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다문화시대에서 다수집단과소수집단 간에 공존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다문화사회로 점점 더 변화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사회의 위험성과 갈등의측면과 다문화사회에 대해 자세히 알고 준비할 수 있도록 다문화사회에 대해 안내하는 책이다.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경험적으로 조사하고,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들의 권리와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개선점을 모색한다. 정부의 적극적 조치와 국민의식의 변화를 해답으로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진정한 다문화사회로 가는 길을 발견할 것이다.
■ 저자
윤인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TheSocial Origins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from 1965 to thepresent』『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생활과의식』『코리안 디아스포라.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등이 있다.
송영호 -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현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에 있다.논문으로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이 있다.
김상돈 - 성균관대학교 사회학 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연구교수로 있다.「현대지식정보사회와 직업」「범죄피해자학」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송주영 -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정치학 석사, 뉴욕주립대학교 정책학 석사이며 현재아시아인권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 차례
책머리에
01 서론
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과사회문제
2.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02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논의
2. 주요 개념
3. 선행연구 검토
4. 요약
03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조사개요
2. 인구사회학적특성
3. 분석결과
04 한국인의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태도
2. 소수인종집단에 대한 태도
3. 이주민에대한 권리부여 인식
4. 외국인 이주자와 소수자들과의 사회적 거리감
5.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6. 한국인의 국가자부심
05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의 실태와공존의 모색
1. 다문화정책의 방향
2. 다문화적 소수자집단 지원정책
3.소결
06 결론
1.요약
2. 결론
참고문헌
부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