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세상을 바꾼 36권의 과학 고전과 그 안에 적힌 위대한 문장들을 담은 ‘과학 + 역사’ 책
이 책은 세상을 바꾼 뛰어난 과학 원전을 소개하며 과학의 역사를 들려주는 책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던 과학사 책과는 다르다. 단순히 과학적 발견을 나열하지 않고 그 발견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과학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지식을 넘어 ‘맥락’을 들려주는 책이다.
저자는 과학이란 오류 없이 진리로 이끌어주는 길잡이가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인간 본연의 방법이라고 말한다. 때로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때로는 오류에 빠지기도 하며, 또 많은 경우에 매우 뛰어난. 이 책을 통해, 차갑고 멀게만 느껴졌던 과학이 실은 아주 인간적인 추구임을 깨닫고 과학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수잔 와이즈 바우어
저자 수잔 와이즈 바우어는 1968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나 초/중/고 과정을 홈스쿨링으로 마친 후 17세에 문학과 언어 부문 미국 최고의 대학인 William & Mary in Virginia에 대통령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하였다. 옥스퍼드대학교 교환학생으로 20세기 신학을 공부하고 미국에 돌아와 수석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영문학과 미국 종교사 두 개의 전공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동 대학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라틴어, 히브루어, 그리스어, 아랍어, 프랑스어, 한국어를 구사하며 다방면의 장서를 넓고 깊게 읽는 다독가이자 자신의 지식을 쉬운 문체로 풀어쓸 줄 아는 친절한 선생님으로서 ‘세계 역사 이야기’, ‘독서의 즐거움’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썼다.
■ 역자 김승진
역자 김승진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에서 경제부와 국제부 기자로 일했다. 이후 환경 불평등과 국제 거버넌스를 주제로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나무의 말’, ‘권력과 진보’, ‘교육과 기술의 경주’, ‘커리어 그리고 가정’,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 ‘격차’ 등이 있다.
■ 차례
세상을 바꾼 위대한 과학책 36권
서문 혹은 이 책을 사용하는 방법 - 수잔 와이즈 바우어
1부 세상의 시초를 열다
01 히포크라테스 : 최초의 과학 문헌 - 처음으로 자연 세계를 자연 용어로 기술하다
02 플라톤 : 인체를 넘어서 - 처음으로 우주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다
03 아리스토텔레스 : 변화 - 처음으로 진화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다
04 아르키메데스 : 모래알 - 수학을 사용해 우주를 측정하다
05 루크레티우스 : 빈 공간 - 신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자연 세계를 설명하다
06 프톨레마이오스 : 지구 중심적인 우주 - 역사상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할 책이 나오다
07 코페르니쿠스 : 최후의 고대 천문학자 - 더 정교한 수학으로 대안적인 우주론을 제시하다
2부 과학적 방법론이 탄생하다
08 프랜시스 베이컨 : 새로운 제안 -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역법에 도전하다
09 윌리엄 하비 : 입증 - 관찰과 실험으로 고대의 위대한 권위자를 반박하다
10 갈릴레오 갈릴레이 : 아리스토텔레스의 죽음 - 관찰과 증명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권위를 무너뜨리다
11 로버트 보일, 로버트 훅 : 도구의 도움 - 자연을 왜곡하고 감각을 확장해 실험 방법을 향상시키다
12 아이작 뉴턴 : 논증의 규칙 - 실험 방법론을 전체 우주로 확장하다
3부 지구를 읽다
13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 지질학의 기원 - 지구 과학이 탄생하다
14 제임스 허턴, 조르주 퀴비에 : 새로운 과학의 법칙 - 지구의 형성을 설명하는 양대 이론이 나오다
15 찰스 라이엘 : 길고 점진적인 역사 - 동일 과정설이 정설로 자리잡다
16 아서 홈스 : 답해지지 않은 문제 -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다
17 알프레드 베게너 : 거대 이론의 귀환 - 대륙 이동설이 제기되다
18 월터 앨버레즈 : 돌아온 파국 - 지구사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격변적인 외부 사건’이 재등장하다
4부 생명을 설명하다
19 장-바티스트 라마르크 : 생물학 - 처음으로 생명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시도하다
20 찰스 다윈 : 자연 선택 - 처음으로 종의 기원에 대해 자연주의적인 설명을 제시하다
21 그레고어 멘델 : 유전 - 유전의 법칙과 작동 기제가 드러나다
22 줄리언 헉슬리 : 종합 - 세포 수준의 연구와 거시적 진화 이론을 결합하다
23 제임스 D. 왓슨 : 생명의 비밀 - 생화학으로 유전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다
24 리처드 도킨스, E.O. 윌슨, 스티븐 제이 굴드 : 생물학과 운명 - 신다윈주의적 환원론과 그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다
5부 우주로 향하다
2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상대성 - 뉴턴 물리학의 한계가 제기되다
26 막스 플랑크, 에르빈 슈뢰딩거 : ‘빌어먹을 양자 도약’ - 불연속적인 경로의 존재를 발견하다
27 에드윈 허블, 프레드 호일, 스티븐 와인버그 : 빅뱅의 승리 - 시초에 대한 질문으로 돌아가서 종말을 생각하다
28 제임스 글릭 - 나비 효과 : 복잡계, 지식의 한계를 상기시키다
위대한 과학책 36권 원전으로 읽기
주석
참고 문헌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