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소비자들의 생각을 숫자로 읽는다!
2013년을 앞둔 대한민국 소비자들은무슨 생각을 하고, 어떻게 행동할까?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100만 명의 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심리를98개의 코드로 풀어냈다. 2013년을 앞둔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심리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답답함, 불안’이었다. 소비자 시장의 주도권이 58년개띠로 상징되는 베이비붐 세대에서 82년 개띠로 상징되는 에코 세대로 넘어가고 있고, 장기불황에 따른 불안감, 세대교체와 맞물리며 진행되는SNS의 확산도 시장을 바꾸는 핵심적인 이슈이다.
더욱이한국인들에게 장기불황과 저성장은, 처음 경험하는 낯선 일이다. 이처럼 막막할 때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좋은출발점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비즈니스에서 장기불황에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바로 나의 상품과 서비스를 사줄 고객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어떤생각을 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아는 것이야말로 불황 돌파의 든든한 디딤판을 마련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 저자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www.trendmonitor.co.kr) - 대기업 중심으로 공급되던 전문 소비자 조사 정보를 개인 연구자들과 중ㆍ소기업,개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미션으로 삼고 있는 시장조사 전문기업이다. 모든 소비자 조사의 콘텐츠는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자체적으로 기획하고직접 비용을 들여서 배포하고 있다.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에서 진행한 모든 조사 콘텐츠는 설문지ㆍ보고서ㆍ테이블 형태로 개인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다. 약 1,400여 개의 전문 조사 자료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회도서관, 리디북스, 교보문고, 스콜라,YES24, 한국학술정보 등에서도 열람이 가능하다. 자체 페이스북(www.facebook.com/trendmonitor)과 트위터(@emtrendmonitor)를 통해서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주)마크로밀엠브레인(www.embrain.com) - 국내 대표 종합 리서치 기업으로 국내 최대인 100만 여 명의 소비자 패널을 보유하고 있다.연 4,200여 개가 넘는 정성·정량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리서치 모델과 분석 기법을 통해 깊이 있는 소비자 이해를 지향하고있다. 지난 2012년 2월 일본 주가총액 1위 리서치기업인 마크로밀(marcomill)과 자본투자유치협약을 체결하면서, 글로벌화·대형화 추세인국내 리서치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최근에는 MmSEM(Mixed-mode Sruvey) 조사 방식을 내세워서사회여론조사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획조사를 전담하는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와 일반인도 손쉽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는엠브레인이지서베이()를 통해 리서치 서비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최인수 -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ㆍ㈜마크로밀엠브레인 대표이사. 연세대학교응용통계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마크로밀엠브레인과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의 대표이사로 있다.건국대 소비자정보학과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는 KORA(한국조사협회)부회장과 서울시정개발 여론조사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공저) 등이 있다.
윤덕환 -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콘텐츠사업부 부장.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ㆍ사회심리학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엠브레인 리서치 팀장을 거쳐 현재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 사업부문을 총괄하고 있다.한경아카데미(hiceo)에서 『대한민국소비지도』 코너를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동아비즈니스리뷰(DBR), KT경제경영연구소(디지에코)의 이슈크런치 등에 기명 칼럼을 쓰고 있다. 저서로는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공저)가 있다.
채선애 -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콘텐츠사업부 차장. 고려대학교대학원에서 문화ㆍ사회심리학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와이티엔(YTN) 방송국과 엠브레인을 거쳐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 사업부에서근무하고 있다. 현재 리서치 콘텐츠 전체의 기획과 구성, 관리를 총괄하고 있으며, 신규 비즈니스에 관한 대외 커뮤니케이션 업무도 담당하고있다.
김미진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콘텐츠사업부 대리.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쳤고, 리서치21과 매경리서치를 거쳐㈜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 사업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리서치 콘텐츠 기획과 전문 리포트 작성 이외에 소셜미디어 마케팅도담당하고 있다.
송으뜸 -㈜마크로밀엠브레인 경영기획부/기획팀 대리. 단국대학교 방송영상학과를 졸업하고, ㈜마크로밀엠브레인 기획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마크로밀엠브레인과㈜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의 대외적인 매체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고 있으며, 전문 소비자 조사 자료를 일반 대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담당하고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디지에코)의 Issue & Trend 코너의 집필진 중 한 명이다.
■ 차례
서장 - 트렌드리포트 &
1장IT·모바일
Hot Issue! PC와 스마트폰, 공존의 길 찾기
1. 음성 명령, 얼마나 사용하나?
2.스마트폰 광고 얼마나 볼까?
3. 스마트폰 케이스는 왜 필수품이 되었나
4. 전자책이 종이책을 대체할 수 있을까
5. 인터넷커뮤니티가 줄고 있다
6. PC의 존재감이 약해지고 있다
7. 모바일 메신저는 어디까지 갈 수 있나?
8. 모바일 인터넷 전화대중화의 조건
9. 통신 요금 얼마나 올랐나?
10. 태블릿PC 대중화의 조건 外
2장 유통·쇼핑
Hot Issue! 소비자의선의(善意)는 ‘초저가의 유혹’을 이길 수 없다
17. 수입 쇠고기 vs 한우, 소비자의 선택은?
18. 소비자들이 저가항공사에게기대하는 것
19. QR코드, 얼마나 찍어볼까?
20. 소비자 리뷰, 얼마나 믿을까?
21. 소포장 제품, 비싸도살까?
22. 렌탈서비스 하기 좋은 제품은 무엇?
23. 소형가전이 뜨는 이유
24. 꼭 새 것으로 구입해야만 해?
25.‘이태원 프리덤’을 외치는 이유는?
26. 일본 제품 방사능이 무서워요! 外
3장 여가·외식·미디어 &
Hot Issue! ‘TV’와 함께하는‘저녁이 있는 삶’이면 충분한 이유
38. 팟캐스트 얼마나 들을까?
39. 어떤 TV채널을 즐겨 볼까?
40. 종편채널에 대해어떻게 생각할까?
41. TV를 보는 거니, 인터넷을 하는 거니?
42. 페이스북과 트위터, 하는 이유가 달라요
43.‘재미’로 보는 운세서비스가 재미없다고?
44. 아직도 미술관과 박물관이 어려우세요?
45. 떡볶이도 ‘브랜드’를 따져서먹나요?
46. 지역축제 얼마나 가봤나?
47. 키즈카페가 늘어나는 이유는? 外
4장 사회·문화 &
Hot Issue! 사회적 불안에 대한 대처 :나를 단련하기 vs 남들과 연대하기
59. 어려울수록 기부가 필요해!
60. 손주를 키우고 싶어 하는 조부모는 얼마나?
61.이상적인 자녀의 숫자는?
62. 택시 서비스, 맘에 드십니까?
63. 복권 당첨되면 무엇을 할까?
64. 반려동물은가족인가?
65. ‘아르바이트’가 사회생활에 도움이 될까?
66. 선물용 ‘현금’이 없다?
67. 사교육,줄어들까?
68. 대중교통 요금 150원 인상도 부담스럽다 外
5장 패션·뷰티·헬스
Hot Issue! 보이는 몸(외모)관리는 경쟁력이지만, 보이지않는 몸(건강)관리는 어떤 의미일까?
82. 교복, 브랜드가 중요할까?
83. 고가의 아웃도어 브랜드, 정말 위화감을 조성하나?
84. 내복, 아직도 창피하세요?
85. 먹는 화장품, 아세요?
86. 건강관리, 어떻게 하나?
87. 이제 패션도‘인스턴트’ 시대
88. 명품, 짝퉁이 더 많을까
89. 아침식사 챙겨먹기 어려운 사회
90. 의약품, 꼭 약국에서만 사야해?
91. 말로는 ‘채식’, 몸은 ‘육식’
6장 금융·부동산
Hot Issue! 불확실성 시대, 급등하는 투자전략 : 자기계발
92. 카드 결제의 틈새, 휴대폰이 파고든다!
93. 저축은행, 못 믿겠다!
94. ‘애물단지’ 취급 받는 현금
95. 인터넷 뱅킹, 불안하지 않으세요?
96. ‘내 집 마련’의 꿈, 접을 수 있을까?
97. 가계부, 안 쓰게 되는이유는?
98. 아파트, 투자의 대상일까 거주의 대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