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내가 사는 집에 관심을 가지며 잘 꾸미고 관리한다는 것은
‘나만의 작은 문명’을 만드는 일이자 ‘개인이 주체가 되는 문화’를 누리는 것
가구는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이다. 좁은 집과 넓은 집,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등 집의 형태와 상관 없이 가구는 어느 집에나 존재한다. 필요에 따라 가구를 가감할 수는 있겠지만 가구가 없는 집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가구는 오랜 시간 동안 인간과 함께해왔고 그런 가구의 역사를 좇다보면 인류의 역사도 알게 되리라는 사실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가 구매한 가구와 그 가구로 꾸린 우리만의 공간에 사회, 정치, 경제, 문화적 배경이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흥미로운 에피소드들과 함께 전달한다. 그럼으로써 취향을 담아 ‘나만의 작은 문명’을 꾸리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공간과 더 나아가 당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저자 김지수
저자 김지수는 (주)매스티지데코의 대표이사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CSO로 일하고 있다.
2006년 드라마 ‘궁’으로 트렌드의 정점에 섰던 나비장 시리즈와 2010년 북유럽 가구 트렌드를 국내 온라인 시장에 최초로 대중화시켰다. 특히 국민휴지케이스라 불리는 ‘마카롱 휴지케이스’의 아이디어를 직접 내고 도안을 그려 제작, 국내외 마켓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2014년 ‘여성중앙’ 100인의 이슈체커단에 선정되었고, ‘여성동아’, ‘엘르’, ‘레몬테라스’, ‘까사리빙’, ‘메종 마리끌레르’, ‘리빙센스’ 등 각종 여성지와 리빙지, 주요 일간지, 리빙 관련 방송 등에서 인터뷰와 기고를 했다. 또한 서울대 경영대학 MBA 과정, 상명대 예술대학 재학생, 현대카드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리빙 문화 특강을 했다. 서울대 총동창회 종신이사를 겸하고 있다.
■ 차례
추천의 말
들어가는 말
1장 리빙
1. 나는 카페 같은 집에 산다
2. 미국에서 온 미드 센추리 모던 스타일
3. 이케아는 가구 브랜드가 아니다
4. 더콘란숍은 들어왔는데, 슈프림은 들어오지 않은 이유
5. 앤티크와 빈티지, 레트로, 클래식은 이렇게 다르다
6. 메타버스 세상에서 멋진 가구를 살 수 있다면
7. 조선시대 빙하기가 만들어낸 것은
8. 노르웨이의 숲이든 가구든 간에
9. 집 꾸미기가 어렵다면 자연을 보라
10. ‘무엇’보다 ‘왜’를 찾는 가구의 사회사
2장 사물
1. 화장대가 허영의 테이블로 불리게 된 까닭
2. 개인을 위한 침대는 없었다
3. 소파보다 식탁에 투자하라
4. 권력은 의자에서 비롯된다
5. 원목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6. 광란의 20년대에 선보인 가구는?
7. 가구를 만드는 사람들
8. 같은 듯 다른 공예와 예술
9. 조선왕과 대한제국 황제의 가구는 뭐가 다를까?
10. 좌식 가구의 끝판왕 경대와 소반
3장 공간
1. 이태원 앤티크 가구 거리에서 그것을 보았다
2. 로미오와 줄리엣은 테라스에서 만난 것이 아니다
3. 세계 3대 리빙 가구 박람회를 엿보다
4. 안방 문화는 여기에서 시작되었다는데
5. 어제의 집과 오늘의 집에 있는 것
6. 소로가 월든 호수에 오두막집을 지은 이유
7. 최영미와 버지니아 울프가 원한 방은 결국 같았다
8. 프렌치 시크 제인 버킨의 방이 궁금하다
9. 북유럽 디자인 색상이 톤다운된 까닭
부록: 가구 연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