 회고하며
제6장 전공 분야 사회 활동과 기여한 일들
서울대 보건대학원 동창회의 기반을 닦다
초창기 식품위생심의위원의 구성과 위촉의 역사
대한보건협회의 발족과보건대상 수상
수의공중보건학회 설립으로 학문의 초석을 다지다
식품위생안전성학회의 설립과 이룩한 업적
식품 관련 언론보도의중요성과 소신을 밝히다
‘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다
인명색인
신광순 박사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