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제1장에 물류의 기초개념을 정리하였고, 제2장에서는 물류관리의 구조로서 물류서비스의향상과 물류비용의 절감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했다. 제3장에서는 물류시스템의 구조로서 재고의 배치방법 및 수송방법, 이들 설계에서 운영까지를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제4장에서는 물류센터의 구조와 운영면에서 재고보충과 출하를 어떻게 능숙하게 하는가를 기초적으로 설명하고, 제5장에서는로지스틱스를 통하여 정보네트워크를 통합하는 방안과 제3자 물류를 간단하게 설명했고, 마지막 제6장에서는 세계화와 국제물류로서 국제물류인 항공,해상화물의 정보처리 시스템과 각 대륙의 물류구조를 정리했다. 그리고 부록으로 현행의 물류관련법규를 첨부하여 물류를 공부하는 학생 및 물류관리사를준비하는 사람들과 물류현장에서 관련업무를 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 저자 유아사 카즈오
1971년 와세다 대학 대학원석사과정을 수료하고 일통총합연구소에 입사하여 현재 경영컨설팅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다수의 물류 관련 저서가 있다.
■ 역자
박명섭 -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학·석·박사과정 수료. 영국 리버풀대학 박사과정 수료(경제학 박사). 일본 코베대학 경영학부 외국인연구원(Japan FoundationFellow). 부산수산대학교 무역학과 교수(1985.3~1996.7).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자문위원,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교수. 현재)성균관대 경영학부 교수, 성균관대 대학원 무역학과장,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회장, 한국무역상무학회 부회장, 대한무역학회 부회장. 저서로는『상업고등학교 무역영어』『글로벌 비즈니스 무역영어』『국제물류의 이해』『국제해운론』『대공황의 세계』『국제경제사』 외 다수가있다.
조종주 -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받았다. 일본 와세다 대학 상학연구과 객원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창원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전자결제시스템의 구조』가있다.
한낙현 - 경남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대학원무역학과 졸업. 일본 와세다대학 대학원 상학연구과 수료(상학박사). 현재) 경남대학교 경제무역학부 조교수,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일본와세다대학 산업경영연구소 연구원. 저서로는 『海上保險にぉける危險の變動』『해상보험의 이해』(공저) 『영·미의 해상보험비교』『위험관리와 보험의이해』(공저) 『관세·통관의 이해』(공저) , 역서로는 『국제복합운송실무』(공역)『국제운송과 화물해상보험』외 다수가 있다.
■ 차례
제1장 물류의 기초지식 -본격적인 물류의 시대가 도래
1. 물류의 의미
2. 물류발전의 역사
3. 최근의 물류동향
4. 물류와로지스틱스의 차이점
5. 로지스틱스에서의 물류변화
6. 물류의 구성
7. 물류의 종류
8. 제조업 물류의 특징
9.도매물류의 특징
10. 소매물류의 특징
11. 물류업무의 형태
12. 물류업자의 분류
13. 물류자회사의의미
14. 물류와 생산·영업의 관계
15. 가격파괴와 물류와의 관계
16. 상물(商物) 분리
제2장 물류관리의 구조 - 물류서비스의 향상과 물류비용의 삭감이라는 두가지의 역할
1. 물류관리의 활동
2. 물류서비스의 의미와 실태
3. 다빈도소량물류의 진전
4. 재고의문제점 및 관리
5. 재고를 삭감하는 ABC분석과 품목삭감
6. 재고관리의 수법
7. 물류비용의 구조
8. 물류비용의계산
9. 물류비용 데이터의 활용
10. 물류서비스의 비용
11. 물류 ABC와 기업과의 관계
12. 물류 ABC기본매커니즘의 의미
13. 거래처와 서비스의 교섭
14. 트럭운임의 결정
15. 물류개선의 방법
16. 로지스틱스 시대의물류조직
제3장 물류시스템의 구조 - 재고 배치방법과 수송방법을 설계에서 운용까지의정보활용이 관건
1. 물류시스템의 구조
2. 물류작업시스템의 구축
3. 물류센터의 배치
4.물류시스템의 흐름
5. 사내의 물류시스템
6. 창고와 물류센터의 차이점
7. 물류를 합리화하는 크로스독킹
8. 소매업물류거점의 특징
9. 제조업, 도매의 물류거점의 특징
제4장 물류센터의 구조와 운영 - 물류시스템의 중핵으로써 재고보충과 출하방법이 관건
1. 물류센터의 구조
2. 하역·보관의 기기
3. 피킹작업
4. 출하의 작업효율과 정밀도의고조
5. 물류센터에서의 유통가공
6. 일괄납품의 구조
7. 수송방법
8. 트럭의 효율적 수송
9. 수송·배송계획의작성
10. 공동배송의 의미
11. 물류관리의 기본
12. 작업원 관리의 방법
13. 물류개선에 유효한 벤치마킹
14. 물류정보시스템의 의미
15. 수주시스템의 의미
16. 재고관리시스템
17. 물류센터정보시스템
18.수송관리시스템
제5장 정보를 통합하는 로지스틱스 - 최신 정보통신의 하드와 소프트 구사하는것으로 진전
1. 공급연쇄관리의 의미
2. 신속대응
3. ECR
4. VMI
5. 물류효율화를 위한가격정책
6. 유통구조의 변혁
7. 정보네트워크와 물류
8. EDI
9. 인터넷과 물류
10. 핵심역량부문에서아웃소싱으로
11. 제3자 물류
제6장 세계화와 국제물류 - 국내외 장벽이 없어지고 있는 오늘날의 국제물류의형태
1. 세계화와 물류
2. 국제물류와 국내물류의 차이점
3. 항공화물의 절차
4. 항공화물의정보처리시스템
5. 해상화물의 절차
6. 해상화물의 정보처리시스템
7. 아시아 국제물류의 구조
8. 북미 국제물류의구조
9. 유럽 국제물류의 구조
부록 - 물류관련법령집 - 2006년 개정 물류관련법규
1. 화물유통촉진법
2. 유통단지개발촉진법
3.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4. 항만운송사업법
5.유통산업발전법
6.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