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3월 1주차

BOOK SUMMARY
 인문 

편지 공화국

저자 앤서니 그래프턴(역:강주헌)
출판 21세기북스
출간 2021.11
도서요약 보기



편지 공화국


사라진 지식 유토피아, 편지 공화국

이 책의 1장부터 9장까지는 요즘 국가를 규정할 때 흔히 사용되는 뚜렷한 표식이 거의 없던 낯선 상상의 땅에 대한 한 역사학자의 보고서라 할 수 있다. 그 땅은 ‘편지 공화국(Respublica literatum, Republic of Letters)’이란 독특한 이름으로 불렸다. 그곳의 시민들은 공화국에 진심으로 충성했고, 거의 모두가 두 가지 언어를 사용했다.


하나는 1500년부터 1650년까지 모든 학문에서 공통된 언어로 사용되었지만 그 후에도 여전히 주된 역할을 하던 라틴어였고, 다른 하나는 프랑스어로 대부분의 간행물과 거의 모든 살롱(salon), 즉 상류층의 객실에서 열리던 작가와 예술가의 사교 모임에서 점진적으로 라틴어를 대체하고 있었다. 그러나 편지 공화국에는 국경이 없었고, 정부도 없었으며, 수도도 없었다. 그곳은 사회적 계급이 정교하고 명확히 구분된 세계, 예컨대 남자와 여자가 자신의 지위와 직업을 뚜렷이 드러내는 의상을 입던 세계였지만, 그곳의 시민들은 모두가 평등하며, 자신이 특별히 향유하는 명성은 순전히 자신의 노력으로 쟁취한 것이라 주장했다.


한 관찰자가 1699년에 남긴 말을 빌리면, 편지 공화국은 무척 오래전에 시작되었다. 온 세상을 아우르는 편지 공화국은 연령과 성별을 초월해 온갖 국적과 사회 계급에 속한 사람들로 구성된다. 오래된 언어는 물론이고 최근의 언어까지 온갖 언어가 사용된다. 미술적 장식이 편지에 더해지며, 장인도 이 공화국에서는 고유한 지위를 갖는다. 대중의 찬사로 명예와 영광을 얻는다. 편지 공화국은 유럽 최초의 평등사회를 자처했지만 지식인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던 추잡한 현실에서 그 드높은 이상이 항상 실현된 것은 아니었다.


편지 공화국을 상상해보는 하나의 방법은 일종의 ‘현학적 세계’, 말하자면 경이로운 것들로 가득하고, 대다수가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며, 현학적인 학자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생각해보는 것이다. 편지 공화국 시민들은 후원자들이 좋아하는 고대 문헌으로 채워지고 선반에 가지런히 정돈된 인문학 선조들의 흉상이 묵묵히 내려다보는 도서관을 번질나게 드나들었고, 진귀한 유물이 보관된 전시실의 벽과 선반에 예술적으로 진열된 코뿔소 뿔과 스키 및 에트루리아 시대의 무기를 겸허한 자세로 바라보았다. 또 편지 공화국 시민들은 원형의 멋진 해부학 강의실도 자주 찾았다. 적어도 겨울에는 시신이 고약한 악취를 풍기지 않았을 테니까. 그들이 어떤 곳을 주로 찾았든 간에 어떤 곳에서나 그들의 편향되지 않은 폭넓은 취향을 엿볼 수 있었다.


편지 공화국 시민들은 다양한 면모를 띠었다. 대부분이 온순한 초식동물처럼 점잖았지만, 그런 학자들의 주변에는 아타나시우스 키르허(Athanasius Kircher, 1602-1680)처럼 박식한 괴물들도 어슬렁거렸다. 키르허는 인디애나 존스조차 시샘했을 정도로 모험적인 삶을 살았던 지식인이었다. 예컨대 화산을 연구하겠다는 일념으로 베수비오산의 분화구에 올랐고, 잔 로렌초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 1598-1680)가 ‘네 강의 분수’로도 불리우는 로마 나보나 광장의 피우미 분수를 설계하는 걸 돕기도 했다.


또 키르허는 나보나 광장의 그 분수 옆에서 공연하던 마술사들의 마술 기법을 알아내려 애썼고, 도미니크회 수사들을 상대로 축구하는 걸 좋아했으며, 이집트와 중국이 노아의 홍수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태양 중심의 지동설을 제기하며 교단의 분노와 두려움을 자극했다. 키르허가 이 모든 주제에 대한 자신의 잡다한 생각들을 라틴어로 기록한 자료의 규모는 실로 엄청나서 현대의 어떤 학자도 그것을 전부 읽어낼 수 없을 것이고, 그만큼 쓴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소문에 따르면 키르허의 저서를 구입한 독자는 거의 없었지만, 그는 후원자들로부터 넉넉히 지원을 받았고, 독자들로부터는 폭넓은 관심만이 아니라 상당한 조롱도 받았다고 전해진다.


서지학의 창시자, 문제적 인물 트리테미우스

일반적인 경우에 학자들이 가장 강렬하게 느끼는 감정은 혐오도 사랑도 아니고, 독일인들이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라 칭하는 것이다. 번역하면 ‘다른 사람이 고통받는 모습을 보며 느끼는 희열’쯤이 된다. 베네딕트회 수도원장이고 애서가이던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Johannes Trithemius, 1462-1516)보다 이런 감정을 효과적으로 떠오르게 하는 르네상스 학자는 없는 듯하다.


20대에 트리테미우스는 베네딕트 회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고, 도서관을 다양한 서적으로 가득 채워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40대에는 수도원에서 쫓겨나며 책까지 멀리할 수밖에 없었다. 30대쯤에는 유럽에서 가장 혁신적인 역사학자 중 한 명이 되었지만, 50대에는 동료들로부터 자료를 조작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따라서 많은 학자가 신성로마제국의 막시밀리안 황제가 남긴 필사본을 비롯해 관련된 자료들을 확인하고 싶어 했지만 트리테미우스는 옛 수도원 동료들이 이미 팔아버렸기 때문에 그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고 변명해야 했다. 유명한 수도원장이자 영적 조언자이던 트리테미우스는 악마의 도움을 받는 마법사라는 비난과 싸우며 마지막 15년을 보냈다. 후손들도 그런 비난의 대열에 끼어들며 그 불쌍한 사람을 계속 모멸했다.


트리테미우스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그의 시대부터 우리 시대까지 역사학자들의 의견이 다르다. 그의 삶은 상당히 단순했다. 1462년 모젤 강변의 트리텐하임에서 태어난 트리테미우스는 자신의 열망을 응원해주지 않던 가족의 곁을 떠나 하이델베르크에서 공부했다. 그곳의 대학에서 학위를 받지는 않았지만 인문주의자들의 새로운 학문을 접하게 되었다. 대학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던 길에 산길에서 매서운 폭풍을 만나 목숨까지 위협받자, 크로이츠나흐 근처에 있던 스폰하임 베네딕트회 수도원에 몸을 의탁할 수밖에 없었다.


마르틴 루터가 그랬듯이 그도 수도자가 되기로 결심했고, 그 결심을 실천했을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18개월 후에는 수도원장에 선출되었다. 그때가 20대 초반이었다. 1483년부터 1505년까지는 스폰하임 수도원 원장으로서 베네딕트회를 완전히 개혁하려는 대대적인 시도에 참여했고, 부르스펠데 대수도원의 평신도 모임에서 연설하기도 했다. 스폰하임은 부르스펠데 대수도원에 소속된 수도원이었다.


트리테미우스는 도서관을 책으로 가득 채워 학자들의 방문을 유인하며, 스폰하임 수도원을 베네딕트회와 바깥세상에 널리 알렸다. 그 자신은 가톨릭 교회사 및 베네딕트회를 비롯한 여러 수도회의 역사를 썼고, 더 나아가 독일의 역사까지 썼다. 그러나 수도원장으로 성공적인 22년을 보낸 후 그는 동료 수사들을 비판하며 스폰하임 수도원을 떠났다.


1505년과 1506년 그는 이곳저곳을 방랑하며 슈파이어와 쾰른에서 잠깐 머물렀고, 신성로마제국의 막시밀리안 황제를 만났으며, 베를린에서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1세의 궁전을 장식했다. 이번에는 경험적으로 많은 것을 배웠던지 트리테미우스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해 결코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기간에 주고받은 편지들을 모아 필사본으로 만들었다. 그 작업은 바티칸 도서관에서 진행되었고, 그 필사본은 키케로와 페트라르카을 본 떠 ‘사신집’으로 정해졌다. 그가 그런 일탈을 위기로 생각하며 자신의 평판을 지키려 했다는 명백한 증거였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뷔르츠부르크의 쇼텐 수도원으로부터 제안을 받았고, 다시 베네딕트회 수사의 삶으로 되돌아갔다. 트리테미우스는 여생을 뷔르츠부르크에서 보내며 다시 도서관을 가득 채웠고, 그의 이름을 지금까지 기억하게 만든 저작인 히르사우 수도원의 연대기, 프랑크족의 역사, 암호 해독을 다룬 ‘폴리그라피아(Polygraphia)’를 썼다. 그는 1516년 뷔르츠부르크의 수도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 시대와 그 이후로도 트리테미우스의 복잡다단한 평판은 상대적으로 단순했던 그의 삶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그 시대의 많은 사람이 그를 동경하고 찬양했다. 신성로마제국 막시밀리안의 황제는 트리테미우스에게 궁전에서 함께 지내자고 권했고, 마녀와 악령의 힘과 같은 중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그의 조언에 크게 의지했다. 독실한 가톨릭교도들까지 교회가 깊이 병들고 부패했다고 생각하던 때, 베네딕트회 수도원장들은 그에게 베네딕트회의 관례를 수집해 정리하고, 베네딕트회 역사를 자세히 설명하고, 수사들의 상담을 맡아달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반대로 그를 몽상가, 조작꾼, 심지어 악마의 도움을 받는 마법사라고 비난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어떤 사람은 자신을 대신해 성자들에게 기도해달라고 부탁했고, 그가 마법으로 공중에서 요리를 만들어내 악마의 연회를 벌이는 걸 보았다고 증언하는 사람도 있었다. 지금도 트리테미우스는 중등학교 문헌에서 서지학의 창안자이며, 역사적 문헌을 적잖게 날조한 학자로 소개된다. 학자로서 그가 남긴 저작을 점검하며 해석학적 관점에서 전반적인 맥락을 살펴보면, 그를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서구 지성사에서 가장 미스터리 한 인물 중 하나에 대해 조금이나마 파악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그 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던 환경과 공동체로 그를 되돌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지식 프로젝트 팀의 탄생과 학문의 진보

17기 새로운 형식의 지적인 삶을 위한 토대를 놓는 데 프랜시스 베이컨보다 큰 역할을 한 작가는 없었다. 후기 르네상스 시대의 많은 사상가는 고대인들이 박학다식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장 보댕은 절도의 죗값으로 벌금과 구금보다 사형을 부과했던 것이 근대 문화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말했다.


그러나 똑같은 논점을 누구도 베이컨만큼 간결하면서 함축적으로 일반화해서 말하지 못했다. 많은 선각자가 일반 학교와 대학교를 돌아다니며, 학생들에게 언어와 학문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비법을 제시했다. 그러나 새로운 유형의 학문이 필요하다고 베이컨만큼 대담하고 예지력 있게 주장한 선각자는 없었다. 달리 말하면, 베이컨은 전통적인 유형의 이론이 아니라 활용 가능한 지식, 즉 자연계를 지배하는 힘을 주는 지식을 만들어내기 위해 학제 간의 공동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베이컨은 미완의 유토피아 소설 ‘새로운 아틀란티스’를 끝맺으며 살로몬의 집에 대해 묘사할 때 이런 이상을 가장 명확히 언급했다. 베이컨은 살로몬의 집 혹은 칼리지를 묘사하며, 결국 과학 연구기관으로 발전할 곳의 청사진을 그렸다. 베이컨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끌어모아, 특정한 목적을 위해 조성된 환경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할 때 자연철학이 무엇을 이루어낼 수 있는지를 생각하게 해주었다. 자연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면 “인간 제국의 경계를 넓혀 가능한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는 게 베이컨의 주장이었다.


살로몬의 집에는 베이컨의 계획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설비가 갖추어졌다. 예컨대 “생명체의 응고, 경화, 냉장, 보존에 필요한 크고 깊은 동굴”만이 아니라 인공 금속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설비도 있다. 5만 2,600미터 높이로 치솟은 탑들이 대기와 하늘을 관찰하는 데 쓰인다. 거대하고 널찍한 건물에서 “유성 체계를 모방하고 증명한다. 눈과 우박과 비를 인공적으로 내리게 하고, 천둥과 번개가 치도록 할 수 있다. 또 개구리와 파리 등 다양한 생명체를 공중에서 번식시킬 수도 있다.” 물론 “용광로”, “시각 연구실”, “음향 연구실”, “향기 연구실”, “엔진실”, 심지어 “감각을 현혹하는 설비가 갖추어진 연구실”도 있다.


베이컨은 지적 작업을 위한 새로운 환경을 고안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유형의 지식인들이 그곳에서 살아가는 모습까지 상상했다. 그들은 각자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였다. 대부분의 경우, 그들의 작업은 공동으로 시행하는 연구 프로그램의 일부로서만 의미가 있었다.


이렇게 세분화된 지적 프로그램은 새로운 형태의 과학 프로젝트나 철학 프로젝트와 다를 바 없었다. 베이컨이 구상한 새로운 기관의 조직표는 학문을 정교하게 분류하고 그 관계를 정리한 도표가 아니라, 그 시대의 많은 철학자들이 고안한 지식의 분류법에 가까웠다. 베이컨의 프로젝트는 한 개인의 뛰어난 재능에 의존하지 않았고, 오히려 많은 팀의 협력이 필요했다. 베이컨은 혼자만의 고뇌가 아니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했다. 그는 구성원들이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모든 것에 통달한 현자가 아니라, 머리와 손이 무엇인가에 특화된 전문가의 세상을 상상했다. 달리 말하면, 구성원 하나하나가 문헌에서 관련된 자료를 추려내고, 자연 현상을 관찰하며 추론하는 데 집중하는 세상을 머릿속에 그렸다.



근대 라틴어가 누린 영화와 슬픔

지금까지 36권이 출간되었고 앞으로도 수십 권을 출간할 예정인 ‘이 타티 라이브러리’ 시리즈는 역사와 관련해 많은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첫 번째 교훈은 라틴어라는 언어의 다양하고 풍부한 형태 및 매혹적인 아름다움과 관계가 있다. 고전 시대 이후의 라틴어는 여러 형태로 거의 1,000년 동안 유럽 학문의 도구로 쓰였다.


중세 초기에 수도원 문화를 세운 선각자들은 라틴어를 예배에 사용했고, 라틴어로 된 문헌으로 서고를 채웠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에도 위대한 수학자 요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Johann Carl Friedrich Gauss, 1777-1855)는 대다수의 저작을 라틴어로 발표한 까닭에 독일어로 발표했을 때보다 더 많은 학자가 그의 저작을 참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형태가 크게 달랐다.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는 한 종류의 라틴어, 즉 순수하고 차별적인 고전 라틴어가 유럽 문화에서 특별한 역할을 했다. 당시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 예컨대 페트라르카와 보카치오 같은 학자들은 당시 정부 문서와 계약서에 사용되는 실용 라틴어와 교회에서 사용되는 전례 라틴어, 대학에서 교육받은 법률가, 의료인과 신학자가 사용하는 전문적이고 정확한 라틴어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키케로와 베르길리우스 같은 고대의 위대한 학자들이 사용한 라틴어와도 많은 점에서 다르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들은 고대로 돌아가며, 깊이 뿌리 내린 관습과 억측에 과감히 맞섰다.


순수주의자들, 특히 탁발 수도회에 소속된 순수주의자들은 회의론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고전 연구를 비난했다. 도미니크회의 조반니도미니치Giovanni Dominici, 1355-1419는 “역사학자들이 거짓된 이야기를 얼마나 밥 먹듯 하는가! 하나의 이야기를 두고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하고, 어떤 사람은 저렇게 말한다. 위대한 리비우스도 그렇게 고백했다.


이번 경우에는 악마가 하나만을 목표로 하는 듯하다. 유명한 작가가 거짓말쟁이라는 걸 폭로함으로써 성자에게도 의심을 품게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북이탈리아의 대학교들, 특히 14세기 중반 이후로 파도바에서는 키케로의 산문이나 베르길리우스의 시보다 꼼꼼히 분석하고 따지는 논리학과 의미론을 더 좋아했고, 그 학문들은 무자비할 정도로 기계적이고 전문화된 언어를 사용했다. 페트라르카는 지적 운동을 이끈 지도자로 알려진 최초의 인문주의자였지만, 네 명의 젊은 수도자에게 ‘선하지만 배움이 없는 사람’이란 혹평을 들었다. 이런 비난에 대한 페트라르카의 신랄한 응답은 인문주의를 변호하는 대표적인 주장이 되었고, 그 글이 데이비드 마시(David Marsh)가 깔끔하게 편집하고 번역한 ‘욕설’에 실려 있다.


온갖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문주의자들은 처음에는 이탈리아에서, 나중에는 유럽 전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들은 고대 문헌을 추적해 수집했고, 잊힌 고전을 발굴하거나 ‘구출’할 때마다 사방에 떠들썩하게 자랑했다. 여기에 영향을 받아, 아득한 옛날부터 수도원에 보존되어 있던 필사본을 몰래 빼낸 후에 불완전하게 옮겨 쓰다가 원전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인문주의자들은 서사시와 희곡부터 역사서와 개인적인 편지까지 고대의 장르를 되살렸고, 우아한 라틴어로 글을 쓰는 작가로서 이력을 쌓는 방법도 찾아냈다.


그들은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같은 용병대장들과 로렌초 데 메디치 (Lorenzo de Medici, 1449-1492) 같은 외교관들을 설득해 고전 문헌을 수집하고 보관할 도서관을 짓고, 아들은 물론 심지어 딸까지도 고전을 가르치는 학교에 보내며, 고전학자를 대사나 공관 비서관으로 파견하도록 했다. 인문주의자들은 삼라만상과 역사 및 주변 세계를 광범위하게 조사했다. 그 결과는 당시 사람들에게도 엄청난 영향을 주었지만, 후세에도 토머스 브라운(Thomas Browne, 1605-1682)과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과 새뮤얼 존슨(Samuel Johnson, 1709-1784) 같은 라틴어 전문가들에게 좋은 읽을거리가 되었다.


‘이 타티 라이브러리’ 시리즈 덕분에 예전부터 라틴어를 사용하던 학문 세계에서 라틴어의 다채로움이 어떤 면에서 특별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크레이그 칼렌도르프(Craig Kallendorf)가 치밀하게 편집하고 번역한 ‘인문주의자들의 교육론(Humanist Educational Treatises)’을 통해서는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며 많은 영향을 미친 교사 인문주의자들을 만날 수 있다. 그들이 교사로서 성공할 수 있었던 부분적인 이유는 학습법에 정통했기 때문이었다. 예컨대 바티스타 과리노(Battista Guarino, 1434-1503)의 교육론에 따르면, 고전 연구는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이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손에 펜을 쥐고 지식과 지표와 문체를 개인적으로 탐구해야 한다.


요컨대 라틴어는 초기 근대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 프라하부터 페루까지 라틴어는 문학적 예술성을 과시하는 무대, 과학적 지식을 주고받는 수단, 휴게실에서 떠도는 소문의 매개체 역할을 했다. 유럽과 다른 지역에서 많은 사람이 라틴어를 개인적으로 알았고, 라틴어를 열정적으로 사랑했으며, 모국어만큼이나 라틴어를 편안하게 구사했다. 그 이후에 이런저런 사건이 일어났다. 영국의 고전학자 앨프리드 에드워드 하우스(Alfred Edward Housman, 1859-1936)이 슬픔보다 분노의 목소리로 말했듯이, 20세기 초에는 학계의 라틴 학자들까지 “라틴어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걸 어디에서나 숨김없이 드러냈다. 전성기를 누리던 르네상스 시대부터 교육과정에서 사라지고 예산이 삭감됨으로써 서서히 사망의 늪에 빠져들 때까지 라틴어는 어떤 궤적을 따랐을까?


근대 유럽을 다룬 전통적인 역사서에서 라틴어는 양면의 가치를 지녔다. 인문주의자들은 키케로와 카툴루스를 모방해 글을 쓰는 능력이 내면의 문화적 교양을 보여주는 외적인 증거라고 여겼다. 인문주의자들은 고대의 문학적 문화와 유사한 것을 재현하기를 바랐지만 그런 바람을 노골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들은 문법학과 수사학, 역사와 도덕철학에 기초한 문화, 세속과 교회에서 능동적인 삶을 영위하는 박학다식한 계층을 형성하려는 문화를 재현하려 했다.


페트라르카와 그의 추종자들은 스콜라 철학과 스콜라 신학의 우위에 반발했다. 그 이후 인문주의자들은 스콜라 철학의 세부적인 내용까지 공격하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는 중요한 문제들이 라틴어로 활발히 토론되는 새로운 공적 공간을 구축했다. 과거를 되돌아보던 혁명가들이었던 그들은 잃어버린 능력을 결국 되살려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계까지 만들어냈고, 그 세계에서는 교회의 교리와 교육기관이 중세 말의 대학만큼이나 도전에 취약하다는 게 드러났다. 어떤 의미에서 고전 라틴어의 부활은 근대 이야기를 시작하기 위해 논리적으로 필요한 부분이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고전 라틴어의 보존은 새로운 지적 세계의 탄생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알베르티와 몽테뉴 같은 작가들은 고전학에 몰두했지만 당시의 쟁점을 논의하고 대중과 접촉 할 때는 이탈리아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16세기 신교도 개혁가들도 라틴어를 능숙하게 구사했다. 루터는 자신의 꿈과 악마의 출현에 대해 독일어만큼이나 편안하게 라틴어로 학생들에게 강의할 수 있을 정도였다. 신교도 개혁가들은 성경과 찬송을 독일어와 프랑스어와 영어로 번역하며, 중세 교회가 소중한 종교적 진리를 일반 신도들로부터 떼어놓을 목적에서 라틴어를 사용한 것이라 주장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1627-1691) 같은 자연철학자들은 천문학과 화학에서 지극히 난해한 문제들은 이탈리아어나 영어로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편지 공화국 시민들의 공용어도 라틴어에서 프랑스어로 교체되었다. 18세기쯤에는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의 백과전서(Encyclopedie)를 비롯해 지식을 망라 한 총서도 프랑스어나 다른 근대어로 쓰였다. 라틴어는 실리적 유용성을 상실한 지 오래였다. 진보적인 철학자들은 대학교와 지식인 집단에서 라틴어를 사용하는 관례를 구체제(Old Regime)의 유물이라고 공격했다. 따라서 라틴어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며 수세기 만에 거의 멸종상태에 이른 것은 당연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근대성의 기수로 여겨지던 언어가 인습주의와 지적 경화증의 상징으로 전락하고 말았던 것이다.



낭만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사상의 역사를 추적하다

‘사상의 역사’는 창간되고 20년 남짓이 지났을 때 많은 학자의 주목을 받았고, 예상하지 못한 분야의 학자들도 관심을 보였다. 이 학술지는 인문주의자가 역사와 문헌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는 전문 학술지와, 개별 학문보다 학부 중심 대학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계층의 독자에게 시론만이 아니라 소설과 시를 제공하는 계간지 사이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했다. 전문 학술지나 일반 계간지 와 달리 50년 전 ‘사상의 역사’는 그 세련된 대학 학장의 관심을 끌었을 법하거나 적어도 그의 탁자에서 좋은 인상을 풍겼을 법한 학술 논문과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 시론을 적절히 섞어 발표했다. ‘사상의 역사’가 1980년대에는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발간한 인문학 학술지 ‘표상(Representations)’, 그 이후에는 시카고대학교에서 발간한 인문학 전문 학술지 비평적 탐구‘Critical Inquiry’에 후광을 씌워주던 샹들리에처럼 반짝반짝 빛나던 시대의 구독자에게 축복이 있었기를!


‘사상의 역사’가 두각을 나타낸 주된 이유는 새로운 분야를 대변했기 때문이다. ‘사상의 역사’는 학문적으로도 매력적이었지만, 정기 간행물로도 유혹적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전성기를 누리던 때 ‘사상의 역사’는 역사의 미덥지 못한 분야, 즉 시간이 흘러 광채가 사라진 학문이 아니라, 학문의 지질 구조판이 수렴되고 충돌하며 온갖 잡음을 만들어내는 지적인 지진대였다. 최근에는 지적인 역사, 즉 사상의 역사가 이런 신망을 누리는 게 불가능한 듯하다. 사반세기 전 미국의 문화역사학자 로버트 단턴(Robert Darnton)은 유용한 정보가 담긴 고전적인 시론에서 미국의 지적인 문화사를 추적했다. 가공의 인물 로빈스 학장보다 역사적으로 실존한 지미 카터 대통령처럼 울림이 깊은 언어로 단턴은 어디로 눈을 돌리든 ‘거북함(malaise)’이 눈에 띈다고 안타까워했다.


단턴이 지적했듯이 1950년대에 사상의 역사를 연구한 학자들은 “자신들의 학문을 역사과학의 여왕이라 보았지만, 이제는 그 여왕이 초라하게 추락한 듯하다.” 도움을 구하는 필사적인 절규가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역사학자들은 사상의 역사를 계속 썼고, 아서 온켄 러브조이(Arthur Oncken Lovejoy, 1873-1962)와 페리 밀러(Perry Miller, 1905-1963)의 용어로 사상의 역사를 빚어내기도 했다. “당시 유행하던 용어인 ‘단위 사상(unit-idea)’과 ‘사고방식(mind)’은 지금도 흔히 사용된다. 게다가 얼마 전에 출간된 ‘사상의 역사 사전(Dictionary of the History of Ideas)’도 체계적으로 정리된 러브조이의 형식적인 분석에서 주로 선택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을 뿐이다.


단턴의 주장에 따르면, 1960년대 이후로 젊은 학자들, 특히 대학원생들은 위대한 망자들과 추상적으로 대화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사상의 역사’라는 좋은 배의 뱃전을 차지한 후에 윌리엄 호가스 (William Hogarth, 1697-1764)의 정치 풍자화에 단골로 등장하던 이단자와 부적응자 및 전투적인 여성에게 주목한 ‘사회사(Social History)’라는 새로운 배에 무리지어 올라탔다. 따라서 역사학과에서 발표된 박사학위 논문 수준에서는 사회사가 사상사를 3대 1의 비율로 앞질렀다. 학술지 수준에서도 사회사가 앞서 나갔지만 그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상대적으로 모호하지만 중요성에서는 떨어지지 않는 여론의 세계에서 사상사의 몰락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사상의 역사는 역사라는 분야에서 젊은 학자들에게 더는 우선적인 지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여하튼 1960년대에는 사회사가 한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 * *


본 도서 정보는 우수 도서 홍보를 위해 저작권자로부터 정식인가를 얻어 도서의 내용 일부를 발췌 요약한 것으로, 저작권법에 의하여 저작권자의 정식인가 없이 무단전재, 무단복제 및 전송을 할 수 없으며, 원본 도서의 모든 출판권과 전송권은 저작권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비즈

세상 모든 창업가가 묻고 싶은 질문들

저자 토머스 아이젠만(역: 박영준)
출판 비즈니스북스
출간 2022.01
자기계발

일잘러의 무기가 되는 심리학

저자 완자오양(역:이지은)
출판 현대지성
출간 2021.12
철학

저자
출판
출간 .
TRENDS & BRIEFINGS
글로벌 트렌드

중국, 성장보다 안정을 선택하다

미중 분쟁, 코로나로 인한 변덕적인 경기 회복과 순환, 내부 양극화, 국가 보안 문제 등으로 중국이 성장을 다소 희생하고 안정을 취하는 전략적 ...
미디어 브리핑스

[RH] 직원의 창의성을 높이는 ‘보상 선택’

저널 오브 어플라이드 사이콜로지(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응용심리학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직원의 ...