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다양성 지수, 미래 사회의 가장 중요한 스펙이 된다
성차별, 인종차별 등의 혐오에 기반한 ‘차별’과 그로 인한 심각한 사회 문제는 왜 생겨날까? 이는 우리 사회 안에 존재하는 수많은 차이를 다양성의 긍정적인 발현으로 인정하지 않고, 자신과 다른 특성을 가진 상대를 타자화하고, 배척하고, 억압하기 때문이다.
다양성은 ‘차별’이라는 치명적인 무기이자 해로운 독소에 맞서고 치료하는 가장 효능이 뛰어난 해독제이자 방패다. 다양성은 이제 개인의 취향이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가장 확실한 열쇠가 되고 있다.
이 책은 개인과 공동체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절체절명의 과제로 떠오른 ‘다양성’ 담론에 관한 진화학, 사회학, 인구학, 미디어학, 종교학, 범죄심리학 분야 국내 최고 권위자이자 존경받는 여섯 석학의 깊이 있는 연구와 치열한 사고, 생산적인 논쟁을 집대성했다. 이 책을 읽는 당신은 인간 사회 안에 오랫동안 시나브로 형성되고 굳게 자리 잡아 고질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 차별의 실체와 그 교묘한 작동 원리를 날카롭게 통찰하게 될 것이며, 다양성이 그 해결의 실마리와 열쇠를 제공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 저자
염운옥
저자 염운옥은 경희대학교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이다. 고려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도쿄대학교에서 ‘영국의 우생학 운동과 모성주의’로 박사학위를 받은 역사학자이다. 저서로 ‘낙인찍힌 몸’, ‘생명에도 계급이 있는가’ 등이 있다.
조영태
저자 조영태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동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이다. 사람들이 태어나고 이동하고 사망하는 인구현상을 통해 사회의 특성과 변화를 읽어내는 인구학자이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인구학을 공부했으며, 저서로 ‘정해진 미래’, ‘인구 미래 공존’ 등이 있다.
장대익
저자 장대익은 가천대학교 창업대학 석좌교수이다. 인간 본성과 기술의 진화를 탐구해온 과학철학자, 진화학자, 그리고 창업가이다.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에서 생물철학을 공부했고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에듀테크 회사를 창업했다. 저서와 역서로 ‘공감의 반경’, ‘다윈의 식탁’, ‘종의 기원’ 등이 있다.
민영
저자 민영은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미디어대학원장이다. 다양한 층위의 커뮤니케이션이 시민성과 공동체의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 미디어학자이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저널리즘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고려대 성평등센터장 및 다양성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김학철
저자 김학철은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소장이다. 기독교 성서를 전공하여 연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기독교 교양학과 종교 문해력을 학문의 주제로 삼아 연구하고 가르친다. 저서로 ‘성스러움과 아름다움이 입 맞출 때’, ‘렘브란트, 성서를 그리다’, ‘EBS 고전으로 읽는 성서-마태복음서’ 등이 있다.
이수정
저자 이수정은 경기대학교 범죄교정심리학과 교수이다. 현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 한국보호관찰학회 회장이다. 범죄 심리학에 관한 다수의 서적과 논문을 집필했고 주요 언론 매체를 통해 범죄 심리를 자문하고 있다. 저서로 ‘최신 범죄심리학’,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 지낸다’ 등이 있다.
■ 차례
추천사
서문
Lecture 01. 인종, 그리고 인종차별 / 염운옥
‘인종’, 쉽고도 어려운 이야기 / 호모 사피엔스는 ‘호모 미그란스’이면서 ‘호모 하브리두스’ / 인종 신화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 인종의 허구성 / 그러나 여전한 인종주의 / 인종주의를 없애려면?
Lecture 02. 다양성의 시대에 어떻게 살아남을까 / 조영태
인류의 이동과 다양성 / 인구 절벽의 위기 / 인구 문제를 보는 미래지향적 관점 / 잘파세대의 국경을 초월한 이동은 운명이다 / 글로벌 인재의 경쟁력 ‘다양성’
Lecture 03. 다양성과 공감, 그리고 행복 / 장대익
인류는 다양성을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했는가? / 집단의 규모를 키운 힘은? / 우리 사회의 다양성 지수는 왜 낮을까? / 다양성 지수를 높이는 방법은?
Lecture 04. 미디어는 어떻게 다양성을 저해하는가 / 민영
다양성 사회의 미디어와 이용자 / 레거시 미디어의 작동 방식 /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의 작동 방식 / 미디어 이용자는 무엇을 해야 할까-다양성의 유용성과 가치 이해하기 / 다양성 사회를 위한 미디어의 역할
Lecture 05. 신은 왜 인간에게 혐오를 가르쳤나 / 김학철
초월을 향하는 인류의 본능 / 정결과 부정-윤리, 그리고 혐오 / 예수의 근본 체험과 삶-두려움과 혐오를 넘어서는 사랑의 실천
Talk 01. 우리 사회의 인종주의와 낙인 / 이수정, 염운옥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강화된 인종 혐오 / 이주 외국인을 향한 악의적, 차별적 시선 / 다양성과 포용성을 갖춘 성숙한 공동체를 향하여
Talk 02. 생존의 필수 조건: 다양성 / 장대익, 조영태
우리는 다양성을 추구해야만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 젊은 세대의 다양성 지수와 공감 지수는 기성세대보다 훨씬 높다 / 우리나라 산업의 경쟁력과 다양성 /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과 다양성 / 다양성은 의지를 갖고 학습해서 얻는 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