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한국의 빠른 인구 변화가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을 해부하다!
대한민국은 현재 도시 구조와 인구 구조가 급변하는 대전환 시대에 돌입했다. 전문가들은 저출생과 고령화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저소득ㆍ저성장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처럼 대한민국의 부동산 거품도 터질 것으로 전망한다. 게다가 인구가 수도권으로 이동하면서 지방은 소멸 위기에 처했고, 수도권은 대기질 악화로 인해 도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은 인구 문제, 부동산 문제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녹지 공간의 파괴로 기후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 부동산시장의 흐름은 어디로 향할 것인가?
사회적 현황과 세대별 인식의 변화에 따라 부동산시장의 미래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 근시안적인 해결책 대신 도덕적 책임을 가지고 미래 지향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책이 전하는 부동산에 대한 선구안은 더 나은 대한민국의 미래로 나아가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며, 부동산 개발자와 정책 입안자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김효선
대한민국 부동산 금융 분야의 대표적인 전문가로 현재 NH농협은행 All100자문센터의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래에셋그룹에서 부동산 컨설턴트로서 다양한 연구와 투자자문을, 대림그룹과 GS그룹 등에서는 부동산 개발부터 분양 및 운영까지 폭넓은 실무 경험을 쌓았다. 국내 주요 언론 매체에 경제 패널로 출연해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기 칼럼을 통해 부동산 시장의 흐름과 정책 방향에 대한 명쾌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부동산을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삶의 공간으로 바라보며, 균형 잡힌 성장과 안정을 이루길 꿈꾼다.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 발전, 도시 개발과 녹지 공간의 조화, 복합 용도의 효율적 활용, 세대 간 균형 등 급변하는 부동산 트렌드에 대한 현실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부동산학 학사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도시계획학 석사 과정을 마쳤다. 현재 동 대학원 도시공학 박사 과정에 있으며 도시와 부동산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연구하고 있다.
■ 차례
추천사 _ 주택은 집인가, 부동산인가?지은이의 말 _ 이제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PART 1 대한민국에 서울이라는 대도시가 만들어지다대한민국 부동산이 불패일 수밖에 없는 이유대한민국은 아파트 공화국주공아파트가 그 동네에서 입지가 제일 좋은 이유세계에서 알아주는 경쟁력 있는 도시의 요건PART 2 도시 구조 및 인구 구조의 대전환 시대지금 대한민국 대도시는 어떤 상황인가?주택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주택 가격을 결정하는 몇 가지 핵심 요인들주택 가격의 방향키인 금리와 심리하우스푸어와 영끌이의 결정적인 차이점PART 3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심각한 양극화양극화를 빼고는 논할 수 없는 시대지역 양극화는 왜, 얼마나 진행되었나?대한민국의 인구 감소, 너무 빨라 절대위기다대한민국의 저출생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숫자가 먼저 경고하고 있는 지방 소멸 위기PART 4 인구 감소가 지방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인구 감소 원인이 저출생이라면 그 결과는 고령화고령자 양극화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대한민국의 부동산은 이제 끝났다지방 부동산은 현재 제로섬 게임중PART 5 인구 이동이 서울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학군지·일자리 유목민 vs. 여가생활·힐링 유목민전남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슈퍼스타도시 서울로집은 많아도 주택은 부족? 질적 수요도 주목하자‘어떻게’ 주택을 공급할지가 핵심이다대한민국 부동산시장의 새로운 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